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odontal ligament (PDL)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31초

Superoxide Dismutase가 치주인대 세포에 미치는 면역세포학적 연구 (IMMUNOCYTOCHEMICAL STUDY OF THE EFFECT OF SUPEROXIDE DISMUTASE ON THE PERIODONTAL LIGAMENT CELLS)

  • 강현구;강정구;유형근;신형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497-517
    • /
    • 1995
  • The cells associated with normal defense mechanism in inflammation release free oxygen radicals, hydroxy radicals, and various protease, all of which can damage the surrounding cells(fibroblasts) and matrix molecules(collage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cavenger" enzyme, superoxide dismutase(SOD). to periodontal ligament (PDL) cells. Human PDL cells were cultured from the teeth extracted for non-periodontal reason. Cultured PDL cells in vitro were treated with SOD and LPS according to dosage and culture times. Cellular activity was exaimed by Microtitration(MTT) assay. The quantitative expression of cellular proliferation by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 collagen type I and fibronectin by indirect immunocytochemically stain in PDL cells were d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only SOD treated group at 2 and 3 days, PDL cell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more than 150U(P<0.05). 2. When LPS(0.5, $5{\mu}g/m{\ell}$) and SOD(more than 150U) were added together,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LPS only treated and control groups at 2 days(P<0.05). 3. When LPS($5{\mu}g/m{\ell}$) and SOD(150, 300U) were added together, PCNA index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LPS only treated and control groups at 2 and 3 days(P<0.05). 4. When LPS($5{\mu}g/m{\ell}$) and SOD(150U) were added together, collagen type 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LPS only treated and control groups at 3 days(P<0.05). 5.When LPS($5{\mu}g/m{\ell}$) and SOD(300U) were added together, fibronect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LPS only treated and control groups at 3 days(P<0.05). On the above the results, the SOD in association with collagen type I, fibonectin, and PCNA may afford biological protection to oxy-radicals that were typically liberated during normal inflammatory response. Thus, the exogenous application of SOD may be effective in sthe treatment of the localized breakdown associated with chronic periodontal disease.

  • PDF

기계적 자극이 치주인대 세포의 osteoprotegerin과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gressive tensional force on mRNA expression of osteoprotegerin and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in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

  • 이기주;이승일;황충주;옥승호;전옥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62-274
    • /
    • 2005
  • 본 연구는 치주인대 세포에 지속적이고 점진적 인장력을 가하여 치아 이동 시 형성되는 인장부위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생화학적 전달과 치조골 흡수와 생성 조절 기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치주인대 세포가 배양된 유연한 성장 표면을 가진 배지에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인장력을 가하고 골흡수 인자인 $PGE_2$와 골형성 인자인 ALP의 생성량을 1 3 5. 12시간 후에 측정하여 정량비교하였고 파골세포 분화기전을 조절하는 OPG RANKL의 인자들과 matrix metalloproteinase(MMP)-1, -8, -9, -13, 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TIMP)-1의 인자들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사하여 m-RNA 발현을 비교한 결과 치주인대 세포에 인장력을 가한 경우 대조 군보다 $PGE_2$의 농도가 적었고 (p<0.05) ALP의 농도 변화는 없었으며 OPG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RANKL의 mRNA 발현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TIMP-1과 MMP-1 -8 -9, -13의 mRNA 발현이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사람의 치주인대 세포는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인장력에 대한 반응으로 $PGE_2$의 생성과 RANKL의 mRNA 발현은 감소하고 OPG의 mRNA 발현은 증가하여 골흡수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플란트 저작능에 영향을 주는 신경학적 원인에 대한 고찰 (Discussion of Neurologic Factor Influencing on Chewing Ability of Implant)

