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simism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5초

자살의 생물학적 기전 (Biological Mechanism of Suicide)

  • 천은진
    • 생물치료정신의학
    • /
    • 제24권3호
    • /
    • pp.129-141
    • /
    • 2018
  • Suicide is a behavior that is intended to cause death by itself and requires medical treatment, resulting in suicidal attempt or completion. Suicide causes loss of life, damages the body, costs a lot of medical expenses, and causes families to fall into sorrow and suffering therefore this suicide is a huge loss to family and society. There have been attempts to reduce and prevent suicide by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suicide. The mechanism of suicide can be thought of as psychological mechanism and biological mechanism. In the past, if we considered the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mechanisms separately,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now connects and integrates these two. Psychological factors affect biological factors and biological temperaments also affect perception or thinking about the situation and increase psychological vulnerability. Distant factors in suicidal behavior-such as childhood adversity and family and genetic predisposition-increase the lifetime risk of suicide. They alter the response to stress and other processes through changes in gene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Distant factors affect the biological system and consequently changes in these systems can increase the risk of suicide. In other words, the distal factor does not directly induce suicidal behavior but rather acts indirectly through developmental or mediating factors. These mediating factors are impulsive aggressive and anxious trait, and chronic use of substances. The mechanism of this disorder is the abnormality of the serotonin system and the abnormality of the lipid level. Proxima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onset of suicide events and include changes in the major neurotransmitter systems, inflammatory changes, and dysfunction of glial cells in the brain. A series of studies, including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and postmortem and in-vivo imaging studies, show the impairment of the serotonergic neurotransmitter system and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stress response system for suicidal behavior. These disorders lead to suicidal behavior due to difficulty in cognitive control of mood, pessimism, reactive aggression, abnormality in problem solving abilities, excessive response to negative social signals, severe emotional distress, and cognitive dysregulation of suicidal ideation.

병역판정검사를 위해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환자들의 초기 부적응 스키마와 관련 인지 기능 특성 (Characteristic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Associated Cognitive Functions in Visitors to the Psychiatric Department in a University Hospital for Military Designation Process)

  • 정연재;이승재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8-76
    • /
    • 2019
  • Objective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EMSs), and associated neurocognitive functions as seen in visitors for military designation process. Methods :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11 males aged 18 to 24 years among three groups: 41 visitors for military designation process (VMD), 21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and 49 healthy subjects. We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 Symptom Checklist-90-Revised, three neurocognitive tests as well as their clinicodemographic data.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EMSs between these three groups,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identified EMSs and neurocognitive performances within the VMD group. Results : Compared with both the OCD and healthy groups, the evaluation of the VM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mistrust/abuse (F=6.4, p=0.002), vulnerability to harm (F=6.6, p<0.0001) and negativity/pessimism schema (F=7.3, p<0.0001), even when controlling for depression scores and levels of education. These three schemas also exhibit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score of Stroop test with r ranging from -0.34 to -0.44.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ople who are likely to have difficulties adjusting to living in a military life may have psychological vulnerabilities related to certain EMSs.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test the clinical potentials of these findings, such as a treatment target and a predictor factor.

2005년 전국 자살실태 분석 (An Analysis of the National Suicide Rate in Korea during 2005)

