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pective of Game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8초

세계 게임심의제도의 추세 및 함의점 (Trends and Implications of Global Game Rating Systems)

  • 박태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93-104
    • /
    • 2011
  • 세계적인 게임심의제도의 추세를 찾아보기 위해 전 세계의 16개 게임심의제도를 찾아 검토하였으며, 주로 표현의 자유라는 관점에서 이들 제도들의 추이 및 함의점을 찾고자 하였다. 게임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게임전문심의기관의 증가, 민간자율심의기관의 증가, 게임에서의 표현의 자유의 확대라는 추세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추세는 게임자체의 발전 양상과 맞물려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이며, 우리도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신속한 변화와 혁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Research of the Influences of Doujin Culture in Game Operation

  • Xu, Qingqing;Kwon, Kij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3호
    • /
    • pp.85-92
    • /
    • 2022
  • Known as "The Ninth Form of Art", video game is a form of hypermedia art rising in respons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technology, with millions of fans worldwid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ame market, those games that have high stickiness and a long operating cycle usually have abundant doujin works. As a spontaneous behavior of the players, doujin culture reflects the players' feelings towards and perception of the games, and it reacts upon the original game while relying on it, exerting a far-reaching influence on the operation of game products. We try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doujin culture on game operation performance, hoping to provide game operators with some useful ideas.

게임 제작 프로세스의 발전적 측면에서 본 모드게임 예시 연구 - 소비자 참여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the Mod: a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Game Development Process - Focusing on Customer Involvement -)

  • 유보미;유승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55-62
    • /
    • 2009
  • 게임은 이용하는 사람이 선택할 수 있는 자율성의 폭이 넓은 열린 문화(open culture)이다. 즉, 게임 소비자의 참여가 적극적으로 요구되고 수용된다. 그런 의미에서, 원작 게임에 여러 가지 변형을 가하는 모드(MOD)는 게임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사례이자 게임 제작 과정에서 소비자의 참여 가능성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본 연구는 모드 게임의 대표적인 사례 중 Half-Life 모드의 분석을 통해, 게임 제작 과정의 발전적 측면에서 본 소비자 참여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 PDF

Factors Analysis Influencing the Switching Intention of Chinese Mobile Games based on Push-Pull-Mooring Model

  • Liu, Jing;Lee, Jungmann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7권5호
    • /
    • pp.49-68
    • /
    • 2020
  • The Push-Pull-Mooring (PPM) model employ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witching intention of mobile game players by analyzing the online survey data of 240 mobile game players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PPM model, Dis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mobile game can promote players to leave the current mobile game, and other more attractive mobile games can pull players out of the current mobile game. As a mooring factor, habit can affect players' switching decisions. Players who have formed strong habits in current mobile games are more likely to resist or ignore the attractiveness of other mobile games and stay in the current mobile games rather than migrate to other mobile games. Another result shows that the more dissatisfied with the current mobile game, the higher the quality of alternative (relative challenge) mobile game, and the lower the investment size in the current mobile game, the more reluctant the players are to continue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urrent mobile game. The higher the player's commitment to the current mobile game, the more likely it is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urrent mobile game.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framework of this study is highl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PM model, and confirming that they can well apply to mobile game situations.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게임시장의 신제품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w-Product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Game Market using Conjoint Analysis)

  • 이지훈;정헌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7-48
    • /
    • 2003
  • 최근 들어 게임 사용자들의 욕구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지만, 국내 게임제작사들의 신상품개발은 여전히 제작자 관점에서 행해지고 있다. 게임제작사들의 이와 같은 제작자 중심의 상품개발은 거시적으로 게임문화의 다양성을 저해할 뿐 아니라, 게임제작사 자신도 과다경쟁으로 건전한 수익기반을 잃게 될 위험이 크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의 방향을 게임제작사들이 게임사용자 관점에서 사용자들의 욕구를 게임제작에 과학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컨조인트 분석을 소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컨조인트분석을 직접 한국의 게임사용자들에게 적용하여,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어떻게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게임을 찾아낼 수 있는 가를 보여주었다. 컨조인트 분석결과 한국의 게임 사용자들은 시뮬레이션 게임, RPG 게임, 아케이드 게임의 경우 "다양성 측면"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게임인 경우 "시나리오"를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작의 간편성"등 사용의 편리성에 대한 욕구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디지털 게임 규칙의 진화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olution theory of digital game rules)