  • 김태선;윤준호;김성회;김지환;이재훈;심준성;문홍석;박영범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3호
    • /
    • pp.269-276
    • /
    • 2012
  • 임플란트 보철물의 저작능력과 관련되어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하며 여기에 관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후향적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저작력이 다른 유형의 보철물과 비교해서도 우수한 것으로 결론 내리고 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임플란트 보철치료 후에 저작능력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간혹 있으며 이러한 저작의 불만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여러 가지 원인들 중 신경학적 원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Pubmed database에서 Implant chewing ability, masticatory ability 등의 임플란트 저작과 관련된 검색어를 사용하여 검색 후 임플란트 보철물의 저작능력에 관련된 요인들 및 임상과 관련된 논문들을 선택하고 고찰하였다. 저작능력에 관한 정의, 저작능력에 관련된 요인들에 대해 고려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 중 신경학적 원인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 평가하였다. 치주인대(Periodontal Ligament: PDL)의 기계적감각수용기(Mechanoreceptor)는 저작운동 시 치아로부터 얻은 정보를 뇌간으로 전달하여 저작운동의 조절에 관여한다. 임플란트의 경우 치주인대의 부재로 인해 저작운동 시 저작운동 적응 능력이 떨어지며 특히 딱딱한 음식을 저작 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저작근, TMD의 mechanoreceptor 또한 저작운동에 관여하기 때문에 치주인대의 기계적감각수용기 부재를 보상할 가능성도 있으며 임플란트 주변 조직에 있는 nerve fiber가 감각능력에 관여할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한 보고도 있으니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종 치근단 역충전 재료가 배양된 치주인대 섬유모세포 및 뼈모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END FILLING MATERIALS ON THE ACTIVITY OF CULTURED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AND OSTEOBLASTS)

  • 양미영;최기운;민병순;박상진;최호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1호
    • /
    • pp.76-87
    • /
    • 1999
  • The effect of retrograde root-end filling materials(IRM, Super-EBA, Vitremer, MTA) on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and osteoblasts was observed. The cell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MTT assay, protein assay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examination. The results as follows ; 1. After 24hrs culture, both E1 cells & PDL fibroblast adding root-end filling materials were suppressed cell activities but after 48hrs, cell activities were recovered. 2. Cell activity was lowest in Vitremer followed by IRM, MTA, Super-EBA. 3. Cell activity depression by Vitremer was not concerned with pH changes. 4. Protein synthesis by root-end filling material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E1 cell & PDL fibroblasts but protein synthesis were a little increased by Super-EBA. 5.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increased in E1 cell by Super-EBA & MTA bu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E1 cell by IRM & Vitremer.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a little depressed in PDL fibroblast by Vitremer.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se root-end filling materials may have important roles in promotion of PDL healing and consequently may be useful for clinical application in apical surgery.

  • PDF

사람의 치수 및 치주인대 세포에 대한 Bioaggregate 시멘트의 생체적합성에 대한 연구 (Biocompatibility of bioaggregate cement on human pulp and periodontal ligament (PDL) derived cells)

  • 정주령;김의성;신수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6호
    • /
    • pp.473-478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인간의 치수 및 치근단 조직에서 유리된 세포를 이용하여 비교적 최근 소개된 Bioaggregate의 생체친화성을 평가하는 데에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사람의 발거치로 부터 치수 및 치근단 조직에서 배양된 세포를 이용하였다. Bioaggregate와 white MTA를 혼합하여 세포배양판에 적용한 후 같은 수의 세포를 배양하였다. 1, 3, 그리고 7일 후 위상차현미경을 사용하여 세포의 부착과 성장을 관찰하고 cell viability test를 시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Student t-test및 one 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두가지 종류의 세포 모두 Bioaggregate와 MTA가 혼합된 배양판에서 잘 성장하였으며 Bioaggregate군에서는 inhibition zone이 관찰되지 않았다. Cell viability test에서 두 그룹간 통계적인 유의성 차이는 없었다. 결론: Bioaggreagete는 치수 및 치근단 세포에 대하여 MTA와 유사한 세포친화성을 보였다.

cDNA microarray에 의한 치주인대세포의 광물화 결절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분석 (Identification of Matrix Mineralization-Related Genes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Using cDNA Microarray)

