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eation Type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3초

The effect of Fullerene (C60) nanoparticles on the surface of PVDF composite membrane

  • Kim, Kyung Hee;Lee, Ju Sung;Hong, Hyun Pyo;Han, Jun Young;Park, Jin-Won;Min, ByoungRyul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6권5호
    • /
    • pp.423-437
    • /
    • 2015
  • Polyvinylidene fluoride/fullerene nanoparticle (PVDF/$C_{60}$) composite microfiltration (MF) membranes were fabricated by a 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NIPS) using N, N-dimethylacetamide (DMAc) as solvent and deionized water (DI) as coagulation solution. Polyvinylpyrrolidone (PVP) was added to the casting solution to form membrane pores. $C_{60}$ was added in increments of 0.2% from 0.0% to 1.0% to produce six different membrane types: one pristine PVDF membrane type with no $C_{60}$ added as control, and five composite membrane types with varying $C_{60}$ concentrations of 0.2, 0.4, 0.6, 0.8 and 1.0%, respectively. The mechanical strength, morphology, pore size and distribution, hydrophilicity, surface property, permeation performance, and fouling resistance of the six membranes types were characterized using respective analytical methods. The results indicate that membranes containing $C_{60}$ have higher surface porosity and pore density than the pristine membrane. The presence of numerous pores on the membrane caused weaker mechanical strength, but the water flux of the composite membranes increased in spite of their smaller size. Initial flux and surface roughness reached the maximum point among the composite membranes when the $C_{60}$ concentration was 0.6 wt.%.

백합나무 바이오오일에서 회수한 열분해리그닌(Pyrolytic Lignin)의 화학적 특성 (Characterization of Pyrolytic Lignin in Biooil Produced with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 김광호;문선주;김태승;이수민;여환명;최인규;최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86-94
    • /
    • 2011
  • 열분해 온도와 체류시간을 달리하며 급속 열분해 공정을 통해 얻어진 백합나무 바이오오일로부터 분말 형태의 열분해리그닌(pyrolytic lignin)을 회수하였다. 바이오오일을 구성하고 있는 열분해리그닌의 특성을 이해하고 급속 열분해 실험 조건 - 반응 온도, 체류시간 - 이 열분해 과정에서 리그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율을 비롯한 다양한 화학적, 구조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열분해 온도가 증가하고, 체류시간이 줄어들수록 바이오오일로부터 회수되는 열분해리그닌의 수율은 증가하였다. 열분해리그닌의 분자량은 백합나무 MWL (milled wood lignin)에 비해 1/10 수준인 약 1,200 mol/g로 측정되었다. 열분해리그닌 내 포함된 작용기 함량과 $^{13}C$ NMR 분석을 통해 바이오매스가 열분해되는 동안 탈메톡실화 반응과 리그닌의 propane side chain 분해반응이 우세하게 일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Water vapor permeation properties of $Al_2O_3/TiO_2$ passivation layer on a poly (ether sulfon) substrate

  • 권태석;문연건;김웅선;문대용;김경택;한동석;신새영;박종완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60-160
    • /
    • 2010
  • Organic electronic devices require a passivation layer to ensure sufficient lifetime. Specifically, flexible organic electronic devices need a barrier layer that transmits less than $10^{-6}\;g/m^2/day$ of water and $10^{-5}\;g/m^2/day$ of oxygen. To increase the lifetime of organic electronic device, therefore, it is indispensable to protect the organic materials from water and oxygen. Severe groups have reported on multi-layerd barriers consisting inorganic thin films deposited by plasma enhenced chemical deposition (PECVD) or sputter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formation of granular-type morphology and microscopic pinholes in PECVD and sputtering. On the contrary, atomic layer deoposition (ALD) is free of pinhole, highly uniform, conformal films and show good step coverage. In this study, the passivation layer was deposited using single-process PEALD. The passivation layer, in our case, was a bilayer system consisting of $Al_2O_3$ films and a $TiO_2$ buffer layer on a poly (ether sulfon) (PES) substrate. Because the deposition temperature and plasma power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perties of the passivation lay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_2O_3$ film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density under different deposition temperatures and plasma powers. The effect of the $TiO_2$ buffer layer also was also addressed. In addition,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VTR) an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s) lifetime were measured after forming a bilayer composed of $Al_2O_3/TiO_2$ on a PES substrate.

