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uasive Communicatio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초

커뮤니케이션 융합플랫폼의 크리에이티브 전략과 개인적 성향에 따른 광고효과 (Ads Impact of Communication Convergence Platform's Creative Strategy and Personal Attributes)

  • 김재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99-107
    • /
    • 2020
  • 밀레니얼 하이 테크 미디어의 개인화된 특성은 기존의 정형화된 크리에이티브 문법을 깨트리고 있다. 파괴적인 하이 테크 미디어의 정보 형태는 소비자의 성향이나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수용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하이테크 미디어의 효율적인 크리에이티브 전략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탐색해 보는데 있다. 소비자의 심리적 성향에서 소비자 혁신성은 하이 테크 미디어의 크리에이티브를 평가하는데 핵심적인 요인이다. 소비자의 혁신성과 하이 테크 미디어의 크리에이티브 유형에 대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추상적) 크리에이티브 유형은 혁신성이 낮은 소비자보다 혁신성이 높은 소비자에게 광고에 대한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그리고 구전의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설득효과 연구: 공익 콘텐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suasive Effect of Mobile Application: focusing on public interest content)

  • 김민정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43-48
    • /
    • 2024
  • 본 연구는 최근 소비자의 경험을 자극하여 설득효과를 높이고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상업적 목적이 아닌, 공익적 목적의 콘텐츠들이 사용자의 태도와 신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으로 상호작용성과 공익성을 선정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를 체험한 피험자들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상호작용성과 공익성은 콘텐츠태도와 제품신념에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텐츠태도가 신념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수용자의 콘텐츠 태도를 강화함으로써 인식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pplication of ChatGPT text extraction model in analyzing rhetorical principles of COVID-19 pandemic information on a question-and-answer community

  • Hyunwoo Moon;Beom Jun Bae;Sangwon B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2호
    • /
    • pp.205-213
    • /
    • 2024
  • This study uses a large language model (LLM) to identify Aristotle's rhetorical principles (ethos, pathos, and logos) in COVID-19 information on Naver Knowledge-iN, South Korea's leading question-and-answer community. The research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hese rhetorical elements in the most upvoted answers with random answers. A total of 193 answer pairs were randomly selected, with 135 pairs for training and 58 for testing. These answers were then coded in line with the rhetorical principles to refine GPT 3.5-based models. The models achieved F1 scores of .88 (ethos), .81 (pathos), and .69 (logos). Subsequent analysis of 128 new answer pairs revealed that logos, particularly factual information and logical reasoning, was more frequently used in the most upvoted answers than the random answers, wherea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thos and pathos between the answer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health information consumers value information including logos while ethos and pathos were not associated with consumers' preference for health information. By utilizing an LLM for the analysis of persuasive content, which has been typically conducted manually with much labor and time, this study not only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using an LLM for latent content but also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horizon in the field of AI text extraction.

새로운 산림커뮤니케이션 접근방법의 모색과 미디어별 효과 차이: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적용 (A New Approach to Communication Method in Forest Science and Media Type Effects: An Application of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 홍성권;박미선;김재현;이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4호
    • /
    • pp.377-386
    • /
    • 2007
  •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정교화 가능성 모델이 산림분야에서도 적용 가능한지와 미디어간 커뮤니케이션 효과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모델이 제시하고 있는 주요 변수인 동기변수(관여도, 인지욕구 및 감성욕구)와 능력변수(사전 지식)가 태토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회귀분석으로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독립변수들은 유의성이 높아 산림분야도 이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미디어 효과는 TV, 인터넷 및 신문으로 동일한 메시지를 전달한 후, 미디어별 설득력과 회상의 차이로써 검증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TV가 신문보다 설득력이 있었지만 TV와 인터넷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회상의 경우에는 인터넷과 TV가 신문보다 효과적이었다.

영재교육 수혜 경험이 학교 성적 및 학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ifted Education on School Achievements and Academic Skills)

  • 최정원;이은경;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45-25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수혜 경험이 영재의 학교 성적 및 학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영재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1세기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인 새로운 지식의 습득, 창의적 문제 해결력, 논리적 사고력, 설득력, 협동력, 자기주도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을 영재가 갖추어야 할 학업 능력으로 정의하고 과학고등학교와 영재학교 재학생 1,156명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경험이 학교 성적이나 학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영재교육은 학생들의 새로운 지식 습득, 협동력, 의사 소통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자기주도학습능력, 설득력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영재교육 수혜 경험이 학교 성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연구 방법, 실험 실습 방법, 토론 방법 등을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영재교육과정을 개선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OTT Viewing Data in the Golden Age of Streaming: A Small Sample AHP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 Seung-Chul Yoo;Yoontaek Sung;Hye-Min Byeon;Yoonmo Sang;Diana Piscarac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1호
    • /
    • pp.140-148
    • /
    • 2023
  • With the OTT media market growing rapidly, the significance of trustworthy data verification and certification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is study delves into the crucial need for such measures in South Korea, exploring the steps involved, the technological and policy-related considerations, and the challenges that may arise once these measures are put into place. Drawing on in-depth interviews and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his study surveyed various stakeholder group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OTT data authentication and certification. By assessing the severity of OTT data-related issues and identifying the requirements for reliability-improvement policies, participants shared their valuable insights and opinions on this pressing matter. The survey results clearly indicate a divided opinion among stakeholders and industry experts on the reliability of OTT data, with some expressing trust while others remain skeptical. However, there was a consensus that advertising-based AVOD is more reliable than SVOD. By analyzing the priorities of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this study paves the way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Korean MRC (KMRC), centered on the OTT media industry. The KMRC will serve as a vital platform for ensuring the authenticity and accuracy of OTT data in South Korea, providing businesses and industry players with a 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for informed decision-making. This study highlights the pressing need for reliable data authentication and certification in the rapidly growing OTT media market, and provides a persuasive case for the establishment of a KMRC in South Korea to meet this critical need.

