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Disposition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3초

Why Genuine Luxury Brands Are Consumed? Counterfeits? Examining Consumer Identification

  • Suh, Hyunsuk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69-102
    • /
    • 2012
  • Owing to increased number of luxury brand users, both genuine and counterfeit luxury product consumption continues to increase every year. Luxury brand is defined as use or display of a particular branded products which brings the ownership prestige apart from its functional utility(Grossmand and Shapiro 1988). Some luxury brands have imitations sold in marketplace due to their popularity. These imitations or counterfeits have been jumping on the bandwagon of the upturn in sales of their originals.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understand consumer's underlying motives to consume luxury brands, genuine and or counterfeits. To do this, we propose functional theories of attitudes, decision-making styles, and life attitudes to form the determining causes for different consumption choices of luxury brands: genuine brands, counterfeit brands, both genuine and counterfeit brands, and no consumption on luxury brands types. In proposed causal pathways, we examine moderated effects of socio-psychological factors to further investigate if consumer profiles would exert influences in causal relationships. From the existing theories of functional attitudes: value-expressive and social-adjustive attitudes, we developed and introduced a new measure of rationality-consumptive attitude. From the existing eight decision-making characteristics of consumer styles inventory(CSI), three measures of high-quality, hedonic-shopping, and price-shopping styles were primarily applied in the study along with newly introduced measure of 'high-price' being added, which makes four total. Seven life attitude measures of life purpose, life control, will to meaning, goal seeking, future mean to fulfill, life satisfaction, and religiosity were applied. Finally, such socio-psychological measures as age, gender, marital status, income, and age-gap between couples were assumed to function as moderators. With 430 valid study samples, ages from 20s to 50s, with more females(316) than males(114), with average personal possessions of 5 genuine and 9 counterfeit luxury brands, w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adjustive function is totally disappeared in the relationship due to current social trend of widespread consumptions on both genuine and counterfeit brands which in turn, make consumers feel less special on wearing or carrying them unlike in the past. Self-expressive function and rationality-consumptive functions act as strong catalysts for genuine brand consumption and counterfeit brand consumption, respectively. On consumers' decision-making styles, high-price sublation is the most powerful indicator anticipating counterfeit consumption, even more powerful than personal incomes. In life attitude, the overall model fit was not validated, and only life control and life satisfaction are proven to be significant on both genuine and counterfeit product consumptions. Employment of socio-psychological factors in the model improved understanding of users further. Young consumers tend to go for genuine products over counterfeits. Consumers in different income groups; low, medium and high, all significantly consume genuine products for reasons of different decision-making sty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sumers whose personal disposition is predisposed to consume products in the form of reflection of his or her personality, go only for genuine brands for quality reason, while consumers who rationally consume products for its function or usability, go only for counterfeits for high-price sublation reason. Meanwhile, both product users support for high-price orientation who are not well off.

  • PDF

웹로그 마이닝을 이용한 개인화 광고 서비스 기법 (Personalized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Using Web Log Mining)

  • 김석훈;김은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7-127
    • /
    • 2005
  • 최근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인터넷 사용자의 급증으로 온라인 상에서 수많은 광고들이 서비스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광고서비스는 사용자들의 성향 분석을 기초로 하기보다는 해당 광고의 일방적 서비스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웹사이트들이 해당 광고의 효율적 서비스를 위해 개인화된 광고서비스를 원하고 있고 해당 서버의 로그 분석을 통한 서비스를 연구 및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화된 광고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비교적 간단한 적응형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 성능을 실험하였다. 개인의 성향을 시스템에 가장 효율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개인 컴퓨터의 히스토리 파일을 원시 데이터로 하여 정제후 사용하여 이 파일을 이용하므로 해당 서버를 방문한 자에 한해서만 성향을 파악할수 있는 단점을 극복하여 고객이 다른 서버의 방문 기록도 활용하므로 좀더 현실성 있는 성향 파악이 가능하게 하였다.