  • 신재희;박진우;여신일;노우창;김문규;김정철;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sup2호
    • /
    • pp.447-463
    • /
    • 2007
  • 치주인대세포는 시험관적 실험에서 광물화 결절형성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광물화 결절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특이하게 발현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실험은 cDNA microarray를 이용한 동시 유전자분석을 시행하여 치주인대세포의 분화에 의한 광물화 결절형성시 나타나는 유전자의 특징적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경북대학교병원에 내원한 환자의 제일소구치를 발치하여 통상적 방법으로 치주인대세포를 분리, 배양하였고, 3세대의 치주인대세포를 사용하여 실험을 시행하였다. 치주인대세포를 100mm 배양접시에 넣고 배양하여 매 2일 마다 배지를 교환해 주고, 10% FBS만을 투여한 대조군으로, ascorbic acid $(50\;{\mu}g/ml)$, ${\beta}-glycerophosphate$ (10 mM) 및 100 nM dexamethasone을 투여한 군을 실험군으로 하였다. 배양된 치주인대세포에 ascorbic acid, ${\beta}-glycerophosphate$, 그리고 dexamethasone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21일째 광물화된 결정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대조군에서는 관찰할 수 없었다. 3063개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35개 유전자가 대조군에 비해 2배이상 발현이 증가하였고, 38개 유전자는 2배이상 발현이 감소하였다. 형태학적 검사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광물화 형성과정시 관여하는 JGF-2과 IGFBP2와 같은 유전자가 실험군에서 증가하였으며, 세포골격과 세포외기질 형성에 관여하는 proteogycan 1, fibulin-5, keratin 5, ${\beta}-actin$, ${\alpha}-smooth$ muscle actin, capping protein 등도 발현이 실험군에서 증가하였다. 한편 periostin and S100 calcium-binding protein A4는 대조군에서 오히려 높게 나타나므로 이는 배양된 치주인대세포가 그 자체의 표현형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그 외 apoptosis를 유발시키는데 관여하는 Dkk-1와 Nip3는 실험군에서 높게 발현되었고, apoptosis를 억제시키는데 관여하는 Btf와 TAX1BP1는 오히려 낮게 발현됨을 알 수 있으므로 이는 실험군에서 치주인대세포가 골아세포로의 분화되었음을 나타낸다.

The effect of UNCL inactivation on the expression of mechanical stress related genes in cultured human PDL fibroblasts

  • Choi, Yong-Seok;Jang, Hyun-Sun;Lee, Dong-Seol;Kim, Heung-Joong;Park, Jong-Tae;Bae, Hyun-Sook;Park, Joo-Ch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3권2호
    • /
    • pp.51-58
    • /
    • 2008
  • A mutation of UNCL, an inner nuclear membrane RNAbinding protein, has been found to eliminate mechanotransduction in Drosophila. UNCL is expressed in human periodontal tissue including in periodontal ligament (PDL) fibroblasts. However, it is unclear how a mechanical stimulus is translated into cellular responses in PDL fibroblas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UNCl on mechanical stress related genes in PDL fibroblasts in response to mechanical stress. The mRNA of TGF-$\beta$, COX-2, and MMP-2 was up-regulated after UNCL inactivation in PDL fibroblasts under the compression force. Under the tensile force, inactivation of UNCL decreased the expression of Biglycan, RANKL, MMP-2, and TIMP-2 mRNAs while i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IMP-1. p38-MAPK was expressed in PDL fibroblasts under compression forces whereas phospho-ERK1/2, p65-NFkB, and c-fos were expressed under tension forces. The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of the mechanical stress related genes, kinases, and transcription factors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tress. Furthermore, most of them were regulated by the inactivation of UNCL. This suggests that UNCL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mechanical stress related genes through the signaling pathway in PDL fibroblasts.

유성견 소구치 정출시 치아 및 치주 조직의 초기 조직학적 변화 및 재생에 관한 연구 (A HISTOLOGIC STUDY OF INITIAL CHANCE AND REPAIR OF TOOTH AND PERIODONTAL TISSUE IN EXTRUSION OF YOUNG ADULT DOGS)

