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stent memory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8초

Field Effect Transistor of Vertically Stacked, Self-assembled InAs Quantum Dots with Nonvolatile Memory

  • Li, Shuwei;Koike, Kazuto;Yano, Mitsuaki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2권3호
    • /
    • pp.170-172
    • /
    • 2002
  • The epilayer of vertically stacked, self-assembled InAs Quantum Dots (QDs)was grown by MBE with solid sources in non-cracking K-cells, and the sample was fabricated to a FET structure using a conventional technology. The device characteristic and performance were studied. At 77K and room temperature, the threshold voltage shift values are 0.75V and 0.35 V, which are caused by the trapping and detrapping of electrons in the quantum dots. Discharging and charging curves form the part of a hysteresis loop to exhibit memory function. The electrical injection of confined electrons in QDs products the threshold voltage shift and memory function with the persistent electron trapping, which shows the potential use for a room temperature application.

A Synaptic Model for Pain: Long-Term Potentiation in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 Zhuo, Mi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3권3호
    • /
    • pp.259-271
    • /
    • 2007
  • Investigation of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of synaptic plasticity is the major focus of many neuroscientists. There are two major reasons for searching new genes and molecules contributing to central plasticity: first, it provides basic neural mechanism for learning and memory, a key function of the brain; second, it provides new targets for treating brain-related disease. Long-term potentiation (LTP), mostly intensely studies in the hippocampus and amygdala, is proposed to be a cellular model for learning and memory. Although it remain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roles of LTP in hippocampus-related memory, a role of LTP in fear, a simplified form of memory, has been established. Here, I will review recent cellular studies of LTP in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ACC) and then compare studies in vivo and in vitro LTP by genetic/pharmacological approaches. I propose that ACC LTP may serve as a cellular model for studying central sensitization that related to chronic pain, as well as pain-related cognitive emotional disorders. Understanding signaling pathways related to ACC LTP may help us to identify novel drug target for various mental disorders.

T Cell Immune Responses against SARS-CoV-2 in the With Corona Era

  • Ji-Eun Oh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11-222
    • /
    • 2022
  • After more than two years of efforts to end the corona pandemic, a gradual recovery is starting in countries with high vaccination rates. Easing public health policies for a full-fledged post-corona era, such as lifting the mandatory use of outdoor mask and quarantine measures in entry have been considered in Korea. However, the continuous emergence of new variants of SARS-CoV-2 and limitations in vaccine efficacy still remain challenging. Fortunately, T cells and memory T cells, which are key components of adaptive immunity appear to contribute substantially in COVID-19 control. SARS-CoV-2 specific CD4+/CD8+ T cells are induced by natural infection or vaccination, and rapid induction and activation of T cells is mainly associated with viral clearance and attenuated clinical severity. In addition, T cell responses induced by recognition of a wide range of epitopes were minimally affected and conserved against the highly infectious subsets of omicron variants. Polyfunctional SARS-CoV-2 specific T cell memory including stem cell-like memory T cells were also developed in COVID-19 convalescent patients, suggesting long lasting protective T cell immunity. Thus, a robust T-cell immune response appears to serve as a reliable and long-term component of host protection in the context of reduced efficacy of humoral immunity and persistent mutations and/or immune escape.

비휘발성 메모리 저장장치를 위한 영속적 페이지 테이블 및 파일시스템 저널링 기법 (Persistent Page Table and File System Journaling Scheme for NVM Storage)

  • 안재형;현철승;이동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80-90
    • /
    • 2019
  • 최근에 소개된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저장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데이터를 접근하기 위해서는 페이지 테이블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페이지 테이블 자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유지하는 영속적 페이지 테이블 (Persistent Page Table) 기법을 설계한다. 실제 페이지 테이블의 구조는 프로세서마다 다르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의 물리주소와 가상주소는 종종 저장장치가 시스템에 연결되기 전까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연결 시점까지는 실제로 동작하는 페이지 테이블을 만들 수 없다. 따라서 영속적 페이지 테이블은 주소와 시스템으로부터 독립적인 구조를 가져야 하며, 저장장치가 동작하는 시점에 영속적 페이지 테이블을 기반으로 시스템 종속적인 페이지 테이블이 생성되어야 한다. 또한 영속적 페이지 테이블 엔트리는 원자적으로 변경되어야 하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영속적 페이지 테이블의 설계에 대해 설명한다. 다음으로 파일시스템이 영속적 페이지 테이블이 제공하는 교환 연산을 활용하여 저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교환 연산을 활용하도록 Linux Ext4 파일시스템을 변경하였으며, Filebench 워크로드를 이용한 성능 측정 결과를 보면 영속적 페이지 테이블과 교환 연산은 파일시스템의 성능을 최대 60% 향상시킨다.

