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llinus pini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수 종 상황버섯의 조다당 분획물 조성 (Composition of Crude Polysaccharides in Some Phezllinus Species)

  • 박미정;안미정;김진웅;제금련;이흠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1-135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거나 수입되어 유통되는 4종 Phellinus속 버섯(구멍쟁이버섯과)의 조다당 분획물의 조성을 비교함으로써 각 종간의 차이에 의한 성분조성의 차이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상황버섯의 활성 분획 중의 한 유효성분인 조다당 분획물을 에탄올 냉침법으로 제조한 결과, 조다당 분획물의 취득률은 P. linteus 15.0%, P. baumii 5.1%, P. pini 6.3%, P. igniarius 5.7%로 Phellinus 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그 다당체를 조성하고 있는 단당의 함유량도 버섯의 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즉, P. linteus의 경우, 건조중량 1 g 당 함유된 당의 총량은 148.713 mg/g이 었으나, P. baumii는 29.022 mg/g, P. pini는 29.222 mg/g으로 P. lintues의 약 1/5정도의 당 함유량을 나타냈으며, P. igniarius는 P lintues의 1/100정도인 1.546 mg/g의 당을 함유하고 있었다. 모든 Phellinus 속 버섯에서 glucose의 함량이 월등하게 많았으며, 함유되어 있는 각 단당들의 절대량은 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P. linteus는 mannose와 ribose가 P. baumii와 P. pini보다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외의 모든 단당을 월등하게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P. baumii와 P pini는 arabinose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단당의 함량이 유사하였다. P. igniarius는 거의 모든 당의 절대량이 다른 Phellinus 속 버섯에 비하여 매우 적었다.

낙엽송층버섯으로부터 Ergosterol 유도체의 분리 및 RAW 264.7 세포주의 Nitric Oxide 생성 저해활성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by Ergosterol Derivative from Phellinus pini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 장현진;양기숙
    • 약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367-371
    • /
    • 2006
  • Phellinus pini (Hymenocaetaceae) has been used for the immunomodulating activity hypolipidemic effect, gastric cancer non-insulin dependant diabetes, diarrhea, and menstrual irregularity. From the screening of each fraction for the inhibitory activity of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aride (LPS) activated RAW 264.7 cells, methanol extract of Phellinus pini and hexane soluble fraction exhibited inhibition of NO production compared with LPS control without toxicity. The hexane soluble fraction showed dose dependent inhibition of NO production. According to activity guided fractionation, the active hexane fr. was repeatedly chromatographed over silica gel, ergosta-4,6,8(14),22- tetraen-3-one was isolated. The compound inhibited NOS activation (IC$_{50}$ = 29.7 uM) and NO production of activated macrophage at 30 uM.

상황버섯(Phellinus pini)의 라디칼 소거작용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hellinus pini)

  • 남병혁;조월순;최영;최유진;이재동;정민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26-335
    • /
    • 2010
  • Phellinus pini (CY001) 추출물에서의 페놀류성분의 농도는 P. pini (CY001)분획 g 당 GAEs mg으로 나타내었고, P. pini의 EtOAc 분획 (436.5 mg GAEs/g)이 다른 분획에 비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활성을 screening 하기 위해 몇 가지 생화학적 시험이 수행되었고, 그것은 2, 2-diphenyl-1-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작용, NBT/XO superoxide system, DCF/AAPH peroxyl radicals 저해능 등이다. 여섯 개의 버섯추출물 분획 중에서 EtOAc 분획이 DPPH, superoxide 라디칼, peroxyl 라디칼 소거작용이 뛰어났고, $IC_{50}$ values는 각각 $11.49\;{\mu}g/ml$, $8.32\;{\mu}g/ml$, and $1.91\;{\mu}g/ml$이었다. P. pini (CY001)의 EtOAc 분획은 중요한 효소적 지질과산화 저해와 cytotoxicity 없이 RAW 264.7 macrophages의 LPS 유도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EtOAc 분획이 HepG2 cell의 타크린 유도 cytotoxicity에서 간 보호 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P. pini (CY001)가 라디칼 소거작용을 하는 성분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로써의 잠재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hellinus pini의 배양적 특성과 자실체형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Formation of Phellinus pini)

