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 Spray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32초

농업인의 농작업 위험 수용도 및 관련 요인 (Risk-Accepting Personality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Korean Farmers)

  • 윤지영;최영철;이원진;김재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33-344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isk-accepting personality trait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farm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farmers aged over 40 living in Goryeong, North Gyeongsang-do Province, Korea. Study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 the Korean Rural Cohort study from 2011 to 2014. Surveys for the risk perception of farming were made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Chi-squar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djusting for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Results: Sever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age first worked as a farmer, duration of farming, and history of pesticide poisoning were associated with risk-accepting personality traits among farmers. Farmers with risk-accepting personalities tend to be older, less educated, and have self-employed health insurance. Farmers who started farming after the age of 50 are likely to be risk averse compared to farmers who started farming before the age of 20 (OR=0.41, 95% CI; 0.21, 0.82). Frequent spraying of pesticides was marginally associated with higher risk acceptance among female farmers (OR=1.61, 95% CI: 0.99, 2.64). Male farmers who had experienced pesticide poisoning in their lifetime showed higher odds of risk-accepting personality traits (OR=2.20, 95% CI: 1.03, 4.72) Conclusion: Risk-acceptors were more likely to spray pesticides frequently and to experience more pesticide poisoning compared to risk-averse individuals. This result suggests that farming hazards are to some degree driven by risk-accepting personality traits. Further investigation of how risk-accepting behaviors influence farming practices and pesticide poisoning is needed.

항공방제용 농약의 혼용가능 조합 선발 및 생물효과 (Selection and Bioactivity of Tank Mix Combinations of Pesticides for Aerial Application)

  • 진용덕;이희동;심홍식;이상계;권오경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3-413
    • /
    • 2008
  • 벼의 주요 병해충인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벼멸구 및 나방류를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항공방제용 고농도 소량살포 가능 농약혼용조합 209조합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 벼는 물론 주변작물에 약해가 없고 살포액의 물리성이 양호한 tricyclazole SC + validamycin-A SL + imidacloprid SL 등 우수 혼용조합 93 조합을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된 조합의 항공살포에 의한 약효는 일반살포의 방제효과와 비슷하였다. 또한 유인헬기에 의한 항공방제는 일반 관행살포에 비해 방제비용을 1/4 수준으로 크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an Organophosphate Pesticide(Fenitrothion) on Foraging Behavior of Ants

  • Kwon, Tae-Su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2호
    • /
    • pp.179-185
    • /
    • 2010
  • Organophosphate pesticides inhibit cholinesterase. It is likely that application of organophosphate pesticides affect behavior of arthropods. This study aimed to find changes in foraging behavior of ants due to application of fenitrothion, one of the widely used organophosphate pesticides. Foraging activity (FA) of ants was observed using bait cards in a pesticide sprayed pine stand and in an unsprayed stand before and after aerial application of fenitrothion in 2003 and 2004. Ant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of ants were also monitored using pitfall traps during the activity season in 2003 and 2004.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ecrease in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after the application of fenitrothion. However, FA of an ant, Paratrechina flavipes (Smith), which was abundant enough to be statistically compared, was depressed from 2 hours to 10 days after application of the pesticide. FA was fully recovered at day 14 in 2003, and was partially recovered at day 18 and fully at day 31 in 2004. FA of other ant species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FA depression period of P. flavipes. On the bait cards, workers of the species responded dully to baits during the FA depression period. Despite the decline in activity, alertness of P. flavipes to other species did not decrease even during the FA depression period.

농약살포자의 방제복 미착용 요인 및 착용감 개선 방안 고찰 (A survey on the reason for low acceptability and proposal for its improvement for protective clothing in pesticide applicators)

  • 유경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77-785
    • /
    • 2004
  • We intend to analyze reasons for low acceptability of protective clothing in pesticide-spraying farmers in Korea, and to use the information for designing new clothing with better acceptability. To understand the attitude of farmers toward wearing protective clothing during spray, a survey was performed on 256 farmers. It is evident that the stress, which is caused by inadequate body temperature regulation, and its accompanying physiological responses are two of the leading factors for the low acceptability of protective clothing. Although the cost of clothing is not an important factor currently, low cost clothing is desirable in the future. Fancy of design is unimportant for new clothing.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a desirable research focus for new types of protective clothing. Efforts should be made to ameliorate thermal stress through protective material development and garment design.

