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검색결과 1,325건 처리시간 0.031초

금융회사의 개인정보 이용 동의 구현에 대한 효과성 개선 모델 (An Improved Model of Effectiveness on the Implement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tilization Agreement in Financial Companies)

  • 장기현;이경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247-257
    • /
    • 2016
  • 개인정보보호법 및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률에서는 개인의 정보를 수집 이용 제공하고자 할 때 이용자의 동의를 얻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회사에서는 고객으로부터 개인정보 이용 동의서를 징구하여 고객의 개인정보 이용 동의를 얻고 있다. 또한 정부차원에서 고객의 실질적인 동의 의사 확인을 위해 거래별, 상품별 동의서 양식을 다양화하고 필수항목과 선택항목을 구별하는 등의 동의서 양식 개선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금융회사에서는 동의의 본질에 충실하지 못해 동의의 효력을 얻기 어렵거나 동의 의사를 판단하기 어려운 동의서들을 수집 보관하는 사례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처리자인 사업자의 개인정보 이용 동의 처리 과정에서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률을 준수하고 정보주체에게 동의의 본질에 충실한 동의를 유도하기 위한 동의서 검증 절차를 추가한 발전된 개인정보 이용 동의 구현 모델을 제안한다.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이 개인 정보 보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Perception)

  • 권정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61-167
    • /
    • 2020
  • 사이버공간 속 디지털문화의 융복합 윤리교육은 개인정보, 저작권 등 특정 영역에만 국한되고 있어 사이버 공간의 사용자인 디지털 네이티브들이 소통하고 공유하고 교류하는 사이버공간 속 정보수용능력과 정보 제공능력에 관한 교육은 미비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정보보안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타인의 개인정보를 남용하는 역기능이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공간에서 가장 많이 정보를 소통하고 교류하는 디지털네티즌들 가운데 대학교 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실시한 후 이들이 정보보안 인식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문화사회회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체계적 양성의 근원적인 대책의 마련하고자 한다.

장애인복지관 개인정보보호 실태와 개선 방안 (Research on Personal Information Safety Condition and Improvements in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 김성진;권재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62-274
    • /
    • 2010
  • 장애인복지관에는 정부의 정보화 촉진 계획에 따라 2001년부터 업무표준화를 시작으로 개발된 전산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 측면과 사용자 편의 추구에만 치중되었을 뿐 정보화의 역기능에 대한 논의와 대비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업무 전산시스템의 활용현황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법을 살펴봄으로서 개인정보보호의 필요성과 법적인 근거를 확인 하였다. 또한 장애인복지관의 개인정보보호 정책과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개인보호 정책 방향과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장애인복지관에 적용 가능한 개인정보보호 대안으로는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을 강화시키는 교육과 개인정보의 생명주기를 반영한 제도적 보호 장치 마련과 업무전산시스템과 개인정보 사용에 대한 수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개인정보의 유출로 인한 침해는 발생 이후 사후 조치를 취하더라도 그 피해를 막기 어렵다. 이번 논문을 계기로 장애인복지관과 사회복지 기관 전반적으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기술적 제도적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보품질을 위한 개인정보 보호행위: 건강심리이론 관점을 중심으로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for Information Quality : Health Psychology Theory Perspectives)

  • 지범석;판류;이상철;서영호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32-44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users'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on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from health psychology theory perspectives.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users'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on personal information is predicted by perceived threat and perceived responsiveness. Perceived threat is determined by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responsiveness is determined by response efficacy and self-efficacy, but response cost is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provide an enriched understanding about users'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on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금융회사 대형 IT프로젝트 추진 시 외주직원에 대한 보안정책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ecurity Policy for Outsourcing Personnel in case of Large-Scale Financial IT Projects)

  • 손병준;김인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93-201
    • /
    • 2017
  • 금융회사에서는 내부자에 의한 개인정보유출 방지 및 내부통제 강화를 위하여 출력물 보안, 인터넷 망 분리시스템, 고객정보분리보관, 개인정보 암호화, 개인정보검색, DLP(Data Loss Prevention), 출력물보안, 개인정보모니터링 시스템 등의 보안 솔루션을 도입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금융회사는 금융 소비채널의 변화 및 금융상품의 패러다임 변화를 겪으며 무한경쟁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금융회사가 보유한 고객정보의 보안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2014년 1월 발생한 카드 3사 대량고객정보 유출 사고는 외주 직원 한 명이 주요 카드사의 고객 개인정보를 탈취하여 대출광고업자와 대출모집인에게 팔아 넘겨졌던 사례이다. 대형 보안사고가 발생한지 3년여의 시간이 흐른 지금도 IT 외주인력의 보안 위협은 여전하다. 정부 및 감독기관은 '금융분야 개인정보 유출 재발방지 종합대책' 이행 점검 및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금융회사 제재수준 강화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금융회사 대형 IT프로젝트 추진 시에 외주직원에 대한 보안정책 적용 사례 분석을 통해 IT프로젝트 성공 및 효율적인 보안 준수를 위한 정책 설정을 연구함으로서 대형 IT프로젝트의 성공과 외주인력의 보안사고 위험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사례를 통해 제시해 보고자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별 개인정보보호 방안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n Cloud Service Models)