통증의 기억과 선행진통 (Memory of Pain and Preemptive Analgesia)

  • 송선옥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12-20
    • /
    • 2000
  • The memory of pain can be more damaging than its initial experience. Several factors arc related the directions of pain memory: current pain intensity, emotion, expectation of pain, and peak intensity of previous pain. The possible mechanisms behind the memory of pain are neuroplastic changes of nervous system via peripheral and central sensitization. Peripheral sensitization is induced by neurohumoral alterations at the site of injury and nearby. Biochemicals such as K+, prostaglandins, bradykinin, substance P, histamine and serotonin, increase transduction and produce continuous nociceptive input. Central sensitization takes place within the dorsal horn of spinal cord and amplifies the nociceptive input from the periphery. The mechanisms of central sensitization involve a variety of transmitters and postsynaptic mechanisms resulting from the activations of NMDA receptors by glutamate. and activation of NK-1 tachykinnin receptors by substance-P and neurokinnin. The clinical result of peripheral and central sensitization is hyperalgesia, allodynia, spontaneous pain, referred pain, or sympathetically maintained pain. These persistent sensory responses to noxious stimuli arc a form of memory. The hypothesis of preemptive analgesia is that analgesia administered before the painful stimulus will prevent or reduce subsequent pain and analgesic requirements in comparison to the identical analgesic intervention administered after the painful stimulus, by preventing or reducing the memory of pain in the nervous system. Conventionally, pain management was initiated following noxious stimuli such as surgery. More recently, however many have endorsed preemptive analgesia initiated before surgery. Treatments to control postsurgical pain are often best started before injury activates peripheral nociceptors and triggers central sensitization. Such preemption is not achieved solely by regional anesthesia and drug therapy but also requires behavioral interventions to decrease anxiety or stress. Although the benefit of preemptive analgesia may not be obvious in every circumstance, and in many cases may not sufficient to abolish central sensitization, it is an appropriate and human goal of clinical practice.

  • PDF

개인용 모바일 환경의 AI 워크로드 수행을 위한 메모리 참조 분석 및 시스템 설계 방안 (Implications for Memory Reference Analysis and System Design to Execute AI Workloads in Personal Mobile Environments)

  • 권석민;반효경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31-36
    • /
    • 2024
  • 최근 AI 기술을 활용하는 모바일 앱이 늘고 있다. 개인용 모바일 환경에서는 메모리 용량의 제약으로 인해 대용량 데이터로 구성된 워크로드의 학습 시 극심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AI 워크로드의 메모리 참조 트레이스를 추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AI 워크로드는 메모리 쓰기 연산시 약한 시간지역성과 불규칙한 인기편향성 등으로 인해 잦은 스토리지 접근을 발생시켜 모바일 기기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AI 워크로드의 메모리 쓰기 연산을 영속 메모리 기반의 스왑 장치를 이용해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조가 기존의 모바일 시스템 대비 80% 이상 입출력 시간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였다.

Brain consequences of acute kidney injury: Focusing on the hippocampus

  • Malek, Maryam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
    • 제37권4호
    • /
    • pp.315-322
    • /
    • 2018
  • The high mortality rates associated with acute kidney injury are mainly due to extra-renal complications that occur following distant-organ involvement. Damage to these organs,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has more severe and persistent effects. The brain and its sub-structures, such as the hippocampus, are vulnerable organs that can be adversely affected. Acute kidney injury may be associated with numerous brain and hippocampal complications, as it may alter the permeability of the blood-brain barrier. Although the pathogenesis of acute uremic encephalopathy is poorly understood, some of the underlying mechanisms that may contribute to hippocampal involvement include the release of multiple inflammatory mediators that coincide with hippocampus inflammation and cytotoxicity, neurotransmitter derangement, transcriptional dysregulation, and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apoptotic genes. Impairment of brain function, especially of a structure that has vital activity in learning and memory and is very sensitive to renal ischemic injury, can ultimately lead to cognitive and functional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acute kidney injury.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was to assess these complications in the brain following acute kidney injury, with a focus on the hippocampus as a critical region for learning and memory.

