• 제목/요약/키워드: Pheromone trap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1초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 3종의 지리적 분포와 성충 발생소장 (Geographic Distribution and Seasonal Catches of Three Adoxophyes Species in Korea)

  • 양창열;경태현;조영식;강택준;전흥용;김형환;김은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95-299
    • /
    • 2009
  •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Adoxophyes spp.)(나비목: 잎말이나방과)는 과수의 잎과 과실을 가해하는 주요 해충이다.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 3종의 국내 분포 상황을 종-특이적인 성페로몬 트랩으로 조사한 결과, 애모무늬잎말이나방(A. orana)은 중서부 지역에 국부적으로 분포하였으며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 honmai)은 남부 지역에 주로 발생하였다.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A. paraorana)은 거의 모든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는데 중서부지역에서는 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남부지역에서는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동시에 발생하고 있었다. 중부지역에서 애모무늬잎말이나방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 성충은 연 3회 발생하였으며, 각 세대의 발생 최성기는 5월 하순, 7월 중순 및 8월 하순이었다. 남부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은 연 4회 발생하였으며, 5월 중순, 6월 하순, 8월 상순 및 9월 상순에 성충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작물별 이화명나방의 발생양상 변동과 생물적 특성 연구 (Investigation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and Variation in its Occurrence Patterns Among Crops)

  • 최낙중;최준열;이봉춘;김상민;나지은;백채훈;이종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7-54
    • /
    • 2017
  • We analyzed the variation in occurrence time and intensity of attacks by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on several crop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how C. suppressalis damages crops and to utilize thi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friendly control methods like pheromone traps. This study surveyed the changes in occurrence patterns of C. suppressalis,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verwintering larvae, and the efficacy of different types of pheromone traps the years. We found similar occurrence patterns of C. suppressalis in different crops. In addition, occurrence time of the first generation was advanced. Overwintering larvae showed no difference in pupal period and weight compared to the non-overwintering ones. However, the larval period was reduced to 19.1 days in Miscanthus field, in contrast to that in the paddy fields. It was confirmed that larvae of C. suppressalis generally prefer the lower part of the stems of Miscanthus. Efficiency of the emergence trap was confirmed to be greater than that of the delta trap for capturing C. suppressalis adul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control period because of the advancement in occurring time of C. suppressalis in recent years. The larvae of C. suppressalis experience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overwintering in Miscanthus fields. The major Miscanthus fields are generally located in the areas protected for sources of drinking water, owing to which spraying of chemical pesticides is very limi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puts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control methods.

배과원에서 발생하는 주요 나방류 해충의 발생양상 및 환경친화적 방제 (Seasonal occurrence of major moth pests and their environmental friendly control in pear orchard)

  • 서미자;박민우;윤규식;조신혁;조창욱;신효섭;권혜리;강민아;김세희;유용만;윤영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1호
    • /
    • pp.39-44
    • /
    • 2011
  • The changes in major moth populations were monitored by sex pheromone traps in pear orchards at Yuseong-Gu, Daejeon from 2008 to 2010. Among four major moths, Grapholita molesta and Caposina sasakii occurred most frequently. Their occurrences peaked 2 to 3 times during the growing season from May to September. G. molesta was exceptional, occurring until September. For the environmentally-friendly control of these moths, 9 control materials including insect pathogenic bacteria and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ere examined on the larva of 4 kinds of moth and sprayed on pear leaves in the field. As the generalized results of bioassay,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and Sophora flavescens extract were shown to have better control effects than any other control material.

수원지역 과수원에 발생하는 유리나방류 4종의 성충 발생소장 (Seasonal Adult Occurrence of Four Clearwing Moths in Suwon Orchards)

  • 양창열;김성종;양상진;조명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43-447
    • /
    • 2012
  • 유리나방류는 사과, 복숭아, 포도와 같은 과수의 주요 해충으로서, 유충이 기주식물의 줄기 속에서 형성층을 섭식한다. 수원지역에서 3년에 걸쳐,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사과유리나방, 복숭아유리나방, 포도유리나방, 큰유리나방의 연중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사과원에서 사과유리나방 성충은 트랩에 5월부터 10월까지 유인되었으며, 6월 상중순과 8월 하순~9월 상순에 각각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비슷하게, 복숭아원에서 복숭아유리나방은 5월부터 10월까지 유인되었으며, 발생최성기는 5월 하순과 8월 하순~9월 중순이었다. 포도원에서 포도유리나방은 5월 하순부터 6월 중순까지 유인되었으며, 5월 하순~6월 상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한편, 포도원에서 큰유리나방은 6월 상순부터 7월 하순까지 유인되었으며,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7월 상순이었다.