  • 전석;윤준성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1-31
    • /
    • 2009
  • 본 연구는 게임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구성 요소인 규칙을 특성에 따라 단계별로 분류하고 각 규칙 단계의 성립 근거와 개념을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게임 규칙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게임 규칙이 진화를 통해서 발전해 나간다는 점을 확인한다. 디지털 게임 규칙의 변화 구조는 환경에 따라 이루어지는 생물의 진화 경로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는 이 연구를 통해서 게임 규칙의 진화와 생물의 진화 경로의 구조적 유사성을 살펴본다. 또한 디지털 게임 규칙이 진화하는 과정을 새로운 시각을 통해서 분석하고 개념화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 연구를 바탕으로 게임을 새로운 학문적 대상으로서 재발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Based on Alienation Theory to Analyze Different Modes in Meta- Fictional Games

  • Qi Yi;Jeanhun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4호
    • /
    • pp.185-190
    • /
    • 2023
  •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game field, the subdivision of game types is becoming more and more precise. There are also more and more games that draw on some achievements in other fields in their game design. Among them are meta-fiction games based on metafiction. This article will explore whether the combination of a meta-fiction game and a side-scrolling game with a unique visual experience is appropriate. If the side-scrolling game is the external form of the game, then the meta-fiction game is the internal content core of the game. The degree of fit between the external form and the internal core will undoubtedly determine the lower limit and upper limit of the game quality. Based on alienation theory, this article takes several highly rated side-scrolling games on the market as examples to conduct a theoretical analysis on the compatibility of side-scrolling games and metafiction games.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compared to first-person games, side-scrolling games with a unique third-person perspective have the best compatibility with meta-games.

Research of Character Design in Side-scrolling Horror Puzzle Games

  • Yi, Qi;Chung, Jeanh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2호
    • /
    • pp.77-82
    • /
    • 2022
  • The third-person side view game perspective of side-scrolling games makes playing such games a completely different gaming experience from other traditional games. Nowadays, many game element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horror and puzzle elements are often combined to appear in side-scrolling games, bringing players a unique gaming experience. In such games, players seem to be watching their own manipulation of characters. The performance is the same as a stage play, so how to let players better experience such a horror and puzzle-solving stage play through the design of the characters is a key point. However, it is often difficult to accurately classify only from game elements, so first of all, the author will explain the game division of the side scrolling horror puzzle game. After that, this article will analyze the character designs in the three works with high sales and good reputation on Steam, and then draw conclusions.

게임디자인을 위한 형식적 요소로서의 '경계' 연구 (Designing Games with 'Boundary' as Formal Element)

  • 이준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10
    • /
    • 2010
  • 게임 디자인에 대한 학문적 기반이 미약했을 때는 장르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 게임의 몇몇 유형에 표면적인 변화만을 통한 차별성을 추구했다. 게임 시장이 더 다양한 대상을 위한, 더 다양한 유형을 가진 게임으로 전례 없는 확장을 경험하는 이유는 이와 같은 게임의 형식적 구조에 대한 다양한 변화를 통한 실험적 디자인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의 형식적 요소 중 특히 '경계'를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게임의 경계는 다양한 모바일 기술의 발전, 공공디자인 분야에서 행해지는 공간의 재해석과 환경과 미디어의 조합 그리고 인터렉티브 미디어의 수용과 같은 맥락의 새로운 생활, 놀이문화와 융합미디어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준다.

온라인 게임 및 아이템 거래의 범죄 연관성에 관한 실증 연구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Game-Item Trade and Cyber Crimes)

  • 최성락;김철회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69-79
    • /
    • 2011
  • 2000년대 온라인 게임이 급격하게 성장하면서부터 온라인 게임 및 아이템 거래가 사이버 범죄 등을 발생시키는 주요 요인이라는 견해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정말로 온라인 게임 및 아이템 거래가 범죄 증가와 관련이 있는가에 대해서는 그동안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게임 및 아이템 거래가 범죄 증가와 실증적인 관계가 존재하는가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온라인 게임 및 아이템 거래는 사이버 범죄, 재산 범죄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온라인 게임 및 아이템 거래는 범죄 행위를 절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아니며, 기존 범죄에 대한 새로운 대체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즉 온라인 게임 및 아이템 거래는 기존의 비재산 범죄를 재산 범죄로 대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