  • 김기정;곽정식
    • 대한수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22
    • /
    • 2007
  • 자살은 불균형적인 사회발달로 인해 발생된 많은 사회문제들과 사회 전반적인 생명 경시적인 흐름에서 그 원인을 엿볼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다른 사회문제들에 대한 부수적인 차원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져 왔던 것이 현 실정이다. 지금까지 자살의 정의와, 자살의 원인 및 자살의 예방법에 관한 이론적인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 왔으나 자살문제는 다른 사회문제와는 달리 치료, 해결이란 거의 불가능하다. 치료, 해결을 할 수 있는 경우는 자살이 실패로 끝난 경우에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전체 변사사건 중 자살사건이 차지하는 비율을 파악하고 실제적인 원인을 자살수단, 직업, 연령, 학력 등의 연관성에 따라 나타난 특성분석을 실시하여 날로 심각해져만 가는 자살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5년 전체변사에서 자살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52.4%를 차지하였고 남성이 69%로 31%를 차지하는 여성에 비해 높았으며, 이는 사회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자살방법에 있어서도 남성은 투신, 독극물, 목맴 등 적극적인 방법(80%)을 택하는 반면, 여성은 수면제나 손목동맥절단 등의 소극적인 방법(60%)을 선택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원인에서는 비관, 병고, 부정, 정신이상 등이 75% 이상으로 대부분 우울증세를 표출 후 자살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가정생계형 비관 관련 대학교 이하 저학력의 직접 노동형 종사자 등 무직자들의 자살이 많았으며, 최근 대졸 이상의 고학력자들과 정년 이후의 사회적 위치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신병비관 등의 우울증 관련 자살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파악되었다. 전체적으로 원인은 여러 가지이나 최종 자살하기까지는 대부분 우울 증세를 표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돼 정신과적인 자살문제의 심각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현재의 자살추이가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것이라는 예측을 함으로써 이에 대한 사회 정책을 유도하는 한편, 환경적, 사회적, 정책적 차원의 계속적인 지원으로 개인적인 갈등차원을 떠나 하나의 유행처럼 번질 수도 있으며, 지금보다 더욱 더 큰 형태의 문제로 다가올 수 있는 현실적인 사회문제에 대처할 국가 차원의 대비책 및 관리책 마련과 연구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일본(日本) ANIMATION 작품의 NARRATIVE에 보여지는 과거, 현재, 미래 시제(時制)의 분석(分析) - 오토모 가츠히로(大友克洋)의<메모리즈>를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f Past, Present and Future as Shown in the Narratiive of Japanese Animation Work - Focusing on of Otomo Katsuhiro -)

  • 이승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91-97
    • /
    • 2008
  • 기억이 지워지지 않고 그대로 남는다면 어떻게 될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통상적인 태도는 기억에 대한 애착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기억이 지워진다는 것, 추억을 망각한다는 것, 혹은 그런 기억을 지우고 다른 것으로 대체한다는 것은 결코 참을 수 없는 일 일 것이다. 각기 다른 작품으로 보아도 이해에 무리는 없으나, 이들을 <메모리즈(Memories)>라는 공통된 제목 아래 함께 볼 때 전체의 문제의식과 작품에서 풍기는 이미지는 분명히 달라지는 것이다. 이 세 편의 에피소드는 애니메이션 특유의 환상적 영상과 분위기로 관객을 흡입한다. <그녀의 추억(Magnetic Rose)>에서는 과거의 기억에 사로잡혀 현재를 사랑할 줄 모르는 한 여인의 한이 얼마나 파괴적일 수 있는가를 통해, 현재와 연결되지 못하는 추억이라는 것의 허위를 보여준다. <최취병기(Stink Bomb)>에서는 눈 앞의 것에만 집착하는 인물들을 그림으로써 현실문제의 핵심을 파악하지 못하는 사회를 비판한다. <대포의 거리(Cannon Fodder)>는 자신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도 모르는 채 주입된 미래에 대한 꿈의 무의미함을 보여준다. 관객은 과거와 현재, 미래에 집착하는 각각의 주인공들에게 빨려 들어간다. 이 세 편의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비관주의가 바탕에 짙게 깔려있는 인간사회에 대한 의문이며, 피상적인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사로잡혀 현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소외된 개인들, 혹은 이들의 의식을 단절시키는 사회이다.

감각운동 리듬(SMR파)파 직접노출에 의한 심리적 불안상태 해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tigation of Psychological Instability of Soldiers by Direct Exposure to the SMR Wave)

  • 김경래;김규범;조형석;박정순;김형준;여선구;민병찬
    • 감성과학
    • /
    • 제22권3호
    • /
    • pp.103-108
    • /
    • 2019
  • 휴전국인 우리나라는 의무복무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취업 및 진학을 한 20대 초반의 사회 초년생은 군입대 문제로 많은 고민과 큰 걱정을 하고 있다. 이에 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군 생활 적응은 사회가 같이 풀어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방송사 등 문제 해결을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역부족이다. 실제 군 입대 후 스트레스 및 불안정 심리상태의 장병 비중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군 생활에서 일상적인 방법을 통해 스트레스,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집중력을 향상 시키고자 실행하였다. 주의 집중력 증가 및 스트레스, 불안감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SMR파 대역의 주파수를 직접 노출시킨 실험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대한 대응표본 t-검정 결과는 신뢰수준 95%에서 t=2.487, p=0.042로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즉, 가상사격영상에서 특정 주파수를 제시한 실험군의 피실험자들이 스트레스 및 불안정 심리의 완화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활용하면 젊은 장병들의 군 생활 적응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심전도와 뇌파의 상관관계의 확인이 필요하다.