  • PDF

남북한 저작재산권 권리제한에 관한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Author's Property Right Limitation in North & South Korea)

  • 이찬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38-1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저작권법상의 저작재산권 제한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연구 분석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남한의 저작권법과 비교하였다. 북한의 저작재산권 제한 제도는 북한체제의 큰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저작자의 독점적 배타적 권리와 이용자 측의 저작물 유통 간의 균형적인 운영에서 미비점이 많다. 또한 남한과 달리 저작권리의 양도, 처분, 상속, 신탁 등에 대한 내용 등 저작물의 이용에서도 허점이 있다. 북한 저작권리 제한은 개인적 차원의 복제와 번역, 도서관 등에서의 복제, 학교 교육 차원에서의 복제 방송 개작 등 전체 9가지로 열거되어 있다. 그러나 국제적 수준에 미흡한 조항이 많으며, 특히, 저작물의 공표, 이용목적, 이용범위 등 핵심적인 용어가 누락되어 있거나 해석상의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저작권법은 그 요건을 충족시키기보다는 선언적 입법차원으로 판단된다. 향후 남북간 저작권리에 대한 본격적인 교류협력을 고려한다면 북한 저작권법에 대한 면밀한 연구 분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Empathy on Cultural Competency in Dental Hygiene Students

  • Hwang, Ji-Min;Han, Ji-H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4-31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and empathy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dental hygienists and students. A total of 529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randomly sampled and included as subjects. PASW Statistics for Windows ver. 18.0 was used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Among the critical thinking sub-domains, cognitive integration was the highest and the lowest. Empathic ability had the highest acceptance factor among the sub-domains. Cultural competence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domains, while cultural knowledge was the lowest.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ubject age, grade, religion, and economic level influenced the cultural capacity. Cultural awareness and sensitivity were high when there were foreign visiting experiences. Cultural awareness, sensitivity, skills, and knowledge were high when subjects had experienced multicultural education (p<0.05). Cultural awareness, sensitivity, skill, experience, and knowledge were correlated with critical thinking and cultural competence, among which cultural sensitivit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p<0.001).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wareness and sensitivity, skill, and experience among the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y sub-domains (p<0.001).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awareness included intellectual integration, openness, prudence, and perspective-taking (p<0.001).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sensitivity included intellectual integration, openness, and empathic concern (p<0.001).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skill included intellectual integration, creativity, and conductivity (p<0.001).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experience included prudence, objectivity, perspective-taking, and personal distress (p<0.001). Finally,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knowledge included creativity and conductivity (p<0.001). The results indicate that dental hygiene students should be equipped with cultural competence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and empathy required by the modern society and optimized dental hygiene courses should be provided for multicultural subjects.

초동수사역량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Measures of First Investigation Capability)

  • 박형식;박호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6_2호
    • /
    • pp.83-88
    • /
    • 2014
  • 초동수사란 사건발생의 초기에 행하는 긴급한 수사 활동이다. 초동수사가 잘못되면 사건이 영원히 미궁에 빠지거나 많은 증거가 사라져버리게 된다. 따라서 초동수사가 잘못되면 많은 인력과 예산을 낭비하거나 또 다른 피해자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초동수사는 범죄현장을 중심으로 한 수사와 피해자중심수사 그리고 피해품 중심 수사 등이 있다. 현장중심 수사는 범죄현장주변에서 유류품의 발견, 범행일시의 확정, 참고인의 발견, 지리감 등을 파악하는 수사 활동이다. 피해자 중심수사는 피해자의 인적사항, 피해자 및 가족의 생활상태, 재산상태, 교우관계, 가정 내부사정 등을 파악하여 범인을 검거하는 수사방법이다. 피해품 중심수사는 범죄피해품의 소재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범인을 검거하는 방법이다. 경찰의 초동수사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초동수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FTX(현장훈련)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초동수사매뉴얼을 제작하여 활용하여야 하며, 사건분석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학수사기법의 개발과 국민의 협조가 필요하다. 앞으로는 사건에 대한 초동수사부터 철저히 하여 국민에게 믿음을 줄 수 있는 경찰이 되어야 할 것이다.

만성질환자 대상 맞춤형 투약상담 중재 프로그램 시범사업에 대한 평가 (Participants' Evaluation on the Payer-driven Medication Counseling Intervention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Disease)

  • 손현순;장선미;이주연;한은아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5-253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payer-driven medication adherence intervention program from the patient's and counselor's perspectives. Methods: Target patients for intervention were selected by retrospective adherence measures based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for hypertension, diabetes and hyperlipidemia. As a serial intervention for higher risk groups of medication non-adherence, initial direct mailing, the first direct telephone call and the second direct call or a home visit were followed. Interview approach to qualitative inquiry was used to evaluate intervention results. Results: Participants including 4 patients received telephone calls, and 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taff and 4 pharmacists participated as counselor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ir impression of the intervention program. Three major themes arose: overall perception; necessities; and suggestions for success, of the intervention. Despite short period of intervention, educational intervention by telephone counseling involving pharmacists shows potential to improve self-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and pharmacist-involvement. But more sophisticated selection of target patients requiring the intervention and complementation of electronic database system would be necessary. In addition, personal disposition of counselor was revealed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achieving successful outcome of intervention.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dividualized counseling intervention would be an efficient option for improved medication adherence. Further researches should include longer periods of interventions,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adherence measures based on claims data and consideration of clinical benefits associated with the intervention.