  • 윤병선;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19-429
    • /
    • 1998
  • 본 실험은 유성견에서 인위적인 정출 시 조직학적, 임상학적인 반응과 시간경과에 따른 치아 및 치아 주위조직의 회복을 연구하기 위해 생후 평균 10 개월 웅성 잡종 유성견 하악 소구치를 대상으로 Energy chain을 이용한 정출 실험으로, 실험 1 군은 힘을 작용 시킨 후 일 주일만에 희생시키고 실험 2 군은 정출력을 가한 후 일 주일 후, 정출력이 제거되고 3 주간의 회복 기간 경과 후에 희생시켰다. HE 및 Masson's Trichrome 염색법을 이용하여 치아와 주위 조직의 반응을 치경부, 치근 중앙부, 치근단부, 치수부로 분류하여 광학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힘을 가한 후 일 주일 후, 모든 부위에서 치주인대의 주행방향이 치아를 향하여 사선 방향을 나타내 주었으며 치주인대의 간격이 전반적으로 증가되었다. 또 부분적인 치주 인대의 파열이 치근단부에서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MT 소견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치조능 부위에서 미성숙 골의 형성을 보여주었다. 주위 치조골에서는 편측으로 활발한 골조직의 형성이 관찰되었다. 치수에서는 치근단 부위에서 많은 혈관의 파열을 보여 주었고 공포의 형성과 충혈을 나타냈다. 2. 힘을 제거 된 후3주간의 보정을 한 군의 모든 치주인대의 주행 방향과 간격이 대조군과 같이 회복되었으며 밀도는 치밀하게 나타났다. MT소견에서 1군에서 형성된 치조능의 미성숙 골이 석회화가 이루어짐을 보여주었고 치수의 공포와 충혈의 감소를 보여주었다. 수복과정에서의 치수의 섬유화가 더욱 진행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3주간의 회복 기간 중에도 치주 인대 부위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조직 소견을 보여 상당한 회복능력을 보였지만 치수에서는 섬유화가 진행됨을 보여 더욱 긴 회복 기간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2 - 교정력에 의한 치아이동과 Biomechanical adaptation (Biomechanical adaptation of orthodontic tooth movement)

  • 이승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1권3호
    • /
    • pp.138-147
    • /
    • 2013
  • Orthodontic tooth movement is a unique process which tooth, solid material is moving into hard tissue, bone. Orthodontic force in general provides the strain to the PDL and alveolar bone, which in turn generates the interstitial fluid flow(in detail, fluid flow in PDL and canaliculi). As a results of matrix strai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bone cells are deformed, releasing variety of cytokines, chemokines, and growth factors. These molecules lead to the orthodontic tooth movement(OTM). In these inflammation and tissue remodeling sites, all of the cells could closely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flowing the information for tissue remodeling. To accelerate the rate of OTM in future, local injection of single growth factor(GF) or a combination of multiple GFs in the periodontal tissues might intervene to stimulate the rate of OTM. Corticotomy is effective and safe to accelerate OTM.

하치조 신경 절단이 치주인대공간에서 파골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Osteoclast in Periodontal Ligament Space by Denerveation of Inferior Alveolar Nerve in Young and Adult Rats)

  • 박경덕;성재현;배용철;경희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06-513
    • /
    • 2004
  • 본 연구는 하치조신경의 수술적 절단이 치주인대공간에서의 파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험동물을 젊은 쥐 군 과 성 쥐 군으로 구분하여 좌측 하악골에는 하치조신경절단을 시행하여 실험측으로, 우측하악골은 가수술측으로 사용하였다. Bundle 골 표면에 위치한 파골세포의 수 그리고 파골세포의 골 흡수 활성도를 조직 형태적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Substance P 면역반응 신경섬유의 분포 변화를 치주인대와 치 수조직에서 평가하였다. Substance P 면역반응 신경섬유는 양군 실험측에서 고갈됨으로서 하치조신경의 수술적 절단이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측에서 파골세포의 수가 젊은 쥐 군 과 성 쥐 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과 p<0.05). 그러나 파골세포의 골 흡수 활성도는 양군 모두에서 실험측과 가수술측 사이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성 쥐 군에서 파골세포의 수가 젊은 쥐 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p<0.01), 파골세포의 골 흡수 활성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p>0.05). 이들 결과를 통하여 감각신경인 하치조신경의 절단과 연령증가는 치주인대 공간에서 Bundle골 표면의 파골세포의 수를 감소시켰으며 골 흡수 활성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