  • 류영현;조우식;정기채;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5
    • /
    • 2000
  • Phellinus pini는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버섯으로 진흙버섯속 버섯 중에서 항암저지율이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다(중국본초도감). 온도별 배양결과 $25^{\circ}C$에서 34 mm/14일(PDA배지)로 생육이 가장 좋았고 배지별 시험에서는 PDA 배지에서 30mm/10일, MCM 배지에서 28mm/10일로 나타났으며 pH $5{\sim}6$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시험관을 이용한 톱밥배지 배양에서는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 +미강(4.5:4.5:1)과 참나무톱밥+소나무톱밥+미강(4.5:4.5:1)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빨랐고 균사밀도는 참나무톱밥+미강(9:1)과 소나무톱밥+미강(9:1) 배지가 가장 높았다. 참나무원목에 접종한 결과 접종 60일 경과시 원목내 균사생장은 40 mm로 나타났으며 균사활착율은 26%정도였고 최초 발이 소요기간은 접종 후 110일 정도로 나타났다.

  • PDF

낙엽송층버섯의 Nitric Oxide 생성저해 물질 (Inhibitors of Nitric Oxide Syntheasis from Phellinus pini in Murine Macrophages)

  • 장현진;김안근;표명윤;양기숙
    • 약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430-434
    • /
    • 2007
  •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fruit body of Phellinus pini was investigated by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From the screening of each fraction for the inhibitory activity of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aride (LPS) activated RAW 264.7 cells, methanol extract and its hexane soluble fraction of Phellinus pini exhibited inhibition of NO production compared with LPS control without toxicity. The hexane soluble fraction showed dose-dependent inhibition of NO production. The active hexane fraction was repeatedly chromatographed over silica gel, ergosta-7,24(28)-dien-3-ol(1) and ergosterol peroxide (2)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Ergosterol derivatives were inhibited NOS activation, $IC_{50}$ of them were $18.9{\pm}3.9{\mu}M$ (1) and $20.4{\pm}4.5{\mu}M$ (2).

Phylotype에 의한 수종의 Phellinus속의 분류체계 확립 및 종간구별을 위한 신속동정법 개발 (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Species-specific Detection of Genus Some Phellinus using Phylotype)

  • 김성윤;이재윤;김기영;이기원;박재민;김문옥;이태호;이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21-128
    • /
    • 2003
  • 국내 유통균주에 대한 Phellinus속의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종간구별을 위한 신속동정법을 개발하기 위해 계통학적 정보를 지니고 있는 ITS1, 5.8S rRNA및 ITS2부위의 염기서열을 밝히고 ITS1과 ITS2 부위의 다양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 특이적인 유전자 탐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상황버섯으로 시판되고 있는 국내유통균주는 총 9균주로서 P. pini가 4종, P. baumii가 3종, P. igniarius와 P. linteus가 각각 1종으로 확인되었으며 P. gilvus은 조사되지 알았다. 그 중 P. pini는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된 제품이었고 P. igniarius를 포함한 P. baumii는 주로 북한산 제품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P. linteus와 P. baumii는 변이가 높은 ITS1 , ITS2 부위에서도 다른 종에 비하여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어 종 특이적인 유전자 탐침이 유효하지 않은 반면에 P. igniarius, P. pini, P. gilvus종에 대한 detection primer로 각각 IF1-IR3, PF1-PF3, GF2-FR4 primer는 유전자 탐침이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유연관계가 아주 가까운 P. linteus와 P. baumii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변이가 심한 ITS 부위와 보존성이 높은 18S rDNA 부위의 염기서열을 함께 분석, 비교하여야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한국산부후균의 기재(I) (Notes on the Korean Rotten Wood Fungi(I))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7-104
    • /
    • 1996
  • 많은 고등균류를 1995년 4월부터 10월까지 모악산 도립공원, 만덕산(전라 북도)과 변산반도 국립공원에서 채칩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속껍질버섯 속(Hyphoderma), 탈모껍질버섯속(Piloderma), 날원통담자버섯속(Cylidrobasidium)은 한국 미기록 속이었고, 결절벌집버섯(Polyporus tuberaster), 붉은 진흙버섯(Phellinus ferruginosus), 누에고약버섯(Corticium bomycinum), 붉은가는주름버섯(Phlebia rufa), 털속껍질버섯(Hyphoderma puberum), 삼베탈모껍질버섯(Piloderma byssinum), 날원통담자 버섯(Cylindrobasidium evolens) 그리고 솔휜구멍버섯(Peniophora pini)은 한국산 미기록 종으로 확인되었다.

