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eate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33초

펜턴반응후 후처리로써 막분리에 의한 염색폐수처리 (Dyestuff Wastewater Treatment by Membrane Separation as Post-treatment after lenten막s Reaction)

  • 김선일;윤영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4-80
    • /
    • 1998
  • Because permeate flux was very low as It has the suspension soled of higher concentration In the trafiltration membrane separation treatment of dyestuff wastewater, pre-treatment of Ponton reaction was carried out. In the case of pH 3, COD removal rate was the hi각erst of 58%. When PAC was added into the pre-treatment supernatant, the COD removal rate was found to be 53% , and when COD was 153mg/L, the removal rate was 92.3% in the trafiltration separa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PAC on the permeate flux was also investigated. The decrease of permeate flux In the presence of PAC was higher than In the abscence of PAC, but the recovery of permeability by cleaning was better In the case of PAC system.

  • PDF

침지형 막모듈에서 중공사 분산에 따른 여과특성 (Filt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ollow Fiber Dispersion in Submerged Membrane Module)

  • 이재인;신춘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3-176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membrane modules according to hollow fiber dispersion for direct solid-liquid separation of activated sludge. 2 bundle, 4 bundle, and 10 bundle, and 10 bundle module used in this experiment according to hollow fiber dispersion was manufactured at laboratory and permeate flux and transmembrane pressure(TMP) of each module were observed under a suction pressure of 0.5kgf/c$m^2$. As the hollow fibers were dispersed, permeate flux was increased and TMP was decreased. Permeate flux and TMP of each module was 15.0 $\ell$/$m^2$.h and 31.8 cmHg for 2 bundle, 16.0 $\ell$/$m^2$ .h and 17.4 cmHg for 4 bundle, and 20.4 $\ell$/m2 .h and 31.8 cmHg for 10 bundle. In conclusion, the membrane fouling is expected to be decrease by maintaining lower TMP with hollow fiber dispersion.

  • PDF

Advanced Water Treatment by Tubular Alumina Ceramic Ultrafiltration: Effect of Periodic Water-back-flushing Period

  • Park, Jin-Yong;Lee, Song-Hui
    • Korean Membrane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15-20
    • /
    • 2009
  • The periodic water-back-flushing using permeate water was performed to minimize membrane fouling and to enhance permeate flux in tubular ceramic ultrafiltration (UF) system for Gongji stream water treatment in Chuncheon city. The filtration time (FT), which was the water-back-flushing period, 2 min with periodic 15 sec water-back-flushing showed the highest value of dimensionless permeate flux ($J/J_o$), and the lowest value of resistance of membrane fouling ($R_f$), and we acquired the highest total permeate volume ($V_T$) of 6.35 L. Consequently FT 2 min at back-flushing time (BT) 15 sec could be the optimal condition in advanced UF water treatment of Gongji stream. Then the average rejection rates of pollutants by our tubular ceramic UF system were 99.4% for Turbidity, 31.8% for $COD_{Mn}$, 22.6% for $NH_3$-N and 65.9% for T-P.

Membrane distillation of power plant cooling tower blowdown water

  • Ince, Elif;Uslu, Yasin Abdullah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0권5호
    • /
    • pp.321-330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very of the power plant cooling tower blowdown water (CTBD) by membrane distillation.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a flat plate poly vinylidene fluoride (PVDF) membrane with a pore diameter of $0.22{\mu}m$ by a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unit (DCMD). The effects of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transmembrane temperature difference (${\Delta}T$), circulation rate and operating time on permeate flux and membrane fouling have been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meate flux increased with increasing ${\Delta}T$ and circulation rate. Whereas maximum permeate flux was determined as $47.4L/m^2{\cdot}h$ at ${\Delta}T$ of $50^{\circ}C$ for all short term experiments, minimum permeate flux was determined as $7.7L/m^2{\cdot}h$ at ${\Delta}T$ of $20^{\circ}C$. While $40^{\circ}C$ was determined as the optimum ${\Delta}T$ in long term experiments. Inorganic and non-volatile substances caused fouling in the membranes.