  • 이보성;김범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245-1255
    • /
    • 2015
  • 클라우드 컴퓨팅의 성장과 더불어 클라우드 이용자 데이터 보안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우려를 감소시키는 것이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정의 및 장단점을 설명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이용자 정보 보호 규정에 대해 논한다. 다음으로 클라우드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논점 및 개인정보 위 수탁에 관한 기존 연구 내용을 살펴본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에 따른 개인정보 저장 방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로 인해 클라우드 서비스 별로 개인정보의 위 수탁 관계가 달라져야 함을 논한다. 이를 바탕으로 IaaS와 SaaS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별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조직구성과 관리체계에 관한 표준화 모델링 (The Standardization Modeling concerning Organizational Composition and a Management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 서우석;전문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3-39
    • /
    • 2012
  • Since the passing of the Personal Information Act in March 2011 and its initial introduction in September, over the one year to date diverse security devices and solutions have been flowing into the market to enable observance of the relevant laws. Beginning with security consulting, corporations and institutions have focused on technology-based business in order to enable observance of those laws competitively in accordance with 6-step key procedures including proposal, materialization, introduction, construction, implementation, and execution.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investment in human resources in the field of education such as technology education and policy education relative to the most important human resources field nor investment in professionals in the organization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r in human resources for operating and managing IT infrastructure for actual entir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special sub-organizations. In this situation, as one process of attracting change from the nature of the technology-based security market toward a professional human resource-based security infrastructure market,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into standardization modeling concerning special organizational composition and a management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개인정보 수탁사의 보안관리 대상 식별 방안 연구 : 개인정보처리방침 및 정보보호인증 데이터 이용 (An Evaluation of the Necessity of Security Mana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Consignees : using Privacy Policy and ISMS data)

  • 최원녕;국광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79-88
    • /
    • 2020
  • 인터넷 기업의 영업 이익과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개인정보를 이용한 업무 위탁행위가 증가되고 있다. 개인정보를 위탁받은 업체들에서 개인정보 노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업무를 위탁한 기업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입게 된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를 위탁받은 업체들의 업무 속성들을 분석하고 개인정보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개인정보 노출 위험성이 높은 업체를 식별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 위탁관계, 개인정보 위탁서비스, 개인정보 이용항목들을 분석하고 사회연결망 분석과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중심성이 높은 업체 중 정보보호인증 획득이 필요한 업체를 식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정보를 이용하는 기업들을 관리하는 민간기업이나 공공기업의 정보보호 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인정보 유출탐지 및 보안강화 연구 (Mobile Application Privacy Leak Detection and Security Enhancement Research)

  • 김성진;허준범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95-203
    • /
    • 2019
  •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애플 앱 스토어 등 모바일 앱 스토어는 금융, 쇼핑,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등록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앱)만 수백만 개에 이른다. 하지만 휴대성과 편리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앱의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서 최근 모바일 앱을 통한 개인정보 및 데이터 유출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대 규모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용 모바일 앱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사용자가 각 카테고리 별 모바일 앱을 사용하는 경우 유출될 수 있는 개인정보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해당 앱들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 모바일 앱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방지와 안전한 사용을 위한 보안강화 방안을 제안한다.

Empirical Valid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Violation Risk for Cryptocurrency with Use Intention

  • Kim, Jeong-Wook;Choi, Chul-Y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141-15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personal information violation risks affect the intention to use domestic cryptocurrency services. VAM(Value based Adoption Model) model is validat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selecting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security as a benefit factors, and considers perceived cost, technical complexity, and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violation risks as sacrifice factors. The method of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 survey to collect 150 data on user's perception on cryptocurrency services, and also perform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using by AMOS 23. The result of this paper shows that all hypotheses are accep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2 hypothesis. This research is concluded that perceived value is affected on statistically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security, and negative impact on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violation risk, not statistically perceived fee and technical complex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