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anganat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3초

총유기탄소의 먹는물 수질기준 설정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otal Organic Carbon in Drinking Water Standard)

  • 유순주;안경희;박수정;김미아;최자윤;이연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61-666
    • /
    • 2009
  • In this study, total organic carbon (TOC) and potassium permanganate ($KMnO_4$) demand were examined for raw and finished tap water and the range of $KMnO_4$ demand in drinking water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OC and $KMnO_4$ demand, the applicability of TOC as a drinking water standard and its regulation level was proposed. The average $KMnO_4$ demand was 1.3 mg/L in 4,638 samples from finished drinking water, tap water and finished water from small facilities. $KMnO_4$ demand of 95% of samples was 2.9 mg/L which was 29% of the drinking water standard (10 mg/L). At 12 major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the average $KMnO_4$ demand in July and August was 8.1 and 2.4 mg/L for raw and finished water, respectively. TOC in July and August was 2.0 and 1.15 mg/L for raw and finished water,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KMnO_4$ demand and TOC was as high as 0.8 in both raw and finished water and $KMnO_4$ demand was twice of TOC in finished water. Becaus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atio between $KMnO_4$ demand and TOC varied according to seas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raw water, it would be difficult to establish TOC standard just from the ratio of $KMnO_4$ demand to TOC. However, it is possible to set the TOC range based on the accumulated $KMnO_4$ demand data or from the satisfactory correlation results. Then, it would be reasonable to establish TOC standard level as 4 ~ 5 mg/L.

주사전자현미경상에서의 고분자 미세구조 관찰 (A New Sample Preparation Technique for SEM Observation of Polyolefin Microstructure)

  • 박제명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4호
    • /
    • pp.405-415
    • /
    • 1999
  • 일반적으로 고분자 미세구조 관찰은 microtomming, solution casting, carbon replica, staining법 등을 이용하여 시료를 전처리한 시료를 TEM을 이용하여 관찰한다. 이러한 시편 전처리 법은 높은 재연성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기기 의존적이거나 시편전처리 과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고분자미세구조 관찰 및 이를 위한 시편준비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한된 화학적에칭법을 개선하여 각종 polyolefin 종류 및 형상에 맞게 전처리하여 SEM을 이용한 고분자 미세구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과망간산 에칭방법이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polyolefin 미세구조 관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에칭조건은 시료의 종류와 관찰대상에 맞게 과망간산/인산, 과망간산/인산/황산 등의 조성과 etchant 의 함량비, 에칭시간의 단순한 조절로 가능하다. 본 연구의 에칭법을 이용하여 관찰한 고분자의 미세구조는 iPP 구정의 characterization, 라멜라 특성연구, 고분자 blend 등 기존 연구의 관찰결과를 잘 재연하고 있어 고분자의 모폴로지 특성 뿐만 아니라 blend와 film등 상업적 제품 연구 및 개발에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초기치패의 저질개선제 종류에 따른 성장 및 생존 (Growth and Survival on Different Kinds of Sediment Improvements of Early Spat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 김병학;조기채;변순규;김민철;지영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5-129
    • /
    • 2012
  • 실험에 사용한 어미는 2011년 7월 4일 전남 영광군 백수면 하사리에서 채집된 어미를 수송 후 채란하여 3일간 유생 사육한 초기치패 (각장 $196{\pm}14{\mu}m$) 9천 6백만 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시험기간은 2010년 7월 7일부터 8월 6일까지 30일간 사육 실험하였다. 실험 개시 전 각 저질개선제의 농도별로 치패의 생존가능 범위 조사 하였고, 농도는 요오드 10 ppm, 과산화수소 5 ppm, 차염소산나트륨 100 ppm, 이산화염소 100 ppm, 과망간산칼륨 5 ppm 으로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성장은 차염소산나트륨 100 ppm 실험구가 $1.04{\pm}0.26mm$ 로 가장 높았고, 이산화염소 100 ppm 실험구 $1.03{\pm}0.25mm$, 요오드 실험구 $1.01{\pm}0.28mm$ 순이었고, 생존율은 이산화염소 100 ppm 실험구가 31.4% 로 가장 높았고, 차염소산나트륨 실험구 100 ppm 12.1%, 요오드 실험구 10 ppm 11.6%, 과산화수소 실험구 5 ppm 1.5% 순이었으며, 과망간산칼륨 실험구 5 ppm 은 전량 폐사하였다.

