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leaves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34초

온실재배와 노지재배한 금산 깻잎의 생리기능성 (Physiological Functionality in Geumsan Perilla Leaves from Greenhouse and Field Cultivation)

  • 현광욱;김재호;송기진;이종복;장정호;김영선;이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75-979
    • /
    • 2003
  • 깻잎 중의 각종 성인병 관련 생리기능성을 탐색하여 고부가가치의 건강식품을 개발하고자 먼저 깻잎의 주산지중의 한곳인 금산에서 1월, 5월 온실재배한 깻잎들과 8월 노지재배한 깻잎의 추출물 수율을 조사하였다. 8월 노지에서 재배한 깻잎의 에탄올 추출물 수율이 29%로 제일 높았고, 1월과 5월 온실재배 깻잎보다는 8월 노지재배 깻잎의 추출물 수율이 더 높았다. 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생리기능으로 혈전용해활성은 5월 온실재배 깻잎의 에탄올 추출물이 8.2U로 제일 높았고 고지혈증 예방에 관련된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은 8월 노지재배의 물 추출물에서 83%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고혈압활성을 나타내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활성은 1월 온실재배 깻잎의 물 추출물에서 64.5%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활성은 물 추출물 보다는 대체로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고, 특히 8월 노지재배 깻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69%를 보였다. Elastase 저해활성은 5월 온실재배 깻잎의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47.5%의 활성을 보였고 혈전용해활성과 아질산염 제거활성, SOD-유사활성과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은 모든 깻잎 추출물에서 없거나 매우 미약하였다.

소면적 재배 작물 들깻잎 중 살충제 Bifenthrin과 Chlorfenapyr의 잔류양상 (Residual Patterns of Insecticides Bifenthrin and Chlorfenapyr in Perilla Leaf as a Minor Crop)

  • 전상오;황정인;김태화;권찬혁;손영욱;김동술;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3-229
    • /
    • 2015
  • 소면적 재배 작물 중 연속수확작물인 높은 들깻잎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들깻잎 중 bifenthrin 및 chlorfenapyr의 잔류양상을 연구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회수율시험을 실시한 결과 bifenthrin 및 chlorfenapyr의 회수율은 81.9~104.8% 범위로 만족할만하였다. 들깻잎의 생육 기간 중 bifenthrin과 chlorfenapyr의 잔류량 변화는 first order kinetics model을 적용하여 해석하였으며 이 식으로부터 산출된 감소상수는 bifenthrin에서 $0.0724-0.0535day^{-1}$, chlorfenapyr에서 $0.0948-0.0821day^{-1}$로 나타났다. 두 농약의 들깻잎 중 반감기는 bifenthrin의 경우 9.6-12.9일이었으며, chlorfenapyr는 7.3-8.4일이었다. 산출된 두 농약의 감소상수를 이용하여 pre-harvest residue limit(PHRL)을 산출한 결과 수확 10일전 들깻잎 중 bifenthrin 및 chlorfenapyr의 잔류량이 각각 17.1 및 15.9 mg/kg일 경우 수확일에는 두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인 7.0 및 10.0 mg/kg 이하로 잔류하여 안전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Multi-Locus Variable Number of Tandem Repeat Analysis (MLVA)를 이용한 들깻잎 중 Staphylococcus aureus의 오염원분석 (Analysis of Contamination Sources of Staphylococcus aureus Related to Perilla Leaves Using Multi-Locus Variable Number of Tandem Repeat Analysis (MLVA))

  • 김세리;심원보;한누리;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8-284
    • /
    • 2014
  • 본 연구는 들깻잎과 들깻잎 생산 환경을 대상으로 S. aureus를 분리하고 MLVA를 이용해 분리된 S. aureus의 오염경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들깻잎에서 S. aureus의 검출빈도는 7.9% (9/114)였고 검출수준은 $0{\sim}2.92{\log}_{10}CFU/g$였으며 2곳의 농가에서 S. aureus가 $2.00{\log}_{10}CFU/g$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S. aureus가 분리된 5농가를 대상으로 들깻잎과 직접 접촉하는 시료에서 S. aureus를 분리하였으며 5 농가 중 3농가의 작업환경 (농가의 포장대, 포장비닐, 작업자 손, 복장 등)에서 S. aureus가 검출되었다. 들깻잎과 생산 환경에서 분리된 S. aureus를 대상으로 MLVA를 수행했을 때 포장대, 작업자의 손, 포장비닐 및 관개용수에서 분리된 균주와 들깻잎에서 분리된 S. aureus가 동일한 패턴을 보여 들깻잎의 오염은 이들 시료와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MLVA를 이용한 유전자 typing은 농산물이나 식품 중 S. aureus의 오염원을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구명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밀양지역 들깨품종별 잎의 아미노산 조성 및 향기성분 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the Amino Acids and Flavor Compounds Among Some Varieties of Perilla Leaves Cultivated in Miryang Area)