협력학습에서 SNS 사용의도와 관련변인간의 예측력 규명 (Identification of the Predictability of SNS Intention to Use and Related Variables in Collaborative Learning)

  • 주영주;정애경;강정진;고경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91-199
    • /
    • 2015
  • 본 연구는 협력과제 수행에서 학습자의 SNS에 대한 사용의도와 관련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협력학습에서의 SNS 활용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술준비도와 수용모형을 토대로 학습자의 개인적 성향, 사회적 요인, 인지적 요인으로서 기술준비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SNS 사용의도를 예측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E대학교 '나눔리더십' 수강생 2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낙관성, 혁신성, 불편감, 주관적 규범이 지각된 사용용이성을 예측하였다. 둘째, 낙관성, 불안정성, 주관적 규범,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을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규범,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이 SNS 사용의도를 예측하였다. 긍정적 기술준비도가 부정적 기술준비도보다 인지적 요인을 더 크게 예측하고, 교수자와 또래 학습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의사결정트리 기반의 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 유형별 관련 변수 추출 (A Study of Extraction of Variables Affecting the Adolescents' Computer Use Type with Decision Tree)

  • 이혜주;정의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9-1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 유형별 관련변수의 추출 알고리즘 과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 패널 조사(KYPS)의 중 2패널의 1차년도 자료(총 3409명, 남: 1704명, 여: 1705명)를 활용하여 데이터마이닝의 의사결정트리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오락추구는 성별, 컴퓨터 사용시간, 비행친구 수, 부모감독, 주변문제아인식, 부모공부기대, 자아통제력, 교사애착, 형제자매사이 등, 관계추구는 성별, 사이버동아리 참여, 컴퓨터 사용시간, 자기신뢰, 온라인 비행 등, 정보추구는 학업에 대한 열중, 개인공부시간, 낙관적 성향, 학기 중 공부시간과 여가시간, 본인희망교육, 사이버동아리 참여, 자기신뢰, 주변사람들비난 등의 변수들이 조합되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조건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컴퓨터를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 PDF

성인대학생 대학생활적응장애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llege Life Adaptation obstacle of Adult Undergraduate)

  • 최정숙;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219-228
    • /
    • 2022
  •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이 대학생활적응에서 경험하는 장애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성인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8개의 주제로 범주화하여, 개인성향장애, 학습능력장애, 인간관계장애, 사회적인식장애, 시간적장애, 경제적장애, 대학환경장애, 학사운영장애 등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기존의 일반대학생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학환경은 다양한 연령과 경험, 일·학습을 병행하는 성인대학생에게 다양한 형태의 장애로 표현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도출된 장애요인을 기반으로 성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장애를 실증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측정도구 개발의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자아정체성의 유형이 페이스북 의견 지도자와의 준사회적 상호작용 및 정보공유 의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ypes of Self-Identity on Quasi-social Interactions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s with Facebook Opinion Leaders)

  • 박선경;강윤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225-232
    • /
    • 2021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의견지도자는 다양한 이슈에 대한 여론 형성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개인적 특성을 통해 이용자들이 의견지도자와 상호작용하며, 행위 의도를 보이는지 파악하는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자아정체성 성향에 따른 페이스북 내 의견 지도자와의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정보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들은 이슈 유형에 따라 인식과 행동을 달리 하기 때문에 이슈 유형을 생활문화 영역과 정치 영역으로 구분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생활문화 영역과 정치 영역에서 개인 정체성은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집단 정체성은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정보공유 의도와 관련하여 생활문화 영역에서만 자아정체성(사회 정체성·집단 정체성)의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모든 이슈 영역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자아정체성 유형에 의한 의견지도자 마케팅 전략에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더불어 기업적 차원에서 이슈 유형의 구분 없이 준사회적 상호작용 수준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인 결과에 도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