칼코겐이 도핑된 망간 산화물의 저온합성 연구 (Chimie Douce Synthesis of Chalcogen-Doped Manganese Oxides)

  • 황성주;임승태;박대훈;윤영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15-320
    • /
    • 2006
  • 도핑된 망간 산화물을 저온 산화환원반응을 통하여 합성하였다. 분말X선 회절분석 결과는 황이 도핑된 화합물이 층상 birnessite 구조로, 그리고 셀레늄 도핑 시료는 터널 -MnO2 구조로 결정화 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대조적으로 텔루륨이 도핑된 시료는 비정질상으로 잘 발달된 회절 피크를 보이지 않는다. EDS분석으로부터 칼코겐 원소가 망간 산화물 격자 내에 망간원소에 대해 4-7%의 농도로 도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물질을 이루는 구성원소의 화학결합상태를 X선 흡수 분광분석법 (XAS)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Mn K-흡수단 XAS 결과로부터 +3/+4가 혼합 원자가 상태를 가지는 망간 이온이 산소 팔면체 자리에 안정화 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Se K-와Te L1-흡수단 XAS 분석 결과는 중성인 Se과 Te 원소가 산화제인 KMnO4와의 반응을 통해 +6가 양이온으로 산화되었음을 보여준다. 결정구조와 망간의 산화상태를 감안하면 이들이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물질로서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성자조사 금속 과망간산염의 반조효과 (Recoil Effects of Neutron-Irradiated Metal Permanganates)

  • Lee, Byung-Hun;Kim, Jung-Gwa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0권2호
    • /
    • pp.105-111
    • /
    • 1988
  • 과망간산염들, 즉 과망간산 칼륨, 과망간산 암모늄, 과망간산 바륨에서 망간의 중성자 포획으로 야기되는 화학적 효과를 고찰하였다. $^{55}$Mn(n, r) $^{56}$ Mn 반응에서 생성된 방사성 망간 화학종, 즉 양이온 56/Mn, $^{56}$ MnO$_2$ 그리고 $^{56}$ MnO$_4$$^{-}$의 분포에 미치는 용제의 pH효과를 여러 가지 흡착제들과 이온교환체, 즉 제올이프 A-3, 카올리나이트, 알루미나, 이산화망간 그리고 도엑스 -50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카올리나이트와 알루미나에서 방사성 MnO$_4$$^{-}$의 분포가 대표적인 pH값인 4, 7 그리고 9 각각에서 다른흡착제와 이온교환체보다 높게 나타나며 동일한 흡착제일경우에는 pH 4 는 및 pH 9에서가 pH 7에서보다 높게 나타난다. $^{55}$Mn(n, r) $^{56}$ Mn 반응에 의하여 과망간산염에서 생성된 반조망간원자들의 열-어니어링 거동 또한 고찰하였다. 열-어니어링에서 $^{56}$ MnO$_4$$^{-}$의 잔류율은 10$0^{\circ}C$ 및 13$0^{\circ}C$ 처리에서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함을 보였다. 망간염의 반조효과는 hot zone model로 설명하였다.

  • PDF

SEM-EDS를 이용한 PEG처리재 세포벽내의 PEG분포 분석 (PEG Distribution in the Cell Walls of PEG-treated Woods using SEM-EDS)

  • 권구중;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9-14
    • /
    • 2006
  • PEG처리재의 치수안정성 기구를 조사하기 위해 에너지분산스펙트럼분석법(SEM-EDS)을 이용하여 세포벽 내에 존재하는 PEG분자들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무처리재의 세포들은 건조에 의한 수축이 발생하여 세포들이 찌그러진 형태를 나타냈지만, PEG처리재의 세포는 세포벽이 무처리재에 비해 다소 팽윤되었고, 세포들은 거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었다. SEM-EDS법으로 분석한 결과, 세포벽에 K이온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PEG분자는 세포벽 내까지 침투하여 목재의 치수안정성 증대에 기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식물생장소가 대두 엽육세포의 Cytolysome-like Organelle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lant Growth Substances on Cytolysome-like Organelles in the Mesophyll Cells of Soybean)

  • 김우갑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4호
    • /
    • pp.163-170
    • /
    • 1974
  • Leaf tissue of Glycine max Merr. was fixed in para-formaldehyde-glutarldehyde and postfixed in osmium tetroxide or postassium permanganate for electron microscopy. The origin of cytolysome-like organelles of mesophyll cell was studied and changes of fine structure of the organelles according to treating solutions such as gibberellin (GA), kinethin (KI),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2, 4-D) or 2, 4-D+GA(1mg/l, respectively) were observed. The cylolysome-like organelles differentiate in endoplasmic reticulum and plasmalemma, and they drop into vacuoles being isolated from the formers. They seem to change into myelin-like structure and to be degenerated by autodigestion. Cytolysome-like organelles involved in cell walls and vacuoles showed activity of acid phosphatase. In the group of GA and KI treatment, cytolysome-like organelles were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in the treatmental groups of 2,4-D and 2,4-D+GA, myelin-like structures increased in size and autodigestion of this organelles were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in the treatmental groups of 2,4-D and 2,4-D+GA, myelin-like structures increased in size and autodigestion of this organelle seemed to be accelerated. In the treatmental group of 2,4-D+GA, myelin-like structures shown high electron density were observed in cytoplasm and vacuoles together.