한외여과에 의한 다시마 정미성분 분리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Separation of Taste Components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Extract by Cross Flow Ultrafiltration)

  • 이호봉;이승렬;장영상;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9-203
    • /
    • 1992
  • 한외여과를 이용하여 다시마 열수추출물로 부터 가용성 저분자량의 정미성분을 회수하는데 필요한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분리막 선정 및 온도, 압력, Flow rate의 영향을 고찰하였고 선정된 최적 조건하에서 한외여과와 Diafiltration을 실시하여 투과유량의 flux profile과 정미성분의 회수율을 비교하였다. 분리막은 소수성인 GR 51PP가 친수성인 FS 형태보다 높은 투과유량을 유지하였다. Flow rate의 증가에 따라서 투과유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3.7 l/min에서 한계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Steady-state에서 투과유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온도 증가에 따라서는 큰 변화는 없었다. 한외여과와 Diafiltration 실시에 따른 투과유량의 Flux profile과 전체 고형분과 정미성분의 회수율을 조사한 결과 한외여과를 실시한 경우가 비교적 높은 회수율을 보였으나 투과유량은 전반적으로 Diafiltration 보다 낮았다.

  • PDF

자연유기물을 처리하는 혼합 오존-세라믹 한외여과 시스템에서 물리화학적 특성이 투과플럭스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Effect on Permeate Flux in a Hybrid Ozone-Ceramic Ultrafiltration Membrane Treating Natural Organic Matter)

  • 김정환
    • 멤브레인
    • /
    • 제18권4호
    • /
    • pp.354-361
    • /
    • 2008
  • 자연유기물을 처리하는 혼합 오존-세라믹 한외여과 수처리 시스템에서 막의 운전조건과 처리수의 화학적 조성이 세라믹 막의 투과플럭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오존주입량, 막간압력 그리고 교차흐름속도를 포함한 운전조건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 막의 투과플럭스는 오존주입량과 교차흐름속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막간압력이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오존주입으로 인한 막오염의 감소는 교차여과에서 오존기체방울에 의해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물리적인 역수송보다는 촉매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진 세라믹막 표면에서 발생하는 오존과 자연유기물간의 화학반응에 의한 영향에 더욱 의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막오염의 감소는 상대적으로 높은 막간압력을 적용 시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델 자연유기물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높은 pH에서는 칼슘의 첨가로 인해 투과플럭스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pH에서는 투과플럭스 감소에 대한 칼슘의 효과는 저하되었다. 혼합 오존-세라믹만 시스템에서 연속적인 오존주입은 세라믹막 표면에서 발생하는 촉매오존산화에 의한 자연유기물의 분해로 운전 초기 막의 투과플럭스의 감소 후 궁극적으로는 막의 투과플럭스를 회복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직접접촉식과 동반기체식 막증류 공정의 투과수 변화에 따른 비교해석 (Permeate Flux Analysis of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DCMD) and Sweep Gas Membrane Distillation (SGMD))

  • 엄수환;;이용택
    • 멤브레인
    • /
    • 제21권3호
    • /
    • pp.236-24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공의 크기가 $0.4{\mu}m$의 소수성 막인 폴리에틸렌 100가닥으로 모듈을 제작하여 직접접촉식과 동반기체식 막증류 과정에서 막의 양단의 온도차, 공급수의 염분농도, 그리고 냉각수/동반기체의 유량에 대해서 투과수의 플럭스를 측정하였다. 이론적으로는, 동반기체식 막증류는 직접접촉식 막증류 공정의 막의 투과측 표면과 냉각수 사이에 동반 기체층이 추가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 동반기체층은 새로운 저항층과과 동반기체의 이동중 상변화된 수증기가 손실되는 것이 투과유속을 30% 정도 감소시키게 된다. 물질수지식을 이용하여, 기존의 식과는 다르게 보정계수(${\omega}$)를 넣어 직접접촉식 막증류와 동반기체식 막증류의 이론값을 실험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오일 함유 세척수의 한외여과 처리에서의 역세척에 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Backflushing for Ultrafiltration Treatment of Alkaline Cleaner Containing Cutting Oils)

  • 김종표;정명석;김재진;정건용;전성덕
    • 멤브레인
    • /
    • 제8권2호
    • /
    • pp.94-101
    • /
    • 1998
  •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계의 재질인 한외여과 중공사막 (분획분자량: $5\times 10^4$ Dalton)을 이용하여 금속표면처리 세척수로부터 오일입자를 제거하였다. 오일입자를 분리하고자 할 때 막표면에서의 농도분극 현상으로 투과플럭스를 감소시키므로 농도분극을 억제하기 위하여 질소기체로 역세척을 수행하였다. 정상운전 및 역세척시간을 각기 달리하여 운전함으로써 얻어진 투과플럭스의 거동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실질투과플럭스 증가율의 산출을 기준으로 정상운전시간/역세척시간이 10분/40초인 조건이 역세척을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가장 높은 증가율 (약 23%)을 보였다. 하지만, 실제 운전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시간에 따른 투과플럭스의 안정성은 정상운전시간이 연장되면 크게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막투과플럭스가 역세척압력에 무관하게 일정한 거동을 보이는 레이놀즈수 이상에서는 역세척압력이 증가할수록 투과플럭스는 n제곱승으로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보였고, 원료공급속도가 증가할수록 투과플럭스의 증가정도는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한외여과막 반응기에서 단백질의 막 투과특성 (Characteristics on the Permeation of Protein Through Membrane of Ultrafiltration Reactor)