  • PDF

Modelling the capture of spray droplets by barley

  • Cox, S.J.;Salt, D.W.;Lee, B.E.;Ford, M.G.
    • Wind and Structures
    • /
    • 제5권2_3_4호
    • /
    • pp.127-140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some of the results of a project whose aim has been to produce a full simulation model which would determine the efficacy of pesticides for use by both farmers and the bio-chemical industry. The work presented here describes how crop architecture can be mathematically modelled and how the mechanics of pesticide droplet capture can be simulated so that if a wind assisted droplet-trajectory model is assumed then droplet deposition patterns on crop surfaces can be predicted. This achievement, when combined with biological response models, will then enable the efficacy of pesticide use to be predicted.

흰불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제제화에 관한 시험 (Experiment of the formulation for the viral pesticide of nuclear polyhedrosis virus of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 진병래;김권영;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1-57
    • /
    • 1987
  • 흰불나방의 미생물적 방제를 위한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제제화와 그 실용화를 위한 야외 살포 시험을 통해 얻어진 제제의 불활화 정도 및 살포효과는 다음과 같다. 흰불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불활화 조사에서 부유액의 경우 야외 살포후 5일이 경과한 후로는 완전히 불활화 되었으며, 제제는 살포 후 20일이 지나서 완전히 불활화 되어, 흰불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를 제제화 했을 때 부유액에 비해 약 10-15일 정도 활성을 보유하여 제제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또 제제의 야회 살포효과 시험에서 부유액의 경우는 2일이 경과하면서 병원성을 보이지 않은 반면에 제제는 접종당일 살포하였을 때 약 50%정도의 폐사율을 나타내었으며, 살포 후 9일까지는 약 30% 정도의 폐사율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안전성을 보이다가 살포 후 14일이 경과하면서 병원성을 보이지 않았다. 제제의 경우 야외에서 약 10일 이상 감염력의 지속에 의한 살포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생산단계 참외 중 Metalaxyl-M 및 Flusilazole의 잔류허용기준 설정연구 (Determination of Pre-Harvest Residue Limits of Pesticides Metalaxyl-M and Flusilazole in Oriental Melon)

  • 김다솜;김경진;김해나;김지윤;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
    • /
    • 2014
  • 본 연구는 참외에 대한 살균제 metalaxyl-M과 flusilazole의 잔류량 변화를 측정하여 약제별 잔류특성을 파악하고, 반감기를 산출함으로써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HRL, Pre-Harvest Residue Limit)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 약제인 metalaxyl-M과 flusilazole은 안전사용기준에 준하여 7일 간격으로 1회, 2회살포하였으며, 살포 2시간 후를 0일차로 하여 0, 1, 2, 3, 5, 7, 9, 11일차에 수확하였고, 잔류량의 경시변화 결과를 토대로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였다. 시료는 QuEChERS방법을 이용하여 전처리하였으며, metalaxyl-M의 경우 GC/NP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flusilazole은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참외 중 metalaxyl-M과 flusilazole의 LOQ (Limit of quantitation)는 각각 0.02 mg/kg, 0.01 mg/kg이었으며, metalaxyl-M 회수율은 95.7-103.2%이었고, flusilazole은 100.2-106.8%이었으며, 표준편차는 모두 10% 미만이었다. 참외 중 각 농약에 대한 생물학적 반감기는 flusilazole의 경우 1, 2회 처리구에서 12일이었으며, metalaxyl-M의 경우 23일이었다. 본 연구결과, metalaxyl-M 및 flusilazole의 수확 10일 전 PHRL은 각각 1.5, 0.3 mg/kg로 나타났으며, 수확 시 metalaxyl-M, flusilazole의 잔류농도는 MRL을 초과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정전방제 시스템의 구성과 약액부착 효과에 관한 연구 (A Construction of the Electrostatic Pesticide Spray System and its Effectiveness in Droplets Deposition)

  • 김명규;민영봉;문성동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1-4
    • /
    • 1998
  • 상온연무기와 같은 소량살포기에 의해 살포된 농약액의 입자경은 10-20$\mu\textrm{m}$ 이하의 것이 대부분이다. 미소 액적은 단시간에 공기의 습구 온도와 평형하게 되어 혼합, 확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증발과 Drift현상이 발생된다. 시설원예의 경우 폐쇄환경에 있으므로 연무직후 온실내 작업의 제한, 부착력포의 불균일, 증발과 Drift량의 과다 등이 큰 문제가 된다. (중략)

