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National Suicide Rate in Korea during 2005

2005년 전국 자살실태 분석

  • Kim, Gi-Jeong (Criminal Investigation Division, Daegu Metropolitan Police Agency) ;
  • Kwak, Jyung-Sik (Department of Forensic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김기정 (대구지방경찰청 수사과) ;
  • 곽정식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법의학교실)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From the numerous social problems generated by the unbalanced social development and the social trend of belittling life overall, we found the causes of suicide getting worse in its seriousness day by day. In reality, the problem has been approached in a collateral level in contrast with other social problems. There have been an active involvement in studying the definition, causes and ways of prevention of suicide theoretically until now. However, different from other social problems, it is almost impossible to treat or fix the problem of suicide. Only ways to treat or fix the problem is when the suicide has ended in failure. Thu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suicide rate among the total accidents during the year 2005, perform the analyses on the actual causes according to the relations such as the means of suicide, occupation, age group, educational background, etc. In order to present a solution to the issue of suicide becoming serious each day. Among the total accidents in 2005, the suicide rate came out to be approximately 52.4%. Among the result, 52.4%, male with 69% resulted higher than female with 31%, which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social functions. While men tends to take more active(80%) means of suicide like jumping off, poison, hanging, etc., women tends to take more passive(60%) means of suicide like sleeping pills, slitting wrist, etc. In terms of the cause, pessimism, illness, denial, mental disorder, etc resulted more than 75%, and there were many cases of suicide after exhibiting the signs of depression. Also there were higher suicide rate of the unemployed engaged in direct labor with educational background lower than college level related to the pessimism regarding the family living cost. We were able to determine the recent increase in the suicidal tendency of the educated people higher than the college level and the retired people with depression caused by the sudden change in social status. Overall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suicide, however, in most cases the signs of depression were exhibited until the final suicide, which tells us the serious psychological problem of suicide. Assuming that the current development of suicide will continue in fu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guide the corresponding social policies, be utilized in preparing the insurance or management at the national level dealing with the real social problems that are not just a conflict of an individual, but could spread like a fad and become much bigger than the present by the continuous support at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political levels, and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to establish the research plan.

자살은 불균형적인 사회발달로 인해 발생된 많은 사회문제들과 사회 전반적인 생명 경시적인 흐름에서 그 원인을 엿볼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다른 사회문제들에 대한 부수적인 차원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져 왔던 것이 현 실정이다. 지금까지 자살의 정의와, 자살의 원인 및 자살의 예방법에 관한 이론적인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 왔으나 자살문제는 다른 사회문제와는 달리 치료, 해결이란 거의 불가능하다. 치료, 해결을 할 수 있는 경우는 자살이 실패로 끝난 경우에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전체 변사사건 중 자살사건이 차지하는 비율을 파악하고 실제적인 원인을 자살수단, 직업, 연령, 학력 등의 연관성에 따라 나타난 특성분석을 실시하여 날로 심각해져만 가는 자살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5년 전체변사에서 자살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52.4%를 차지하였고 남성이 69%로 31%를 차지하는 여성에 비해 높았으며, 이는 사회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자살방법에 있어서도 남성은 투신, 독극물, 목맴 등 적극적인 방법(80%)을 택하는 반면, 여성은 수면제나 손목동맥절단 등의 소극적인 방법(60%)을 선택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원인에서는 비관, 병고, 부정, 정신이상 등이 75% 이상으로 대부분 우울증세를 표출 후 자살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가정생계형 비관 관련 대학교 이하 저학력의 직접 노동형 종사자 등 무직자들의 자살이 많았으며, 최근 대졸 이상의 고학력자들과 정년 이후의 사회적 위치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신병비관 등의 우울증 관련 자살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파악되었다. 전체적으로 원인은 여러 가지이나 최종 자살하기까지는 대부분 우울 증세를 표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돼 정신과적인 자살문제의 심각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현재의 자살추이가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것이라는 예측을 함으로써 이에 대한 사회 정책을 유도하는 한편, 환경적, 사회적, 정책적 차원의 계속적인 지원으로 개인적인 갈등차원을 떠나 하나의 유행처럼 번질 수도 있으며, 지금보다 더욱 더 큰 형태의 문제로 다가올 수 있는 현실적인 사회문제에 대처할 국가 차원의 대비책 및 관리책 마련과 연구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