영남지방 지역 및 지대별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 성충의 발생소장 (Seasonal Occurrence of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and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übner Using Sex Pheromone Traps at Different Locations and Regions in Yeongnam District)

  • 배순도;김현주;이건휘;박성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7-35
    • /
    • 2007
  • 영남지방의 지역 및 기후지대별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의 발생소장을 각각의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경람지역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은 3월 중하순부터 11월 중하순까지 발생하였다. 경북지역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은 4월 중하순부터 11월 상중순까지 발생하였으나, 울진에선 5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 발생하였다. 기후지대별 담배거세미나방의 발생최성기는 남부해안지대에서 9월 중순, 내륙지대 및 분지지대에서 8월 하순, 내륙산간지대에서 8월 중순, 그리고 동해안중부지대에서 9월 상순이었다. 담배거세미나방의 지역별 발생비율은 경남의 경우 진주에서 20.0%로 가장 높았으며, 창녕에서 8.6%로 가장 낮았고, 경북의 경우 성주에서 3.3%로 가장 높았으며, 울진에서 0.8%로 가장 낮았다. 기후지대별 발생비율은 내륙지대에서 43.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남부해안지대에서 36.3%, 분지지대에서 8.4%, 내륙산간지대에서 7.0%이었고, 동해안중부지대에서 4.6%로 가장 낮았다. 한편, 파밤나방은 경북의 동해안중부지대를 제외하곤 3월 상순부터 11월 중순까지 발생하였다. 포항, 영덕 및 울진의 동해안중부지대에서 파밤나방은 대체로 4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발생하였다. 기후지 대별 파밤나방의 발생최성기는 내륙지대, 분지지대 및 내륙산간지대에서 8월 상순, 남부해안지대 및 동해안중부지대에서 8월 하순이었다. 파밤나방의 지역별 발생비율은 경남의 경우 창녕에서 1.6%로 가장 높았으며, 부산에서 0.4%로 가장 낮았고, 경북의 경우 성주에서 37.2%로 가장 높았으며, 울진에서 2.7%로 가장 낮았다. 기후지대별 발생비율은 분지지대에서 약 54.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내륙산간지대에서 29.9%, 동해안중부지대에서 9.3%, 내륙지대에서 3.9%이었고, 남부해안지대에서 2.6%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담배거세미나방은 경남지방에서, 파밤나방은 경북지방에서 다발생 되었고, 기후지대별 담배거세미나방의 발생량은 경남의 내륙지대, 파밤나방의 발생량은 경북의 분지지대에서 가장 많았다. 영남지방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의 발생량은 파밤나방보다 2.4배 많았으나, 최초 발생시기와 발생최성기는 담배거세 미나방보다 파밤나방이 약간 빨랐다.

몇 가지 살충제의 썩덩나무노린재와 뚱보기생파리에 대한 독성 (Toxicity of Several Insecticides Against Halyomorpha halys (Hemiptera: Pentatomidae) and Gymnosoma rotundatum (Diptera: Tachinidae))

  • 정부근;임유진;이흥수;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57-460
    • /
    • 2014
  • 몇 가지 살충제에 대한 독성을 썩덩나무노린재를 대상으로 단감원에서 잔효독성으로 검증하였고 끈끈이 트랩에 유인된 뚱보기생파리 성충을 대상으로 직접분무처리 방식으로 검증하였다. 썩덩나무노린재는 흑색유아등으로 채집하였고 뚱보기생파리 성충은 갈색날개노린재 집합페로몬인 methyl-(E,E,Z)-2,4,6-decatrienoate을 사용해서 끈끈이트랩으로 포획하였다. 비펜트린수화제, 뷰프로페진 디노테퓨란수화제, 클로티아니딘액상수화제, 디노테퓨란수화제, 티아메톡삼입상수화제 등 5종의 살충제 중에서 비펜트린수화제가 72시간 케이지 내 잔효독성 검정결과 썩덩나무노린재에 대해 93.1%의 사충율을 나타내었고 여타 살충제들은 다양한 사충율을 보였다. 뚱보기생파리에 대한 사충율은 55.3~74.3%이었다.

골프장에서 등얼룩풍뎅이(Blitopertha orientalis)의 계절 및 지리적 발생 (Seasonal and Regional Occurrence of Oriental Beetle (Blitopertha orientalis) in Korean Golf Courses)

  • 이동운;김재호;신종창;염주립;전재찬;신홍균;추호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5-48
    • /
    • 2008
  • 골프장 잔디의 주요 해충의 하나인 등얼룩풍뎅이의 발생상창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과 군포, 김포 지역의 골프장에서 토양 내에서의 발육경과와 페로몬트랩을 이용한 성충의 발생경과를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조사하였다. 등얼룩풍뎅이 성충의 발생은 6월 초순에서 8월 하순까지였는데, 성충의 발생 peak는 조사지역과 년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부산지역에서는 2006년 6월 25일에 발생 peak를 보였고, 2007년에는 6월 22일에 발생 peak를 보였는데 군포지역에서는 각각 6월 30일과 29일에 peak를 보였다. 페로몬트랩에 유인된 등 얼룩풍뎅이의 개체수는 조사 골프장별로 차이를 보였다. 등얼룩풍뎅이 유충의 발육경과도 부산지역이 군포지역에 비하여 빨랐는데 군포에서는 2004년 8월 27일 조사에서 2령충만 발견된데 비하여 부산지역에서는 같은 해 8월 26일에 조사한 것에서 2령충과 3령충이 함께 발견되었다. 부산지역에서 등얼룩풍뎅이의 발생경과는 월동한 3령 유충이 5월 초순에서 6월 중순까지 용화하였고, 6월 초순부터 우화하였다. 그리고 6월 하순부터 부화하였다. 8월 중순부터는 3령충이 되어 월동에 들어갔다. 등얼룩풍뎅이 성충의 교미 peak 시간은 20:00부터 22:00였다.