  • 변희국;전유진;김세권
    • 멤브레인
    • /
    • 제8권1호
    • /
    • pp.42-49
    • /
    • 1998
  • 한외여과막 반응기에서 gelatin 및 bovine serum albumin(BSA) 용액을 한외여과막(MWCO 5,000)으로 여과시 작동시간, pH, 온도, 농도 및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의 첨가가 투과유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한외여과막 반응기의 작동시간에 따른 gelatin 용액의 투과유속은 작동시간 20분까지 약간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18.9l/m^2\cdot hr$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BSA 용액은 작동시간 40분까지 완만하게 감소하다가 그후 $6.4l/m^2\cdot hr$로 초기유속의 66%가 감소하였다. 온도에 따른 gelatin 용액의 투과유속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BSA 용액은 $60{\circ}C$에서 투과유속이 가장 높았으며, 30~$50{\circ}C$ 범위에서는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pH 변화에 따른 gelatin 및 BSA 용액의 투과유속은 10psi 이상에서 각각의 등전점 영역인 pH 5.0에서 가장 낮았다. 투과압력 30psi에서 1% 및 6%(w/v) gelatin용액의 투과유속은 각각 $43.0l/m^2\cdot hr$$13.5l/m^2\cdot hr$ 였으며, BSA 용액의 경우는 1% 및 4%에서 $33.0l/m^2\cdot hr$$14.0l/m^2\cdot hr$로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각각 68.6% 및 57.6% 감소하였다. Gelatin 및 BSA 용액에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의 첨가에 의한 투과유속은 gelatin 및 BSA의 저분자화에 의한 점도의 감소로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30% 향상되었다.

  • PDF

Comparison of Oven-drying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Moisture Content in Feed Ingredients

  • Ahn, J.Y.;Kil, D.Y.;Kong, C.;Kim, B.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1호
    • /
    • pp.1615-1622
    • /
    • 2014
  • An accurate assessment of moisture content in feed ingredients is important because moisture influences the nutritional evaluation of feedstuff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various methods for moisture content determination. In Exp. 1, the weight loss on drying (LOD) of corn, soybean meal (SBM),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whey permeate, whey powder, spray-dried porcine plasma (SDPP), fish meal, and a mixed diet of these 7 ingredients were measured by oven drying at $135^{\circ}C$ for 2 h. Additionally, the samples were dried at $105^{\circ}C$ for 3, 6, 9, 12, or 15 h. The LOD contents of the DDGS, whey permeate, and whey powder measured by drying at $135^{\circ}C$ for 2 h were greater than the values measured by drying at $105^{\circ}C$ for 3 h (p<0.05). All samples except SDPP (p = 0.70) dried at $105^{\circ}C$ for 6, 9, 12, or 15 h caused more LOD compared with the samples dried for at $105^{\circ}C$ for 3 h (p<0.05). The LOD contents of the individual ingredients were additive when dried at $105^{\circ}C$ regardless of drying time. In Exp. 2, moisture contents of corn, SBM, wheat, whey permeate, whey powder, lactose, and 2 sources of DDGS (DDGS1 and DDGS2) were measured by the Karl Fischer method, oven drying at $135^{\circ}C$ for 2 h, and oven drying at $125^{\circ}C$, $115^{\circ}C$, $105^{\circ}C$, or $95^{\circ}C$ for increasing drying time from 1 to 24 h. Drying samples at $135^{\circ}C$ for 2 h resulted in higher moisture content in whey permeate (7.5% vs 3.0%), whey powder (7.7% vs 3.8%), DDGS1 (11.4% vs 7.5%), and DDGS2 (13.1% vs 8.8%) compared with the Karl Fischer method (p<0.05). Whey permeate and whey powder were considerably darkened as the drying time increased. In conclusion, drying samples at $135^{\circ}C$ for 2 h is not appropriate for determining the moisture content in whey permeate, whey powder, or DDGS as well as the mixed diet containing these ingredients. The oven-drying method at $105^{\circ}C$ for 5 to 6 h appears to be appropriate for whey permeate and whey powder, and at $105^{\circ}C$ for 2 to 3 h for DD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