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anent formwork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7초

강재 영구거푸집 와이드 보의 시공단계 구조성능 (Structural Performance of Permanent Steel Formed Wide Beams in Construction Stage)

  • 박유나;허인욱;김재현;할리오나;김성배;김강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130-138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강재 영구거푸집 와이드 보를 대상으로 시공하중에 대한 실험적‧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측면강판의 리브 간격과 고정철물의 깊이를 변수 총 4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변수별 실험체의 구조거동 차이를 상세히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강재 영구거푸집 와이드 보의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제안하였다. 검증된 해석모델을 활용하여 하부 및 측면강판의 리브 간격, 고정철물 간격, 고정철물 깊이 및 두께를 변수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적화된 상세를 도출하였다. 더 나아가 다양한 상세를 가지는 강재 영구거푸집 와이드 보의 변형량을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는 인공신경망 예측모델을 제안하였다.

퍼포본드 FRP-콘크리트 합성보의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Perfobond FRP-Concrete Composite Beam)

  • 유승운;국무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21-127
    • /
    • 2010
  • 퍼포본드 FRP 판을 영구 거푸집 및 인장 보강재로 이용한 합성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FRP 판을 영구 거푸집 및 인장 보강재의 합성이용은 재래적인 방법에서 필요한 거푸집 조립 및 탈형 등의 작업이 수반되지 않으므로 빠른 시공이 가능하다. FRP 판과 콘크리트가 합성 구조체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FRP 판의 표면처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FRP 판에 잔골재를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에폭시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FRP 판의 웨브에 구멍을 천공하였다. 합성보에 추가적인 휨 및 전단보강은 하지 않았다. 비교를 위해 두가지 종류의 비교 실험시편을 제작하였다. FRP 판의 웨브에 구멍을 천공하지 않은 비교 실험시편과 FRP 판 대신에 철근으로 보강한 비교 실험시편이다. 모든 시험체는 중앙에 집중하중을 재하하여 파괴까지 실험하였다. 본 연구 결과 퍼포본드 FRP 판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영구 거푸집 대용 및 인장 보강재로도 활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퍼포본드 FRP를 영구거푸집으로 활용한 합성보의 휨거동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연구 (Finite Element Analysis for Bending Behavior of Composite Beam with Perfobond FRP Used as a Permanent Formwork)

  • 국무성;유승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280-3286
    • /
    • 2011
  • 최근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의 단점을 원천적으로 보완할 목적으로 재료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에서 새로운 바닥판 시스템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퍼포본드 FRP를 영구거푸집 및 인장 보강재로 이용한 콘크리트 합성보에 대해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증해석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와 비교해서 극한파괴하중의 경우 약 8-15% 내외의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파괴 시 변형도 분포형태는 실험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영구거푸집으로 활용한 FRP 판의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와의 부착응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Bond Stress between Concrete and Various Kinds of FRP Plank used as a Permanent Formwork)

  • 박찬영;유승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92-103
    • /
    • 2015
  • 최근 들어 FRP 판을 영구 거푸집 및 주요 인장보강재로 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영구거푸집과 인장 보강재로의 병행이용은 기존의 콘크리트 바닥판 보다 공사비와 공사기간을 절감 할 수 있다. 본연구에서는 영구거푸집 및 주요인장재로 활용한 FRP 판의 종류에 따른 현장타설 콘크리트와 부착응력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부착성능 평가를 실시하였고, 부착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변수중에 하나로서 부착 강도 및 부착면의 파괴 매커니즘 특성을 알 수 있는 계면 파괴에너지를 나타내었다. 일반콘크리트에서 계면 파괴에너지는 GF11의 경우 0.24kN/m이고, GF21의 경우에는 0.43kN/m, GF31과 CF11의 경우에는 각각 0.46kN/m와 0.44kN/m로 나타났고, RFCON에서는 GF12의 경우 0.52kN/m, GF22와 CF12에서는 각각 0.36kN/m와 0.51kN/m로 나타났다.

다층형 단열재를 사용한 영구거푸집의 처짐 특성 (Deflection Characteristics of Permanent Formwork Using Multi-layer Insulation)

  • 류화성;신상헌;송성용;김득모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0-131
    • /
    • 2019
  • As part of recent low-energy policies, thermal insulation standards for buildings are being tightened every year.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tyrofoam insulating material has a problem that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o achieve a standard heat permeability is rapidly increased. Due to the thick insulation, there is a high risk of spreading vulnerable structures such as fire due to lack of space between buildings.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using the insulation as a formwork is known to be excellent cost saving effect through the reduction of the formwork usage and the simplification of the external insulation work.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ims to fabricate a multi-layered insulator that combines high-performance phenolic foam insulation and styrofoam insulation and evaluate the deflection characteristics for use as formwork.

