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seed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8초

고콜레스테롤식에서 홍화박과 들깨박이 난소절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fatted Safflower and Perilla Seed Powders on Lipid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Female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 조성희;최상원;최영선;이원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2-118
    • /
    • 2001
  • To study effect of non-fat components present in plant seeds on lipid metabolism, defatted safflower and perilla seed powders were used in high cholesterol diets for ovariectomized (ovx) fe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27$\pm$15g. Experimental groups were six as follows; normal group without ovariectomy and cholesterol-free diet, sham and ovx-control groups with high cholesterol and cellulose for dietary fiber, ovx-est group with the same diet as ovx-control but with eight subcutaneous injections of 50$\mu\textrm{g}$ 17$\beta$-estradiol. ovx-safflower and ovx-perilla with 29% and 16% (w/w) of each defatted powder in high cholesterol diets at the expense of cellulose. Weight gains were lower in normal and sham groups and food efficiencies were lower in normal,ovx-est and ovx-safflower groups compared with ovx-control. Uterus weights were dramatically reduced by ovariectomy but restored completely by 17$\beta$-estradiol and partially (~5%) by defatted safflower. Plasma levels of total cholesterol were not different among ovx-control, sham, vx-est and ovx-safflower groups (90.8~95.1 mg/dL) but that was lower in ovx-perilla (80.4$\pm$6.2 mg/dL). Plasma triglyceride (TG) levels were lower in sham (76.6$\pm$7.0 mg/dL) and ovx-perilla (79.2$\pm$5.8 mg/dL) groups. Liver cholesterol levels were lower in sham, ovx-est, ovx-safflower and ovx-perilla groups (26.6~29.8 mg/g) than ovx-control (36.5$\pm$3.2 mg/g). But liver TG levels were reduced only sham and ovx-est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Fecal excretions of bile acid and cholesterol were highest in ovx-safflower group (30.8$\pm$5. and 32.1$\pm$5.7 mg/g) compared with other ovx groups (20.8~23.1 and 12.1~19.5 mg/g).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perilla and safflower seeds contain groups (20.8~23.1 and 12.1~19.5mg/g).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perilla and safflower seeds contain non-fat and non-fiber components having lipid lowering effects.

  • PDF

들깨의 볶음 조건에 따른 들기름의 성분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components and sensory attribute of the oil extracted from perilla seed roasted at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 김인환;정숙영;조재선;김영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2호
    • /
    • pp.118-122
    • /
    • 1996
  • 들깨의 볶음 조건에 따라 착유한 들기름의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때 들깨의 볶음 온도는 150, 170, 190, $210^{\circ}C$로 볶음 시간은 10, 20, 30분으로 하였다. 볶음 조건에 따라 볶은 들깨로부터 압착법으로 들기름을 착유시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율은 증가하였다. 볶음 조건에 따라 볶아 착유한 들기름중의 지방산 조성은 차이가 없었으며 linolenic acid가 약 60%로 가장 주된 지방산이었고 불포화 지방산이 전체 지방산의 88% 이상이었다. 들기름중의 인 함량은 들깨의 볶음 온도가 높아지고 볶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190^{\circ}C$에서 30분, $210^{\circ}C$에서 $20{\sim}30$분 볶아 착유한 경우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한편, 들기름중의 tocopherol 함량은 들깨의 볶음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v-tocopherol이 총tocopherol 함량의 약 92%로 가장 주된 tocopherol이었다. 들기름의 관능검사 결과 들깨의 볶음 조건에 의해 들기름의 향미, 맛, 색깔, 종합적 기호도등이 1% 이내의 유의차를 보였으며 $190^{\circ}C$에서 2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이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산(燐酸), 가리(加里), 석회(石灰) 시용(施用)이 들깨의 유지함량(油脂含量)과 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Different Application of P, K, and Ca on Lipid Content and Composition of Perilla)

