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protection Act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8초

수탁사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위한 프레임워크 및 점검방법 연구 (Research on Framework and Inspection Method to Strengthe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Trustees)

  • 박유림;신용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11호
    • /
    • pp.329-336
    • /
    • 2023
  • 본 논문은 2023년 개정된 개인정보보호법 및 관련 법적 가이드 등을 분석하고, 개인정보 업무 위수탁 관계에서 필요한 항목을 통해 위수탁 계약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국내에 부재한 수탁사 개인정보보호 현황 점검의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공통항목을 제안함으로서, 개인정보 업무를 처리하는 수탁사의 기본적인 개인정보보호 역량의 강화와 필수적으로 수행하는 개인정보보호 점검에 대한 부담감을 완화하고 개인정보 유출 사고 발생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데이터 기본법과 개인정보보호 이슈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ata Basic Law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Issue)

  • 김종원;박진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11
    • /
    • 2022
  • 4차산업혁명 및 데이터 경제의 지속성장과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서는 세계 최초로 '데이터 기본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법률은 데이터산업의 활성화와 데이터자산의 보호를 다루기는 데이터의 생산, 유통 및 이용 활성화를 우선으로 하고 있어서 개인정보보호법이나 저작권법보다 우선 적용·해석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 데이터기본법의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개인정보 이슈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개인정보 유출 시 통지.신고 프레임워크 및 가이드라인 (A Framework and Guidelines for Personal Data Breach Notification Act)

  • 이충훈;고유미;김범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69-179
    • /
    • 2011
  • 2011년 9월 시행되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르면,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추가적인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 특히 개인정보 유출 시, 개인정보처리자는 정보 주체에게 개인 정보가 유출된 사실을 의무적으로 통지를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46개주에서 실시하고 있는 현행 유출 통지법과 기타 국가의 주요 사례를 분석하여, 유출 통지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개인정보 유출통지 프레임워크는 (1) '통지의 대상이 되는 개인정보', (2) '통지 주체', (3) '통지 시점', (4) '통지 내용', (5) '통지 방법' 등 다섯 가지 중요 요소로 구성된다. 그리고 새로운 유출 통지 프레임워크에 기초하여, 향후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한다.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데이터 컴플라이언스 방안에 관한 연구 - 개인정보 라이프사이클을 중심으로 (A Study on Data Compliance Measure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 Focusing on Personal Information Lifecycle)

  • 정재은;양진홍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34-143
    • /
    • 2022
  • 디지털 헬스케어를 이끄는 핵심 요소는 '데이터'이다. 헬스케어 데이터는 대부분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이며, 데이터 특성상 민감정보를 포함한다. 기업은 데이터 수집 및 이용, 제공, 파기되는 라이프사이클 동안 데이터를 준법하고 안전하게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헬스케어 서비스 산업의 78%를 차지하는 중소·벤처·스타트업은 개인정보보호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개인정보를 이용하는 목적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법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다르고, 개인정보 라이프사이클 시점마다 요구하는 사항들도 다양하므로, 데이터 활용 시 법적·기술적 측면에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헬스케어 데이터를 활용하는 목적을 여섯 가지로 제시하고, 개인정보가 수집되어 파기되는 라이프사이클 동안 고려해야 하는 사항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의 의미와 과제 (The Meaning and Tasks of Guidelines for Utilization of Healthcare Data)

