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omenological research

검색결과 737건 처리시간 0.024초

청년 생체 간이식 기증자의 경험 (Young Adult Donor's Experiences of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 방미선;신해윤;류민;권수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05-11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young adult donors' experiences of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Method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two women and six me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rom November 25th, 2019 to June 10th, 2020 and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Five theme clusters extracted from the young adult donors' experiences were painful decision of a liver donation, the agony of both mind and body that overpowers youth, the bitter and bare face of reality that a young donor encounters, feeling the power of love that fills up the space of the organ removed, and liver donation becoming priming water for matur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young adult donors who have experienced unexpected difficulties as well as self growth from the don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can be of use for developing and applying customized nursing interventions for management before and after liver donation among young adult donors.

산재근로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경험 (Experiences of Post-traumatic Stress among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 한정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84-493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meaning and nature of post-traumatic stress among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Methods: In this study,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8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among adult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20, those who are able to express their opinions, have experienced injuries due to industrial accidents, and those who have been injured for more than 6 month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1st May 2021 to 30th September. The in-depth interview with research participants took approximately 30 minutes to 90 minutes on average.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eleven thematic collections, and 27 themes. The Five categories were 'maze with no exit', 'erased existence', 'impenetrable barrier', 'tightly closed iron gate', and 'overcoming reality hurdles'. Conclusions: This study can help understand and describe the experiences of post-traumatic stress among workers who have experienced industrial accidents by tak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t suggests the need for program intervention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as well as an institutional approach toward these targets.

미혼 양육모의 양육 결정 체험 : 현상학적 연구 (The Experience in Deciding for Childcare of Unmarried Lone Mother : Phenomenological Research)

  • 김혜선;김은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373-393
    • /
    • 2006
  • 본 연구는 미혼 양육모가 체험하고 있는 양육결정 경험을 이해하고 그 체험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개입 방안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꼴라쥐(Colazzi)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미혼양육모를 위안 '미혼모 중간의 집'에서 거주하고 있는 20대 초반에서 30대 초반의 미혼 양육모 7명이었으며, 2003년 1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평균 2차례에 걸쳐 "당신이 체험한 양육 결정 경험은 무엇인가?" 에 대한 질문을 가지고 대상자를 만나 개별적으로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기술을 읽어서 구, 문장으로부터 의미 있는 진술을 도출한 후 이를 좀더 일반적인 형태로 제 진술하고 구성된 의미를 주제(Theme), 주제묶음(Theme clusters), 범주(Categories)로 분석한 결과, 22개의 주제와 '임신으로 인해 혼란스러워 짐', '홀로 겪는 현실이 모질게 느껴짐', '아이에게 정을 느낌', '아이 양육에 대해 갈등', '아이 양육을 마음으로 정', '스스로의 결정을 다짐함', '회생의 희망을 가짐'의 7개의 주제 묶음을 통해서 아이를 양육하고 있는 미혼모의 양육 결정 체험의 의미가 '회생(回生)'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현상학적 연구로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에서도 미혼모 모자세대들을 하나의 가족 형태로 받아들여 바르게 이해하고 그들의 권리를 되찾아 주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미혼 양육모에 대한 개입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PDF

후천적 장애인이 이성과의 관계 맺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on Relationships of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y with the Opposite Gender)

  • 박헌경;문정인;유두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9-72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후천적 장애인이 이성과의 관계 맺기에 대한 장애인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이성과의 관계 맺기 속에서 일어나는 경험한 내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후천적 장애인들의 경험과 감정, 그 과정에 대한 이해를 얻기 위해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참여자에 대한 심층면담, 현장 기록, 기술적 관찰 일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후천적으로 장애를 갖게 된 대상자들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으며, 특히 이성과의 관계 맺기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대상자 8명의 심층 면담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6가지의 주제 모음 1) 진단에 대하여 다양한 심리적 반응 2) 보호자 및 이성의 다양한 심리적 반응 3) 적극적인 지지를 통한 재활 의지변화 4) 장애를 갖게 된 이후 사회성 결여 5) 재활을 통한 자신감 변화 6) 이성에 대해 다양한 생각이 도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후천적 장애인이 이성과 관계 맺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및 감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유용하다. 이성과의 관계 맺기는 다른 어떤 사회속에서의 상호 작용하는 행위보다 의미가 있다. 관계 맺기 과정에서 갈등이 존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전문가들의 지원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PDF

장애부모의 융복합 원예활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onvergence Horticulture Activity Experience of Mother of Child with Disability)

  • 강수정;정연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561-568
    • /
    • 2015
  • 본 연구는 원예활동 속에서 경험하는 융복합적 생명력 체험이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서변화와 힐링에 주는 의미를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자료 수집은 경기도에 위치한 장애인복지관 원예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 4인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개념화-소주제-대주제의 과정을 통한 핵심주제어 생성으로 진행하였다. 현상학적인 방법으로 탐색한 장애부모의 융복합적 생명력 체험은 인연의 시작, 보살핌과 교감, 생명체에 대한 이해, 힐링, 공유와 나눔으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장애부모의 생명력 체험 과정은 작은 인연에서 시작되었지만 교감과 보살핌을 통해 관계 맺음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고 생명력 체험 속에서 장애부모가 경험한 자신과 타자와의 관계 형성과정은 개인적 실존에서 타자와의 공감 그리고 공유의 과정으로 변화해가고 있음을 탐색할 수 있었다.