  • PDF

칼륨 이온으로 치환된 NaA형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투과증발 특성 (Pervaporation Characteristics of NaA Type Zeolite Membrane Substituted to $K^+$)

  • 이용택;윤미혜;정헌규;정동재;안효성
    • 멤브레인
    • /
    • 제18권3호
    • /
    • pp.250-255
    • /
    • 2008
  • 열적, 기계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물/에탄올 선택도를 이온교환 실험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높이고자 하였다. KA형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직접 합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므로 NaA형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합성한 후 이를 다시 이온교환 하여 KA형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공급되는 에탄올의 농도 변화 및 투과 증발실험 온도의 변화가 투과플럭스와 물 선택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온교환 실험 후 전체 투과플럭스는 감소하였고 물 선택도는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방향계 폴리에테르이미드막의 물-알콜 혼합액의 투과증발 특성에 관한 연구 : I.구조 변화에 따른 투과증발 (Study on the Pervaporation Characteristic of Water-alcohol Mixtures through Aromatic Polyetherimide Membranes : I. Pervaporation through Structure Change of Symmetric Dense and Asymmetric Structure Membranes)

  • 김상균;제갈종건;이규호
    • 공업화학
    • /
    • 제8권6호
    • /
    • pp.945-953
    • /
    • 1997
  • 방향계 폴리에테르이미드를 건/습 상분리방법으로 막을 만들고 imide group이 갖는 선택 투과 특성과 표면층의 구조를 변화시켜 이때 나타나는 물-알콜 혼합액의 투과 증발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막의 선택성은 구조 변화의 반응시간에 따라 일정 시간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때의 구조 변화는 미 반응 막보다 치밀한 구조로 변화됨에 따른 효과로 보이고 있다. 치밀 막의 경우엔 90% 에탄올 용액에서 160의 선택성을 보였고, 이소프로필알콜용액에서는 2000이 넘는 높은 선택성을 보여줌으로써 이미드재료가 높은 투과 선택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막의 투과도에 대한 온도 의존성은 온도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선택도 또한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 PDF

카테콜 함유 생체모방 점막접착형 고분자의 합성 및 특성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atechol-Containing Biomimetic Mucoadhesive Polymers)

  • 박동진;이상진;이상천
    • 폴리머
    • /
    • 제37권5호
    • /
    • pp.625-631
    • /
    • 2013
  • 점막접착 기능은 인체의 다양한 장기에 적용되는 의료용 접착제에 요구되는 중요한 특성이며, 점막접착 기능을 갖는 고분자를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생체모방 기술을 통한 점막접착형 고분자를 개발하고 있고, 그 중 해양 부착 생물인 홍합의 접착 기능 및 특성이 접착제 연구의 주요 대상이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홍합 접착 물질 속에 과량 존재해 표면 접착 기능을 발현하는 카테콜 구조가 도입된 생체모방형 고분자를 합성하였고, 핵자기공명분광법 및 젤투과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In vitro 상에서 돼지의 소장점막하조직 sheet를 준비하여 전단 시편을 제작하고 점막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점막접착형 고분자는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조군인 피브린글루와 비교할 때 월등한 접착력을 보였다. 또한, 다양한 인자를 변화시키며 최적의 점막접착력을 나타내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우수한 점막접착형 특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를 개발하였고 다양한 임상적용 및 의료용 기기에 도입가능한 소재의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고 사료된다.

가교제를 도입시킨 술폰산형 이온교환막의 금속이온 포집 (Capture of Metal Ions by Cross-linked Sulfonic Acid Type Ion Exchange Membranes)

  • 김민;김예진;박상진
    • 멤브레인
    • /
    • 제19권4호
    • /
    • pp.333-34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금속 흡착을 위한 방사선 그라프트 중합법에 의한 이온교환막의 성능 향상을 위한 것이다. 그라프트 체인의 이온교환기에 의해 체인이 막의 pore를 방해하여 투과유속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그라프트 체인과 체인사이를 N-ethyleneglycoldimethacrylate계 가교제를 첨가하여 투과유속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이때 사용된 가교제는 길이가 서로 다른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DMA)와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DMA)를 사용하였다. GMA 막에 가교제가 첨가된 이온교환막에 술폰산기를 첨가한 막을 이용하여 중금속 이온($Pb^{2+}$) 흡착을 하였다. 술폰산기 밀도가 1.40 mmol/g인 EDMA막은 13.82 mg/g을 흡착하였고, 술폰산기 밀도가 2.14 mmol/g인 DDMA막은 17.37 mg/g의 흡착량을 보였다.