먹이트랩과 교미교란제 테두리처리를 통한 복숭아순나방 (Grapholita molesta (Busck)) 교미교란 상승효과 (Enhanced Mating Disruption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Using Pheromone Edge Treatment Along with Food Trap)

  • 김용균;서삼열;정성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1-36
    • /
    • 2010
  • 사과에 피해를 주는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을 방제하기 위해서 합성 성페로몬을 이용한 교미교란 처리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작은 규모의 사과원들이 인근에 몰려있고 이들의 경영이 독자적인 국내 상황을 고려할 때 이러한 교미교란제 처리에 의존한 복숭아순나방 방제 효율성에 의구심을 갖게 한다. 이는 인근의 교미교란제를 처리하지 않은 지역에서 교미한 복숭아순나방 암컷의 유입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특정 교미교란제 처리 지역에 있어 교미교란 효과의 사각지대를 줄이고 교미한 암컷을 포획할 수 있는 테두리처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테두리처리 기술은 사과원 가장자리에 10 미터 간격으로 각각 교미교란제와 먹이트랩을 설치하면서 이러한 방제 효과를 거두려하였다. 교미교란제 처리와 더불어 태두리처리는 교미교란제만 처리한 포장에 비해 복숭아순나방에 의한 신초 및 과실에 미치는 피해를 뚜렷하게 줄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교미교란제 처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연중 처리 횟수를 결정하였다. 사과 재배 전체 기간을 통해 교미교란 효과를 유지하는 데 교미교란제 처리는 테두리처리와 함께 3월 말과 7월 초의 2회 처리가 필요하였다.

이산최적화 기법을 사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Digital Watermarking Method using Discrete Optimization Method)

  • 이창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4-49
    • /
    • 2014
  • 최근 워터마킹 기술은 불법적인 디지털 콘텐츠 복사와 콘텐츠의 무단 도용을 막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즉, 디지털 콘텐츠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워터마크 이미지를 원본이미지에 삽입한다. 다양한 워터마킹 기법 중에서 개미알고리즘을 이용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개미알고리즘에 이산최적화 방법을 사용한 워터마킹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개미가 음식을 찾기 위해 페르몬 흔적을 �i아가는 방법과 유사하다. 또한 원본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삽입할 때 장애물의 배치나 전체 이미지들 사이의 균형을 고려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기존 알고리즘을 사용한 워터마킹 기술과의 비교에서 워터마크 된 이미지의 강건성은 증가되고 워터마킹 인지성은 감소함을 보여 준다.

수원지방에서 왕담배나방 (밤나방과) 휴면 유기시기와 연간 발생 세대 (Timing of Diapause Induction and Number of Generations of Helicoverpa armigera (Hüber) (Lepidoptera: Noctuidae) in Suwon, Korea)

  • 정진교;서보윤;박창규;안승준;김주일;조점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83-392
    • /
    • 2015
  • 야외 사육과 성페로몬트랩 조사를 통해 왕담배나방 휴면 유도시기와 연중 발생 세대가 연구되었다. 2013년과 2014년에 갓부화 유충을 수원 야외에서 사육하였을 때, 8월 하순~10월 상순에 사육을 시작한 집단들에서 휴면용이 생성되었고, 9월 중순 이후 사육 집단에서는 휴면용들만 생성되었다. 2013년 집단의 경우 휴면용들은 이듬해 5월 하순~6월 상순에 우화하였고 2014년 집단의 경우 5월 하순~6월 하순에 우화하였다. 휴면용들만 생성된 집단들에서, 사육을 시작한 날의 일장은 11시간 49분~12시간 24분이었고, 이들이 번데기가 될 때까지 평균온도는 $14.8{\sim}20.7^{\circ}C$이었다. 야외 사육에서 하면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원과 화성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조사한 페로몬 트랩의 성충 발생 시기는 연중 4회(1화기: 4월 하순~6월 중순, 2화기: 6월 중순~7월 하순, 3화기: 7월 중순~8월 하순, 4화기: 8월 하순~10월 중순)으로 조사되었다. 여기에 Mironidis and Savopoulou-Soultani (2008)의 선형발육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4세대 출현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을철 3세대와 월동세대는 일부 중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왕담배나방은 연중 월동세대 이후 온전한 3세대를 거치고, 휴면용은 3화기와 4화기 성충들의 자손들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4월 말 파종되는 옥수수 포장에서 출사기에서 수확기 사이의 이삭 피해는 1세대와 2세대의 왕담배나방 유충이 피해를 주는 것으로 고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