  • 이영근;김진화;김용균;양민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41-249
    • /
    • 1987
  • 들깨의 수량(收量) 유지함량(油脂含量) 및 유지조성(油脂組成)에 대한 인산(燐酸), 석회(石灰), 가리(加里)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인산시용시(燐酸施用時) 들깨의 수량증대효과(收量增大效果)가 가리(加里)와 석회(石灰)의 경우보다 더 컸었다. 2. 유지함량(油脂含量)에 대한 인산(燐酸)과 석회(石灰)의 효과(效果)는 없었으나 가리(加里)의 효과(效果)는 인정(認定)되었다. 3. 인산시용(燐酸施用)은 triglyceride의 함량(含量)을 증대(增大)시켰으며 특(特)히 인산(燐酸)+가리(加里)+석회구(石灰區)에서 92.1%로서 최대함량(最大含量)이었다. 4. 들깨유지(油脂)의 지방산조성중(脂防酸組成中) linolenic acid의 함량비율(含量比率)이 최대(最大)이었으며 그외 palmitic, oleic, linoleic acid가 주요지방산(主要脂肪酸)이었다. 5. 가리(加里)를 시용(施用)치 않고 인산(燐酸)과 석회(石灰)만의 시용시(施用時) linolenic acid의 함량비율(含量比率)의 감소(減少)와 더불어 불포화도(不飽和度)가 낮았으나 가리(加里)를 혼용(混用)할 시에 회복(回復)되었다. 6. 4-desmethyl sterol 분획(分劃)이 들깨유지(油脂)의 불감화물의 대부분(大部分)을 구성(構成)하였으며, 주요(主要) sterol로서 campesterol, stigmasterol, sitosterol이 동정(同定)되었고 이들중(中) sitosterol의 함량(含量)이 전(全) 처리구(處理區)에서 최대(最大)이었다. 7. 시용비종(施用肥種)에 따른 sterol 조성(組成)의 변화(變化)는 특별(特別)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았다.

  • PDF

포도씨 지방질의 분획정량과 이화학적 특성 (Quantific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ape Seed Lipids)

  • 이선화;김종범;강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73-178
    • /
    • 2001
  • 본 연구는 포도씨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식용유지 자원 등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우수자원을 발굴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포도씨의 전체 영양 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10.1%, 조단백질 11.7%, 조지방질 29.7%, 조회분 2.53%, 및 총 당 4.38 ${\mu}g/mg$, 환원당 3.96 ${\mu}g/mg$ 등의 평균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조성은 리놀렌산이 가장 많아 평균 66.15%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을레인산>팔미트산>스테아르산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고 리놀레닉산은 아주 적은 량을 함유하고 있었다. 중성지방질의 평균 함량은 85.4%, 당지방질은 6.50%, 그리고 인지방질은 8.06%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포도씨 지방질은 중성지방질의 주성분에 인지방질과 당지방질이 소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포도씨 조지방질의 평균 검화가는 187.5을 나타내 들깨 기름 보다는 낮고 참깨 기름 보다는 높은 검화가를 나타내었다. 포도씨 기름의 항산화력이 참깨 또는 들깨씨 기름보다 우수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DPH) 환원 능력에 있어서 각각 12 및 50% 높은 항산화 능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물질과 페놀 함량에 있어서 참깨유 또는 들깨유보다도 많은 량을 함유하고 있다. 암흑 또는 햇빛 보관 조건에 관계없이 포도씨 기름이 참깨나 들깨 보다 낮은 산패도를 나타내고 있어 상당히 높은 산화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150^{\circ}C$ 열처리를 가한 다음 산패도를 측정하였을 때도 포도씨 기름은 이들보다도 낮은 산패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우수한 산화 안정성은 포도씨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과 관계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dot$종실 겸용 들깨의 채엽시기 및 채엽정도에 따른 Sink와 Source의 반응 II. 채엽방법이 생육특성,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Some Characters Related to Sink and Source by Defoliation Dates and Defoliation Degrees in Perilla II. Effects of Defoliation Methods on Agronomic Characters, Yield and Seed Quality of Perilla)

  • 방진기;이정일;한의동;이승택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89년도 하계 학술대회지
    • /
    • pp.62-63
    • /
    • 1989
  • PDF

들기름의 품질변화에 대한 위생적 고찰 (Hygienic Consideration on the Quality Change of Perilla Oil)

  • 박건용;조성자;정보경;김태랑;이찬수;조남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5-190
    • /
    • 2005
  • 서울시내에 유통중인 들기름의 규격검사와 착유하는 조건에 따른 들기름의 품질변화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유통중인 들기름을 검사한 결과를 보면 지난 3년동안 320건을 검사하여 그 중 74건이 산가와 요오드가에서 부적합하였는데, 이는 전체의 $23.1\%$에 해당하는 높은 부적률이었으며 매년 부적률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었다. 들기름의 불포화도와 요오드가는 0.63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산가는 0.24 정도의 상관성이 측정되어 요오드가의 부적합은 산화의 요인에 의한 것으로 예측된다. 들기름의 변질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는 착유과정의 볶음 조건에 따른 들기름의 변질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들깨원료가 들기름의 품질에 큰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신선한 들깨의 선택이 들기름 품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들기름은 전반적으로 변질의 우려가 높아 원료선택 및 유통관리 등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산(韓國産) 각종(各種)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에 관(關)한 연구(硏究) (Fatty Acid Compositions of Varying Seed Oils of Korean Origin)