Involvement of Lipopolysaccharide of Bradyrhizobium japonicum in Metal Binding

  • Oh, Eun-Taex;Yun, Hyun-Shik;Heo, Tae-Ryeon;Koh, Sung-Cheol;Oh, Kye-Heon;So, Jae-S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296-300
    • /
    • 2002
  • Bacterial cell surface components are the major factors responsible for pathogenesis and bioremediation. In particular, the surface of a Gram-negative bacterium cell has a variety of components compared to that of a Gram-positive cell. In our previous study, we isolated an isogenic mutant of Bradyrhizobium japonicum, which exhibited altered cell surface characteristics, including an increased hydrophobicit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tic analysis of the lipopolysaccharide (LPS) in the mutant demonstrated that the O-polysaccharide part was completely absent. Meanwhile, a gel permeation chromatographic analysis of the exopolysaccharide (EPS) in the mutant demonstrated that it was unaltered. Since LPSs are known to have several anion groups that interact with various cation groups and metal ions, the mutant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direct role of LPS in metal binding by B. japonicum. Using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it was clearly demonstrated that LPS was involved in metal binding. The binding capacity of the LPS mutant to various metal ions $(Cd^{2+},\;Cu^{2+},\;Pb^{2+},\;and\;Zn^{2+})$ was 50-70% lower than that of the wild-type strain. Also, through an EPS analysis and desorption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EPS and centrifugal force had no effect on the metal binding. Accordingly, it would appear that LPS molecules on B. japonicum effect the properties, which precipitate more distinctly metal-rich mineral phase.

pH-Sensitivity Control of PEG-Poly(${\beta}$-amino ester) Block Copolymer Micelle

  • Hwang, Su-Jong;Kim, Min-Sang;Han, Jong-Kwon;Lee, Doo-Sung;Kim, Bong-Sup;Choi, Eun-Kyung;Park, Heon-Joo;Kim, Jin-Seok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5권5호
    • /
    • pp.437-442
    • /
    • 2007
  •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PEG)-poly(${\beta}$-amino ester) (PAE) block copolymers were synthesized using a Michael-type step polymeriz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pH-sensitive polymeric micelles (PM) investigated. The ${\beta}$-amino ester block of the block copolymers functioned as a pH-sensitive moiety as well as a hydrophobic block in relation to the ionization of PAE, while PEG acted as a hydrophilic block, regardless of ionization. The synthesized polymers were characterized using $^1H-NMR$, with their molecular weights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 $pK_b$ values of the pH-sensitive polymers were measured using a titration method. The pH-sensitivity and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of the block copolymers in PBS solution were estimated using fluorescence spectroscopy. The pH dependent micellization behaviors with various bisacrylate esters varied within a narrow pH range.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at pH 7.4 decreased from 0.032 to 0.004 mg/mL on increasing the number of methyl group in the bisacrylate from 4 to 10. Also, the particle size of the block copolymer micelles was determined using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The DLS results revealed the micelles had an average size below 100 nm. These pH-sensitive polymeric micelles may be good carriers for the delivery of an anticancer drug.

침지형 막분리 활성 슬러지법에 따른 막 오염 특성 (Characteristics of Fouling in a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Activated Sludge Process)

  • 김대식;강종석;김기연;이영무
    • 멤브레인
    • /
    • 제11권4호
    • /
    • pp.170-178
    • /
    • 2001
  • 상전환 방법에 의해 PVC계 MF막을 제조하여 환성슬러지가 포함된 폐수 처리용 MBR (Membrane bioreactor)에 적용하였다. 막 제조시 첨가제의 농도에 따른 막 특성을 확인한 결과 첨가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기공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친수화도 역시 향상되었다. MBR의 내부 환경변화에 따른 실험을 통해 제조한 막의 투과 성능 및 막에 발생하는 막 오염 거동을 조사하였다. 사상균의 생성으로 인한 Sludge bulking 시 막 오염 현상이 가속화되었으며, 이 때 각 시료의 Rc을 조사한 결과 CP-0 > CP-1.0 > CP-1.5의 순으로 나타났고, 정상상태와 비교하여 sludge busking시 Rc값은 3.5~7배가지 증가하였다. 표면 특성이나 투과 유속면에서 PVP 1.5 wt% (CP-1.5)를 첨가하였을 때가 가장 적합하였다. 평균 투과 유속은 시료 모두에서 12(${\pm}$2) L/$m^2$hr 정도였으며, 평균 COD 제거율은 98.8% 정도를 나타내었다 MBR 운전에 있어 sludge bulking시 사상균이 차지하는 비율과 미생물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막 오염은 가속화 되었고, 투과 유속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막 여과 특성은 막의 친수화 정도와 MBR 내부 미생물의 성장 조건과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