C++ 객체 영속성 부여를 위한 이음새 없는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amless Interface Providing Persistence to C++ Object)

  • 이미영;김명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6권5호
    • /
    • pp.468-476
    • /
    • 2000
  • 객체지향 언어 C++ 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결합은 C++ 응용 프로그램의 객체들이 프로그램이 종료되어도 지속되도록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기능을 이용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면서, 객체에 대한 조작은 C++의 일반 임시 객체처럼 C++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C++ 응용 프로그램의 객체에 영속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상용 표준안인 ODMG-97의 C++ 바인딩에서 제시한 인터페이스를 보완하여 영속성 부여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내용을 서술한다. 제시한 인터페이스는 영속 가능한 클래스의 모든 객체는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임시 객체, 영속 객체를 모두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되는 객체의 클래스명을 추가로 명시하지 않고도 영속 객체를 생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음새 없는 영속성 부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또한 객체 생성시 데이터베이스 객체와 메모리 객체간의 타입 호환성을 보장한다.

  • PDF

LID-DS 데이터 세트를 사용한 기계학습 알고리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Using LID-DS DataSet)

  • 박대경;류경준;신동일;신동규;박정찬;김진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3호
    • /
    • pp.91-98
    • /
    • 2021
  • 오늘날 정보통신 기술이 급격하게 발달하면서 IT 인프라에서 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졌고 동시에 지능형 지속 공격(Advanced Persistent Threat)처럼 고도화되고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점점 더 고도화되는 사이버 공격을 조기에 방어하거나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NIDS(Network-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관련 데이터 분석만으로는 빠르게 변형하는 사이버 공격을 방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HIDS(Host-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위와 같은 사이버 공격을 방어하는데 침입 탐지 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사용되었던 데이터 세트에서 결여된 스레드 정보, 메타 데이터 및 버퍼 데이터를 포함한 LID-DS(Leipzig Intrusion Detection-Data Set) 호스트 기반 침입 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관한 비교 연구를 진행했다. 사용한 알고리즘은 Decision Tree, Naive Bayes, MLP(Multi-Layer Perceptron), Logistic Regression, LSTM(Long Short-Term Memory model),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을 사용했다. 평가를 위해 Accuracy, Precision, Recall, F1-Score 지표와 오류율을 측정했다. 그 결과 LSTM 알고리즘의 정확성이 가장 높았다.

풍경 그림에서 전형적인 정보의 삭제 방법이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Manner of Deleting Typical Items in a Scene on False Memory)

  • 도경수;배경수
    • 인지과학
    • /
    • 제18권2호
    • /
    • pp.113-138
    • /
    • 2007
  • 풍경 그림을 사용하여 도식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는 즉시 검사를 실시하여 부호화할 때 도식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고, 실험 2에서는 3일 지연 검사를 실시하여 파지기간 동안 도식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두 실험 모두에서 제시시간(250ms vs 1000ms)을 다르게 하고 목표 미끼를 생략하는 조건과 목표 미끼를 다른 물건으로 대체하는 조건으로 항목의 축어적 정보 부호화를 조작하였다. 특히 생략과 대체 조건을 비교하여 도식에 기반한 기대라는 하향정보 특정항목에 대한 상향정보가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두 개의 실험에서 전형적인 항목에 대한 오기억은 지연검사에서도 별 변화가 없는데 반해 학습 항목에 대한 기억은 감소하였으며, 오기억은 생략조건에서 더 많이 보고되었으나, 비전형 항목에 대한 기억은 감소하였으며, 오기억은 생략조건에서 더 많이 보고되었으나, 비전형 항목에 대한 기억은 대체조건에서 더 많이 보고되었다. 이 결과는 도식에 기반한 오기억은 비교적 지속적이며, 도식에 의한 기대라는 하향 정보가 상향 정보와 충돌이 일어날 때에는 오기억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