  • PDF

MA포장 기술을 이용한 신선한 과실 및 채소류의 품질보존에 대한 연구 (Studies on Quality Maintenance of Fresh Fruit and Vegetables Using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 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3-28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s of quality maintenance using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with various quality preservatives at ambient and low temperatures. Ethylene(<1.0ppm) accumulated during modified atmosphere storage of Chinese cabbage using polyethylene film(60$\mu\textrm{m}$) caused quality deterioration such as yellowing and abscission. The addition of potassium permanganate reduced ethylene level and thus extended storage life of l00% at 20$^{\circ}C$ and 140% at 0$^{\circ}C$. To establish the storage conditions of minimally processed sit and vegetabl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various quality preservatives and packaging materials. Ceramic film(Zeolite 7%, 60$\mu\textrm{m}$) showed increasing storage life of 50%, reducing total microbial counts of 50% and keeping high appearance quality of minimally processed pears stored at 20$^{\circ}C$ and 0$^{\circ}C$. Minimally processed Chinese cabbage treated with l% CaCl2 at 20$^{\circ}C$, and 1% CaCl2 and 1% NaCl at 0$^{\circ}C$ has a longer storage life of 90% with good maketable quality. Treatment of 1% NaCl for cut Asian penis appeared increased storage life of 100%, decreased cut surface browning and the best overall acceptability by a sensory panel.

  • PDF

보조에너지원으로서의 수퍼커패시터용 나노전극소재로서의 탄소/망간산화물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Manganese Oxide coated onto Carbon Nanotubes for Energy Storage Applications)

  • 안균영;마상복;김광범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3-146
    • /
    • 2007
  • Birnessite-type manganese dioxide($MnO_2$) was coated uniformly onto carbon nanotubes (CNTs) through a spontaneous direct redox reaction between CNTs and permanganate ions($MnO_4\;^-$). The initial specific capacitance of the $MnO_2/CNT$ nanocomposite in an organic electrolyte at a large current density of 1 A/g was 250 F/g, which is equivalent to 139 mAh/g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lectrode material including the electroactive material, conducting agent and binder. The specific capacitance of the $MnO_2$ in the $MnO_2/CNT$ nanocomposite was as high as 580 F/g (320 mAh/g), indicating excellent electrochemical utilization of the $MnO_2$. The addition of CNTs as a conducting agent can improve the high rate capability of $MnO_2/CNT$ nanocomposite considerably. An analysis of the in-situ X-ray absorption near-edge structure (XANES) showed an improvement in the structural and electrochemical reversibility of the $MnO_2/CNT$ nanocomposite by heat-treatment.

  • PDF

나일틸라피아 치어에 미치는 염화나트륨, 포르말린 및 과망간산칼륨의 금성독성 (Acute Toxicity of Sodium Chloride, Formaline and Potassium Permanganate to Nile Tilapia Fry)

  • 박인석;최경철;노재구;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9-121
    • /
    • 2002
  • 염화나트륨(NaCl), 포르말린 및 과망간산칼륨(KMnO$_4$)에 대한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24시간 급성 독성을 조사하였다. 1. NaCl의 24시간 $LC_{50}$ 값은 18.6$\textperthousand$이었고 95% 신뢰한계의 상한치는 18.7$\textperthousand$ 하한치는 18.5$\textperthousand$었다. 포르말린의 24시간 $LC_{50}$ 값은 152 ppm 이었고, 상한치는 156ppm, 하한치는 148 ppm 이었다. KMnO$_4$의 24시간 $LC_{50}$ 값은 2.09 ppm 이었고 상한치는 2.11 ppm, 하한치는 2.07ppm 이었다. 2. 모든 처리 화합물은 본 종에 대해 좁은 농도 범위 내에서 급성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아울러 뚜렷한 농도 의존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본 연구에서 사용된 3가지 화합물의 틸라피아 양식에서의 유용성과 연관시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