  • 모수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8권2호
    • /
    • pp.19-26
    • /
    • 1975
  • The role of fat is important from nutritional standpoint.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fat are energy yielding as well as the carrier of fat soluble vitamins, with special activities of essential fatty acids. It is fortunate that Korean families prefer to use vegetable oils rather than those from animal origin. But the problems are focused on better qaulity of food oils with attempt to exploit the available resourc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evestigate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Korean origin both from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resources of gas-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total lipid contents of seeds of red pepper, Korean squash, sesame, perilla (var Japonica), and Korean pine nuts and walnuts were 24.3%, 56.6%, 56.4%, 46.9%, 69.8%, and 67.2%, respectively. 2. The saponification numbers of samples ranged from 190 to 200. It showed that the mean molecular weights of fatty acids composing the lipids were very much closed each other. 3. Iodine numbers of varing seed oils ranged from 96.5 of Korean squash seed oil to 124.6 of walnut oil. Oils obtained from squash seeds and sesame seeds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 while others ranged from 122 to 125. 4.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squash seed oil was composed mainly of unsaturated fatty acids, 74.9% of which was oleic acid, whereas red pepper seed oil, pine nut oil, and sesame oil contained linoleic acid as a major component showing 64.4%, 56%, 48.8%, and 47.8%, respectively. In perilla seed oil, the amounts of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were 14.1% and 58%, respectively which meant nearly three-fourths of the total fatty acidsbeing the unsaturated essential fatty acids. This study will encourage the use of these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vegetable oils which have highr ratios of polyunsaturated to saturated fatty acids.

  • PDF

잎들깨 멀칭재배 및 파종기에 따른 생육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Polyethlene Film Mulching and Sowing Date in Vegetable Perilla)

  • 김동관;정찬식;천상욱;국용인;김명석;방극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84-187
    • /
    • 2004
  • 잎들깨 반촉성 재배시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효과와 파종적기 구명 및 입모향상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재배가 무멀칭재배에 비해 지온이 높고, 출현이 빠른 반면 성숙이 늦고, 경장이 크며, 엽수량뿐만 아니라 종실수량도 많았다. 2. 생육과 저온피해 등을 고려해 볼 때, 잎들깨의 안정적인 파종기는 1월 상순이었다. 3. 입모향상에 도움이 되는 피복재료는 부직포와 투명 polyethylene이나 출현 후 안정성이나 관리의 편의성 등을 고려해 볼 때 부직포가 적당하였다.

메밀, 감자, 들깨를 이용한 항고혈압 기능성 식이가 정상혈압쥐 및 본태성고혈압쥐에서 혈압 및 혈장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hypertensive Diets Mainly Consisting of Buckwheat, Potato, and Perilla Seed on Blood Pressures and Plasma Lipids in Normotensive and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한찬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10호
    • /
    • pp.1087-1095
    • /
    • 1996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 new type of functional foods with hypotensive effect which is critical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tension and related circulatory diseases. The experimental diets(A, B, C) were prepared from plant based ingredients such as buckwheat, potato, perilla seed with different ratios formulated as an edible form appropriate for human consumption according to AIN-77 standard. Control group(D) was fed commercial rat chow. Twety-four 15-week-old SDR(Sprague Dawley rats) and twenty-four 20-week-old SHR(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weighing 200g respectively, were assigned to 4 treatments of 6 rats each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Blood pressure was measured at 7 day interval by tail-cuff sphygmomanometer using an IITC cuff pump and amplifier. The growth rates of both SHR and SDR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comparions with the control except those of diet B and C in SDR and SHR, respectively(p<0.05). When exprimental diets were fed, systolic blood pressure of SDR and SHR at day 28 had been lowered by 17-20 mmHg(ave. of 19.6mmHg for both strain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pressure at day 0. The levels of HDL-cholesterol were increased, while the levels of LDL-cholesterol consistently decreased in both strains when experimental diets were fed(p<.05).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Plasma triglyceride levels were higher in control diet(commercial rat chow) due to two times higher fat content of control diet itself(p<.05). Atherogenic indices were lower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when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in both strains (p,.05).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hypertensive diets mainly consisting of plant-based ingredients may possibly effective in relieving hypertension as well as circulatory disea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