  • PDF

Subacute Oral Toxicity of the Methanol Extract from Phellinus pini in Rats

  • Hong, Yun-Jung;Jang, Hyun-Jin;Yang, Ki-So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291-295
    • /
    • 2011
  • The present investigation evaluated the safety of the methanol extract from the fruit body of Phellinus pini Ames (PPA) by determining its potential toxicity after a subacute administration in rats. The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in doses of 1 g/kg, 2 g/kg, and 4 g/kg daily for 14 days to rats. Body weight, biochemical,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were determined at the end of 14 days of daily administration. The no-observed adverse effect levels (NOAEL) of the extract were 4 g/kg, when given by gavage routes. Daily oral administration of PPA extract for up to 14 days did not result in the death of significant changes in the body weight, hematological, and mainly biological parameters. In biological analysis, some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cluding triglyceride and blood urea nitrogen (BUN), indicating that the PPA extract has liver and kidney-modulating activity. The PPA extract was found to be low or non-toxic in rats.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and Tyrosinase Expression of Ergosterol Derivatives from Phellinus pini

  • Hong, Yun Jung;Jang, A Reum;Yang, Ki So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3호
    • /
    • pp.258-262
    • /
    • 2013
  • Three ergosterol derivatives, ergosta-4,6,8(14),22-tetraen-3-one (1), ergosta-7,24(28)-dien-3-ol (2), and 5,8-epidioxyergosta-6,22-dien-3-ol(3) were isolated from the fruit body of Phellinus pini. Their structures were based on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IR, MS, and NMR (1D and 2D). These compounds were evaluated for their activity to decrease melanin production in ${\alpha}$-MSH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ctivated B16F10 cells. Compound 1, 2, and 3 reduced melanin cont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concentrations of 5~15 uM. They also suppressed the tyrosinase expression of protein and m-RNA level dose dependently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RT-PCR experiment in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iNOS and COX-2 Expression of Ergosterol Derivatives from Phellinus pini

  • Hong, Yun-Jung;Jang, A-Reum;Jang, Hyun-Jin;Yang, Ki-So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147-152
    • /
    • 2012
  • Ergosta-4,6,8(14),22-tetraen-3-one (1), ergosta-7,24(28)-dien-3-ol (2), and 5,8-epidioxyergosta-6,22-dien-3-ol(3) were isolated from the fruit body of Phellinus pini. Their structures were based on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IR, MS, and NMR (1D and 2D). These compounds were screened for their ability to inhibit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Compounds 1, 2, and 3 reduced NO production in the assay with $IC_50$ values of 29.7 ${\mu}M$ (1), 15.1 ${\mu}M$ (2), and 18.4 ${\mu}M$ (3) respectively. They also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protein and m-RNA of iNOS and COX-2 in a dose dependent manner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RT-PCR experiment in LPS-activated microglial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