국가대표 선수의 성격강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haracter Strength of National Players)

  • 유현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80-489
    • /
    • 2020
  • 이 연구는 국가대표 선수들의 체험에 내재하여 있는 강점의 본질적인 의미를 찾고자 Giorgi(1985)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대한체육회에 소속된 국가대표 개인, 단체 종목 선수들로 참여를 원하는 선수들을 의도적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 6명을 선발하였다. 심층 면담은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으며, 1회 90~180분, 각 선수당 2회의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17개의 하위요인, 5개 요인으로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5개의 요인은 좋은 습관 만들기, 나만의 무기 만들기, 긍정적 사고, 단순화하기, 좋은 컨디션 유지하기로 나타났다. 결과에서 나타난 5가지의 요인은 자발적으로 이루어질 때 강점으로 발휘되며, 이러한 강점은 선수들이 진정으로 자신의 종목을 좋아하게 되는 계기와 활력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강점들은 선수들의 긍정심리프로그램 개발과 심리기술훈련에 긍정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두명의 한국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과학 수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Two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of Teaching Science in the Republic of Korea: A Phenomenological Analysis)

  • 남윤경;장명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3-101
    • /
    • 2013
  • 이 연구는 두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의 과학 수업이 어떻게 한국의 독특한 교육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수업 경험이 그들에게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현상학적 해석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는 두 과학 교사가 어떻게 교수 방법을 선정하며 외부적인 상황 즉 교육과정, 학교정책, 환경, 문화, 학생들의 학습동기등이 어떻게 과학 교사들의 교수 방법, 수업 실제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는 두 달간 대도시의 한 중학교에서 시행되었으며, 각 참여 교사에 대한 수업 관찰과 수업 관찰 후 이루어진 인터뷰가 주요 데이터로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의해 분석, 기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과학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과중한 교과 내용의 양과 제한된 수업 시간등의 외부적 요인들이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신념이나 경험에 상관없이 수업의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사교육을 통해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과학교과 선행학습과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할때 나타나는 낮은 학습 동기가 각 교사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교사들의 교수 방법 선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자자원 수서 담당 사서가 경험하는 업무와 역할변화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Their Tasks and Roles of Electronic Resource Acquisition Librarian)

  • 박경희;오경묵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65-482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전자자원 수서 담당 사서 9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통하여, 그들이 업무 현장에서 겪는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전자자원 수서 담당 사서의 업무, 그들의 역할에 대한 인식, 새로운 역할 변화에 따른 역량의 필요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로 총 3개의 주제묶음과 11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고, 그 3개의 주제묶음은 '업무의 장애요인으로 현실의 구조적 문제 감당하기', '업무의 심리적 부담감 견뎌내기'. '역량을 갖춘 전문가로 성장하기'로 분석되었다. 전자자원 수서담당 사서는 도서관 업무 현장에서 전자자원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내적 외적으로 많은 어려움과 한계에 부딪히지만 이러한 경험을 통해 역량을 갖춘 전문가로 성장하고자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전자자원 수서 담당 사서에 대한 역량연구가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towards Socio-Scientific Issue: Around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 위수민;장근영;임성만;양일호;김순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4-18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socio-scientific issues.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was used by concrete issue connected with SSI for this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wel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udying at 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who underwent a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study method wa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he interview papers had been examined by three scientific exper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vided into twenty six themes, eight theme clusters, and two categories, and considered the thoughts on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its influence on Korea,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society as a result of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interested in social issues related to science, application in class, response from students and the influence on students. Teachers had a general understanding of science-related social issues, but did not have much interest in the subject. However, they mentioned that to apply the issues in the curriculum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and encourage scientific motivation in students and, furthermore, helped them to develop the awareness of science in their surroundings. A greater interest in socio-scientific issues need to require from teachers and, through including these issues in the curriculum, we should have positive influence in developing science education.

디지털 사진 이후 사진가들의 변화 현상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How Digital Camera Has Changed Photographer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Digital Labor)

  • 조인원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4권
    • /
    • pp.124-151
    • /
    • 2017
  • 이 연구는 필름 사진에서 디지털 사진으로의 변화를 경험한 직업사진가들이 겪은 경험과 인식에 대해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직업사진가들의 노동과 창작 환경의 변화 의미와 맥락을 찾아보려는 데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사진도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으로 커다란 변화를 겪었다. 아날로그 사진에 비해 디지털 카메라는 어렵고 복잡했던 사진 제작 공정을 카메라 안에서 촬영과 동시에 완성되도록 만들었다. 조작이 쉬운 디지털 카메라는 대중에게 빠르게 보급되었고 사진의 창작과 소비 형태도 크게 변해 갔다. 반면, 기존의 전문 사진 업계는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광학 기반의 사진 산업은 붕괴되고 직업사진가들은 수입의 감소나 소외감을 겪기도 했다.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디지털 사진과 디지털 산업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찾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직업사진가 12명을 만나 심층인터뷰를 실시했고 수집된 자료들로 현상학적 분석을 적용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필름 사진에서 디지털 사진으로 변화된 이면에 사진가들이 느끼는 불안과 소외감, 그리고 새로운 방식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 등을 통해 디지털 사진 시대에 직업사진가들이 겪은 경험과 사회적인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