  • PDF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PLA 필라멘트 비탈형 거푸집 연구 (Permanent Formwork of PLA Filament utilizing 3D Printing Technology)

  • 정준형;현지훈;정희상;고휘재;이주희;안요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81-89
    • /
    • 2021
  • 최근 건축물의 디자인이 정형에서 벗어나서 창의적인 형태를 갖는 비정형 건축물로 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른 건설기술의 척도가 비정형 건축물의 건축 설계, 시공 등으로 바뀌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 중 하나인 FDM 적층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거푸집을 기존 거푸집에 비하여 저렴하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인력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PLA 필라멘트 비탈형 거푸집을 원기둥형과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하여 재령 28일의 기준을 통한 압축파괴 실험과 변형정도, 재사용성 여부 등을 검토하여 PLA 필라멘트 거푸집에 대한 사용성을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실험체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크기에 따른 실험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필라멘트 거푸집 자체가 약3~4MPa의 강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기존 선행연구와 실험을 통한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Infill 60% 이상으로 사용해야 적절하며, 강도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필라멘트 거푸집의 절단, 탈형 결과 표면이 매우 깨끗하고 손상이 없어 재사용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영구거푸집 시스템 연구 (II) (A Study of Permanent Form System by Thin Precast Concrete Panel (II))

  • 남기룡;정문영;정문열;서치호;김윤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7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49-754
    • /
    • 1997
  • Nowadays domestic building market has undergone several changes. Labor costs are too high and materials are in short supply. These raised building costs and therefore lowered productivity. At this point it is the best way to reduce manual labor and find alternative materials that can improve productivity. In the building process form work take the most part of it. So many formwork systems were developed to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labor cost. But their technical improvements just limited to adjust form shape-the role of form is not changed. This research developed a new formwork systems that can function to unify or minimze the unit process with cast-in-place type permanent form. In former study (reported in '97 spring seminar), we did the assembling test with column and beam clamps. Furthermore,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total systems of form erections and evaluated the structural performances.

  • PDF

유리섬유강화폴리머 판을 영구거푸집 및 인장 보강재로 활용한 현장타설 고강도콘크리트 합성보의 휨 파괴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Flexural Failure Behavior of Composite Beam with Cast-in-place High Strength Concrete and GFRP Plank Using As a Permanent Formwork and Tensile Reinforcement)

  • 엄찬희;유승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1015-102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리섬유강화폴리머 판을 영구거푸집 및 인장 보강재로 활용한 현장타설 고강도콘크리트 합성보를 대상으로 판 하부의 잔골재 부착여부, 웨브의 천공유무 및 간격, 상부플랜지 폭을 변수로 하여 휨 파괴실험을 수행하였다. GFRP 판 웨브를 천공하지 않은 경우 잔골재 부착효과 여부를 위한 실험 결과, 잔골재를 부착한 경우 미부착의 경우 보다 약 43% 높은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었으며, 웨브의 천공유무 및 간격효과는 잔골재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 천공간격이 3배인 경우가 약 23% 정도 높은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었으며, 잔골재를 부착한 경우 천공 간격이 5배인 경우가 약 11% 정도 높은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었다. 상부플랜지 영향을 살펴보면, 폭 20mm 경우가 40mm에 비해 약 12% 정도 큰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었다.

영구거푸집으로 활용한 탄소섬유 FRP 판과 DFRCC 사이의 부착응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Bond Stress between DFRCC and Carbon FRP Plank Used as a Permanent Formwork)

  • 박찬영;유승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1687-1694
    • /
    • 2014
  • 최근 들어 탄소섬유 FRP가 보수/보강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 FRP 판을 영구 거푸집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CFRP판과 고인성 섬유보강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성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현장타설 콘크리트와 CFRP 간에 부착을 높이기 위하여 시중에 유통되는 에폭시를 사용하여 규사를 부착하였다. 일반콘크리트의 부착응력은 2.11~5.43MPa으로 나타났고, 고인성 섬유보강 콘크리트인 DC1 (RF4000)과 DC2 (PP)의 부착응력은 각각 3.91~5.60MPa, 2.92~5.21MPa이며, DC3 (RF4000+RSC15)의 부착응력은 4.80~5.58MPa, DC4 (PP+RSC15)의 평균 부착응력은 5.57~5.89MPa으로 나타났다.

영구거푸집으로 사용한 유리섬유 FRP 판과 현장타설 고강도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합성보의 휨/전단파괴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Flexure/Shear Failure Behavior of Composite Beam with GFRP Plank Used As a Permanent Formwork and Cast-in-place High Strength Concrete)

  • 유승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245-4252
    • /
    • 2015
  • 유리섬유강화폴리머(GFRP) 판을 현장타설 고강도콘크리트 구조물의 영구거푸집으로 사용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재 생산되는 GFRP 판의 경우 표면이 매끈하여 콘크리트와 일체 거동에 다소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FRP 판 하부의 잔골재 부착여부, GFRP판 웨브의 천공유무 및 간격, 상부 플랜지 폭을 실험 변수로 하여 현장타설 고강도콘크리트와 GFRP를 영구거푸집으로 활용한 전단경간비가 짧은 합성보의 휨/전단파괴거동을 분석하였다. GFRP 판 웨브를 천공하지 않은 경우 잔골재 부착효과 여부를 위한 실험 결과, 잔골재를 부착한 경우 미부착의 경우 보다 약 47% 정도의 높은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며, 파괴형태도 휨/전단파괴모드를 보여 주었다. 웨브의 천공유무 및 간격효과는 잔골재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 천공간격이 조밀한 경우가 약 24% 정도 높은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었으며, 잔골재를 부착한 경우 천공 간격이 조밀하지 않은 경우가 약 25% 정도 낮은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었다. 상부플랜지 영향을 살펴보면, 폭 40mm 경우가 20mm에 비해 약 17% 정도 큰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