순위가중치평균법에 의한 의사전략 결합 및 다기준의사결정 문제로의 적용 (Aggregation of Decision Inputs with Ordered Weighted Averaging Operators and Application to the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 Problems)

  • 오세웅;박종민;양영훈;서기열;이철영;서상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37-543
    • /
    • 2007
  • 다기준 의사결정 문제에서 요인간의 가중치 계산과 계산된 요인의 평가값 종합화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기준 의사결정 문제에 있어서 의사결정자의 의사전략 결합기법과 다기준의사결정 문제로의 적용을 연구하였다. 복잡한 환경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 발생되는 모호함을 해결하기 위해 주관적 의견을 결합한 퍼지지합 이론을, 다기준 문제의 요인을 퍼지값으로 계층화하기 위해 계층분석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의사결정자의 의사전략을 결합하기 위해 순위 가중치평균법을 이용하였다. 순위가 있는 가중치 평균방법은 퍼지집합의 orness 특성을 이용하여 의사결정자의 주관적 의지를 반영할 수 있는 기법으로, 순위가중치평균(OWA) 연산자에 따른 낙관적 혹은 비관적인 정도에 따라 주관적인 의도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이다. 다기준의사결정 문제의 적용사례로서 해상교통안전을 위한 대기정박지의 위치분석 문제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적용하였다.

사회적 배제 집단으로서의 저소득 모자가족과 통합적 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Comprehensive Policies for Low-Income Single-parent Households - Using a Concept of Social Exclusion)

  • 송다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295-319
    • /
    • 2003
  • 본 연구는 저소득 모자가구주의 대부분이 일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여전히 어려운 노동빈민(working poor)으로서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비롯되었으며, 저소득모자가구의 생활실태를 최근 사회과학 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배제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의 극복방안으로서 사회적 통합과 연대모색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남성가장을 중심으로 한 일반가구, 일반 모자가구, 사회적 빈곤선 이하에 놓인 저소득모자가구를 대상으로 각 가구유형별 특성과 생활실태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반적인 모자가구의 사회적 배제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0년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사회복지욕구조사" 원자료를 이차분석(secondary analysis) 하였으며 총 3,182가구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모자가구는 일반모자가구, 저소득모자가구에 상관없이 고용형태, 주거형태, 소득, 소비생활 측면에서 일반(남성가장)가구에 비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일반가구에 비해 모자가구는 가족으로부터 자원을 제공받기보다는 오히려 장애, 만성질환 등의 가족원을 보호해야 하는 상당한 부담을 안고 있었으며, 사회적 안전망에서도 모자가구는 전반적으로 제외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모자가구가 일반가구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사회적으로 취약해지거나 고립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현실을 반영하며, 현재 공식적으로 빈곤층, 혹은 저소득층으로 분류되지는 않았지만 일반모자가구도 포괄적인 사회적 안전 망이 확립되지 않는다면 향후 저소득층으로 배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확인시켰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모자가족의 사회적 배제를 극복할 수 있는 사회적 통합방안이 모색되었다.

  • PDF

방사선치료와 암에 대한 학생들의 단편적인 견해 - 한 의과대학 의학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Radiation Therapy and Cancer - A Questionnaire Survey of 142 Third Grade Medical Students -)