  • 신태섭
    • 의료법학
    • /
    • 제22권3호
    • /
    • pp.31-55
    • /
    • 2021
  • 개정 데이터 3법 중 하나인 개인정보 보호법은 가명정보의 처리에 관한 특례 규정을 신설하였다. 이에 개인정보처리자는 과학적 연구, 통계작성, 공익적 기록보존 등의 목적을 위해서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가명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개정 개인정보 보호법의 후속 조치로 의료 분야의 개인정보 가명처리를 다룬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었다. 가이드라인은 보건의료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해석과 사례를 규정함으로써 수범자들에게 실천적인 기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가이드라인은 가명정보 활용 목적을 명확히 하고, 데이터 심의위원회 구성의 공정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이드라인은 보건의료 데이터 보상 체계를 구축하고, 취약 연구대상자의 권리 보호 강화가 요구된다. 아울러 가이드라인은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의료법과의 부정합성을 정비할 필요도 있다. 본 연구가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의 안전한 환경 조성은 물론 관련 법과 제도의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치위생 전공 학생의 인식도 (Awarenes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regarding the Protection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 조명숙;이성숙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9-98
    • /
    • 2021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gather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the protection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Such a program would stress the importance of the protection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for dental hygiene students obtaining clinical practice.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dental hygiene undergraduates who were obtaining clinical practice in the capital region. A total of 543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awareness of the Patient Privacy Act was 2.93 on a 4-point scale; 2) the average score for the recognition of the protection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was 3.22 on a 4-point scale; 3) the area-based perception of the protection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was 3.37 points for communication, which scored highest, followed-by the linked-work area at 3.27 points, the patient's information management at 3.22 points, and the direct dental hygiene work at 3.18 points; 4) with regard to awareness of the protection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erception was higher in the advanced academic year (p < 0.01), in those who had education regarding the protection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at both the university and the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p < .05), and in those with higher grades (p < 0.01).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awareness of the protection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by both universities and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privacy protection in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Lee, Seung-Hun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61-570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privacy protection of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On the basis of survey data from 126 responden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and the practice was analyzed. Als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practice. Cronbach's ${\alpha}$ of the questionnaire was more than 0.6. The items were scored on 5 points scale or true-false type. Results: The perception of privacy protection was 3.23 points, the law is 0.88 points, and the practice is 3.47 points. The educated students were more perceive than those who did not(p<0.05). The higher the perception, the higher the practice(r=0.230, p<0.01). The practice was influenced by the perception(p<0.05). Conclusions: Dental hygiene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perceive and protect the personal and medical information of a patient. Also, an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a effort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Strategy Design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n Fake News based on Big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Kang, Jangmook;Lee, San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1권2호
    • /
    • pp.59-66
    • /
    • 2019
  • The emergence of new IT technologies and convergence industr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is another chance for South Korea, which has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world's top IT powerhouses. On the other hand, however, privacy concerns that may arise in the process of using such technologies raise the task of harmonizing the development of new industries and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In response, the government clearly presented the criteria for deidentifiable measure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scope of use of deidentifiable information needed to ensure that bigdata can be safely utiliz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urr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t strives to promote corporate investment and industrial development by removing them and to ensure that the protection of the people's personal information and human rights is not neglected. This study discusses the strategy of de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fake news. Using the strategies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de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deidentification measures is not personal information and can therefore be used for analysis of big data. By doing so, de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safely utilized and managed through administrative and technical safeguards to prevent re-identification,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re-identification due to technology development and data growth.

데이터처리전문기관의 역할 및 보안 강화방안 연구: 버몬트주 데이터브로커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ole and Security Enhancement of the Expert Data Processing Agency: Focusing on a Comparison of Data Brokers in Vermont)

  • 김수한;권헌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47
    • /
    • 2023
  • With the recent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cloud computing, and 5G, data is being produced and digitized in unprecedented amounts. As a result, data has emerged as a critical resource for the future economy, and overseas countries have been revising laws for data protection and utilization. In Korea, the 'Data 3 Act' was revised in 2020 to introduce institutional measures that classify personal information, pseudonymized information, and anonymous information for research, statistics, and preservation of public records. Among them,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added value of data by combining pseudonymized personal information, and to this end, "the Expert Data Combination Agency" and "the Expert Data Agenc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xpert Data Processing Agency) system were introduced. In comparison to these domestic systems, we would like to analyze similar overseas systems, and it was recently confirmed that the Vermont government in the United States enacted the first "Data Broker Act" in the United States as a measure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held by data brokers. In this study, we aim to compare and analyze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Expert Data Processing Agency" and "Data Broker,"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designated standards, security measures, etc., in order to present ways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data economy and enhance information protection.

환자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학생간호사의 지식과 인식의 연구 (A Study of Student Nurses' Knowledge and Awareness about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 배윤조;이소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6-4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간호사의 환자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조사하여 일반적 특성 중 교육관련 부분에 따른 환자 개인정보 보호행위의 인식 차이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북의 2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 4학년 187명이며, 2015년 5월 18일부터 6월 12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one-way ANOVA 분석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학생간호사의 환자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지식은 평균 3.85점(10점 만점)이고, 보호행위에 대한 인식은 3.15점(4점 척도)이었다. 연구결과, 개인정보보호법을 들어본 경험이 있는 학생간호사가 없는 자보다 환자 개인정보 보호행위에 대한 인식점수가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정보관련 교육 경험자가 받은 경험이 없는 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환자 개인정보 보호행위에 대한 인식의 평균점수가 더 높았다. 이는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경험이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현재의 분석 결과처럼, 학생간호사들에게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윤리의식 강화를 포함한 정보보호 교육이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