  • PDF

농약살포 농민의 농약노출로 인한 건강피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th Effects of Pesticide Exposure among Farmers)

  • 이경무;민선영;정문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245-263
    • /
    • 2000
  • 본 연구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농약살포를 대부분 담당하는 남성 농민들에 대하여, 농부증을 포함한 만성증상과 농약살포시의 이상증상경험, 이상증상 경험시 살포한 농약, 농약살포시의 안전수칙 준수, 보호구의 착용실태, 가족 중 농약으로 인한 사고경험을 조사하고, 농약노출과 연관된 변수들간의 연관성, 급성중독경험 및 만성증상과 관련된 요인을 고찰하였다. 만성증상으로는 '몸이 나른하고 힘이 없다', '허리가 아프다'. '밤중에 소변을 보기 위해 깬다' 등의 증상이 많았으며, 농약살포 시의 임상증상 경험율은 '피부발진/가려움증', '어지러움/두통'의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 대상자의 7.1%가 가족중 농약으로 인한 사고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농약살포시 중독, 안전사고 및 자살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농약살포 시의 준수사항 중, '뿌린 후 목욕을 한다'와 '뿌린 후 바로 옷을 갈아입는다' 등의 경우가 준수율이 높았으나, '보호구를 잘 세탁해서 보관한다', '뿌린 후 용변을 볼 경우 손을 씻는다', '한낮에는 뿌리지 않는다' 등의 경우는 낮은 준수율을 보였다. 농약살포시 보호구는 '물에 타서 살포할 경우', '입제를 살포할 경우'에 비해 보호구를 더 잘 착용하였으며, 착용율은 모자, 장화, 마스크, 장갑, 방제복 하의의 순이었다. 농약살포시 이상증상경험과 관련된 요인은 농약살포시 준수사항 준수, 살포시간, 과수재배, 경작면적, 연간 농약살포일 등이었으며, 농민의 만성증상과 관련된 관련된 요인은 농약살포시 이상증상 경험, 경작면적, 농사경력, 농약살포시 준수사항 준수, 전업여부, 농약에 대한 노출 등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농약살포시 준수사항의 준수율과 보호구 착용율을 높이며 농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체제적인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농약에 대한 노출이 농민의 만성증상의 한 원인이라는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우나, 원인적 연관성일 가능성을 배재할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농약노출을 정확히 산출하고, 좀더 명확한 건강영향의 생물학적 지표(biological marker)를 측정하여 이들의 연관성을 고찰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grobacterium radiobacter K84에 의한 장미 뿌리혹병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crown gall disease on rose by Agrobacterium radiobacter K84)

  • 박광훈;차재순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50-53
    • /
    • 2001
  • 최근 우리나라의 여러 작물에서 뿌리혹병(근두암수병(根頭癌睡病), crown gall)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중요한 화훼작물인 장미를 재배하는 시설하우스에서 뿌리혹병의 발생은 매우 심한 피해를 가져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병에 대한 방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성공적으로 뿌리혹병의 생물농약으로 개발된 Agrobacterium radiobacter K84의 장미 뿌리혹병 방제효과를 검정하여 국내에서 장미 뿌리혹병의 방제에 그 사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장마의 지상부에 인위적인 상처를 주고 병원균을 접종하기 전에 그리고 접종 후 A. radiobacter K84 균주 현탁액의 살포는 뿌리흑병의 발병률과 혹의 크기를 크게 감소시켰다. K84 균주를 처리한 장미에서 뿌리혹병의 발병률은 $5.0{\sim}6.7%$로서 병원균을 단독 접종한 대조구에서의 발병률 85%에 비하여 크게 낮았다. K84 균주를 처리한 장미에서 형성된 혹의 크기와 생체중도 병원균만을 접종한 대조구 장미에 형성된 혹의 $4{\sim}5%$로서 K84 균주의 처리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다. 장미의 뿌리에 인위적인 상처를 주고 병원균의 접종 전 및 후에 K84 현탁액에 침지 처리한 경우에도 혹의 크기, 생체중 그리고 병 발생률이 크게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K84 균주 치리에 의한 지상부 혹의 생물적방제가는 $92{\sim}94%$이었고, 뿌리에서의 뿌리혹병 생물적방제가는 $51{\sim}59%$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A. radiobacter K84 균주의 처리가 매우 효과적으로 장미 뿌리혹병을 방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