Nudge of VTS

  • 김봉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2-134
    • /
    • 2011
  • 커뮤니케이션은 화자와 청자간의 대화 또는 의사전달 방식을 통해 특정의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상에서 선박의 안전통항을 위한 해상교통관제사와 선박 운항자의 커뮤니케이션 역시 이와 같이 상호간 의도하고자 하는 결론을 이끌어 내는 목적을 달성하여야 한다. 이는 해상무선통신이라는 열악한 수단을 통해 간략한 표현방식과 이해하기 쉬운 설득적 표현, 결론을 쉽게 유도해 낼 수 있는 전략적 대화 기술 등으로 완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이런 표현과 기술 등은 운항자의 결정요소를 강제할 수 없으며 현행법에서의 테두리를 벗어나선 안 된다. 해상교통관제사들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이런 요인들을 감안한 고도의 테크닉이어야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지금 현장에서 벌어지는 해상통신 방식의 문제점과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표현의 범주, 학습되어야 할 표현의 기술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메시지 조절목표와 메시지 형식 간 적합성이 메시지 설득력에 미치는 영향 (The Persuasive Impact of Fit between Message Goals(Promotion vs. Prevention) and Modality of Message on Social Media)

  • 김동후;송영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604-621
    • /
    • 2021
  •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소셜미디어의 성장은 소비자가 영양학적 선택과 건강한 음식 소비를 하는 데 소셜미디어의 영향력 역시 증가시켰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 상에서 건강한 식습관과 관련한 메시지 목표(향상 vs. 예방)와 메시지 형식(텍스트 vs. 이미지)이 메시지 설득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향상메시지에 노출된 참가자들은 소셜미디어 메시지 형식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예방메시지에 노출된 참가자들은 텍스트 (vs. 이미지) 형식의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 메시지에 대한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해당 메시지에 대해 더 높은 클릭 의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셜미디어 상 건강메시지의 형식과 메시지 목표의 적합성이 메시지 효과에 영향을 미침을 이론적으로 증명하였다. 더불어 효과적인 건강메시지 작성 및 전달 방식에 대한 실무적 지침 역시 제공하리라 예상한다.

영상의 수사적 표현 연구 (Study on Visual Rhetoric)

  • 안상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207-214
    • /
    • 2003
  • 수사법이 영상이미지를 구성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는 이유는 영상이 비언어적 수단들로 소통되기 때문이다. 영상이미지에 내재된 수사법은 일차적으로는 이야기가 설득력을 갖도록 기능한다. 이차적으로 수사법은 영상을 아름답게 꾸미는 기능을 맡는다. 이로 인해 아름다운 비유법이나 신선한 수사법이 가미된 영상이미지를 접할 때 우리는 좀 더 즐거움과 기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한편으로 헐리우드 영화에 의한 볼거리 영상과 디지털 영상 성을 강화시키는 컴퓨터에 의한 가상성의 극대화는 수사적 표현이 또 다른 차원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고전적인 서사구조와 달리 현대의 영상은 많은 기표 요소들로 기의를 구축하고 있으며, 각 기표들이 의미작용을 일으키기 위해 은유적으로 구성되고 있는 양상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의미작용의 요체로서 수사법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 효과적인 영상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수사법을 이해하도록 한다.

  • PDF

The Let's Eat Healthy and Move at School program for adolescents in South Korea: Program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plan using intervention mapping

  • Park, Jiyoung;Hoor, Gill A. Ten;Baek, Seolhyang;Chung, Sochung;Kim, Yang-Hyun;Hwang, Gahui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225-242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develop an obesity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to promote healthy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in schools. Methods: The development of the Let's Eat Healthy and Move at School program for adolescents followed the six steps of intervention mapping (IM). IM is a widely used protocol for developing systematic and effective interventions based on theories and evidence. Results: To better understand the problem and identify the needs of adolesce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school nurses, and students (step 1). In step 2, the desired behaviors and their determinants were established and combined into a matrix comprising 16 change objectives. In step 3, theoretical methods such as persuasive communication and consciousness-raising were chosen. The program was segmented into three educational activity sessions in step 4. In step 5, an implementation manual was developed for program instructors to ensure effective and accurate implementation. Finally, practices for evaluating the program's effectiveness and procedures were designed in step 6. Conclusion: The Let's Eat Healthy and Move at School program will provide adolescents with guidelines to promote healthy living and prevent obesity in everyday life using strategies for sustainable adolescent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