  • 오윤경;박상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66-171
    • /
    • 1999
  • 목적 : 방사선치료에 대해 타과 전문의나 일반의 또는 일반인들이 문의하는 경우 왜곡된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경우를 많이 만나게 된다. 이에 방사선종양학 강의를 듣기 전 학생들이 방사선치료에 대해 갖고 있는 단편적인 견해를 파악하고 암 종류에 따른 좋고 나쁜 이미지를 알아내어 학생들과 의사 또는 일반인 대상의 방사선치료 교육과 홍보에 이용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방사선 종양학 강의를 듣기 전이고 임상 실습을 시작하지 않은 의학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의 실제적인 내용에 대해 어떻게 알고 있는가와 암 종류에 따른 좋고 나쁜 이미지를 설문의 형식으로 조사하였다. 암 종류는 남, 여로 나누어 한국인에 호발하는 암 중에서 선택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는 142명으로 남학생이 118명, 여학생이 24명이었다. 결과 : 방사선치료에 대해 학생들이 갖고 있는 단편적인 견해에 대한 설문 7개 중 지식에 관한 것이 6개인데 이중과반수의 학생에서 올바르게 알고 있는 항목은 1개에 불과하였다. 또한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에 대해 56$\%$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학생들은 대장암, 폐암, 식도암, 간암, 유방암, 자궁암에 대해서는 나쁜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들 암들은 국내 방사선치료 환자의 56$\%$,를 차지하며, 위암, 백혈병에 대해서는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결론. 많은 학생들이 방사선종양학 강의를 듣기 전에는 방사선치료의 기본적인 내용을 잘못 알고 있으므로 일반인들에게 이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겠다. 또한 많은 학생들이 항암치료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는 경향이어서 치료 효과가 좋은 암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교육이 필요하고, 암 종류에 있어서, 혐오하는 경향이 있는 대장암, 페암, 식도암, 간암, 유방암, 자궁암은 방사선치료의 역할이 크므로 이러한 암들에 대해 방사선치료의 긍정적인 역할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사랑의 변주곡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A Semiological Study of Kim Soo-Young′s ″A Variation of Love″)

  • 한명희
    • 인문언어
    • /
    • 제1권2호
    • /
    • pp.47-63
    • /
    • 2001
  • "A Variation of Love" is a characteristic Kim Soo-Young poem, in that it embodies the poet′s innovative use of language and proceeds speedily, like many of his other poems. Above all, the poem reveals the core of Kim′s poetical spirit, his speculation about love. The poem is difficult to understand because it broadly uses run-on lines and even run-on stanzas, a technique that many readers are unfamiliar with. The semiological approach of this paper will bring new light on the poem by restruct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s, that is, by taking apart the sign system of the original text and reconstructing its sentence structure. If we rearrange the poem from its original six stanzas and fifty-one lines to four stanzas and twenty-three lines, we will discover a close connection between stanzas 1 and 2, and between stanzas 3 and 4. Of the many keywords of the poem, we may establish the dominant word as "love," into which every poetic word converges and from which each word emanates. Another important keyword is "fatigue of the city" in stanza 4. Similarly negative aspects of the city may be found in the line "the same may be said of Bombay, of New York, of Seoul" in stanza 3, as well as in the words "desire" in combination with "the lamplights of Seoul like leftovers in the pig sty" in stanza 1. The persona of the poem tries to overcome the "fatigue of the city" by "love," but the way he realizes love is, somewhat peculiarly, through stillness and silence. The persona aligns "the stones of the peach and the apricot and the dried persimmon" with the his faith in love. He calls the stones "beautiful hardness" presumably because that hardness (the stillness and silence) may blossom into beauty. In the earlier stanzas, the persona′s quest for love results in an awareness that love is omnipresent, but the persona determines "not to shout it out loud." The reason for this determination is found in stanza 4. Those who experience the "fatigue of the city" will be able to realize it by themselves. This seemingly defeatist conclusion by no means suggest pessimism, for the persona holds the conviction that "there will come a day when [one] will rave for love." This conviction rescues the poem from the dismal mood suggested by the "fatigue of the city." At all event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fatigue of the city" should not be considered apart from "love." Yet, strangely enough, the poem embodies a severe critique of the city, and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clarify why this critique appears in the form of "love." But this will be the treated in another paper.

  • PDF

장애인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SADP and ATDP-O)의 타당도 검증 (Validation of the Scale of Attitudes towards Disabled Person(SADP and ATDP-O) in Korea)

  • 신은경;이한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267-28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Antonak(1982)이 개발한 SADP and ATDP-O(Scale of Attitudes for Disabled Persons and Attitudes towards Disabled Persons Scale-Original)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국내에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무원, 의료인, 교사, 언론인,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로 구성된 표적집단과 일반집단으로 구분한 비장애인 500명을 표집하여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표적집단과 일반집단 간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 척도는 '염세주의-고정관념', '낙관주의-인권', '손상된 성격' 세 가지 차원의 15개 문항으로 정리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재구성한 척도의 적합성은 수용할만한 수준(good/reasonable fit)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척도의 Cronbach's ${\alpha}$ 값은 .8이 넘어 안정적인 신뢰도를 보였으며, DFS(Disability Factor Scale)와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 수렴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표적집단이 일반집단보다 장애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는 다양한 장애유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장애유형별 검증이 필요하며, 척도의 활용으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개선하기 위한 임상적, 실천적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