  • 최영환;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31-937
    • /
    • 2004
  • 우리나라 들깻잎의 주산지인 밀양지역에서 재배하고 있는 4종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자 아미노산과 휘발성 향 성분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단백질구성아미노산에서 주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arginine, 및 threonine 등 이었고, 그 외에 lysine, leucine, isoleucine 등도 다소 검출되었으나, tyrosine과 함황아미노산인 cysteine과 methionine의 함량이 가장 적 게 나타났으며, 유리 아미노산은 4종 모두에서 약34종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유리아미노산의 조성과 단백질구성아미노산의 조성에서 품종간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들깻잎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GC-MSD로 분석한 결과, 잎들깨1호는 52종, 엽실들깨는 48종, 그리고 밀양9호와 YCPL은 47종이 분리되어 검출되었다. 깻잎의 휘발성 화합물중에서 가장 많은 함량으로 검출된 perilla ketone은 엽실들깨 $551.42\;{\mu}g/g$, 잎들깨1호 $301.59\;{\mu}g/g$, YCPL $187.00\;{\mu}g/g$, 그리고 밀양9호는 $145.75\;{\mu}g/g$이었으며, 그 외 3-hexen-1-ol, trans-2-hexenal, $\beta-caryophyllene$ 그리고 $\alpha-farnesene$등이 검출되었으나 이 화합물들의 함량은 $20\;{\mu}g/g$을 초과하지 않았다.

해양부산물 아미노산액비 및 유용미생물(KEM) 시용이 들깻잎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afood Amino Acid Fertilizer and Korean Effective Microorganisms on the Leaf Quality of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 조전권;안승원;김영칠;황인수;김명선;이정관;노희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301-1305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EM and SAF appication on contents change of fatty acids and organic acid of perilla(Perilla Frutescens Britton). Contenst of squalene in perilla leaves on control and KEM/SAF treated were 3.39 mg and 4.22 mg, respectively. Therefore the squalene quantity of KEM/SAF treated leaves was 24.2% more than that of control. A total 6 fatty acids in perilla leav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Percentage of the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 in perilla leaves were 20 and 80%, respectively. Contents of phytosterols in perilla leaf such as campesterol and sitosterol were 2.0 and 20.0 mg, respectively. Therefore sitosterol content was 10 fold more than that of campesterol. The KEM/SAF application on perilla leaf was effective on the change of squalene or phytosterol contents. However effect of that was negligible on the change of fatty acid content.

들깨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작용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Leaves)

  • 이종임;진창배;류재하;조정숙
    • 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7-124
    • /
    • 2008
  •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Britt. var. japonica Hara (Labiatae) are often used in gourmet food in several Asian countries. Two kinds of perilla cultivars, Namcheon (NC) and Bora (BR), have been respectively developed in Korea by the pure line of 'deulkkae' from the local variety and by the cross of 'deulkkae' and 'chajogi'. The present study evaluated and compared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the fractions prepared from the leaves of the two cultivars using cell-free bioassay systems and primary cultured rat cortical cells. We found that the spirit, chloroform, hexane and butanol fractions from NC and BR leaves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initiated in rat brain homogenates by $Fe^{2+}$ and L-ascorbic acid. In contrast, only the spirit and butanol fractions from both cultivars exhibited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the fractions tested, the butanol fractions from NC and BR leaves exhibited the most potent antioxidant properties, and the butanol fraction from BR was more potent than the NC fraction. In consistence with these findings, the butanol fractions from both cultivars protected primary cultured cortical cells from the oxidative damage induced by $H_2O_2$ or xanthine and xanthine oxidase, with the BR butanol fraction being more active. The butanol fractions from NC and BR did not produce cytotoxicity in our cultures treated for 24 h at the concentrations of up to $100\;{\mu}g/ml$.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aves of the two cultivars of Perilla frutescens exert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and that the butanol fraction from BR leaves exhibits the most potent antioxidative neuroprotection among the fractions tested in this study.

클로렐라 및 수산부산물 발효 비료의 들깻잎 시비효과 (Perilla Leaf Fertilization Effect of Fertilizer by Chlorella and Seafood By-product Fermentation)

  • 안승원;이재면;조용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23-434
    • /
    • 2020
  • The effects of amino acid and/or urea liquid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phytochemicals of Perilla leav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resh weight of the perilla leaves was in the order of CF, CL, KLF, and control, and 39.7 g, 37.4 g, 36.5 g and 32.3 g were measured. The plant height increased by 71.6 cm in the CF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54.6 cm). The number of nodes was 14.3 node in CF treatment and 19% more than control(12 node). The vitamin C content tends to be increased by fertilizing the amino acid solution in the perilla leaf. The components of polyvalent unsaturation of n-6 origin were measured in CF treatment, KLF treatment, and control in 10.19 mg, 10.18 mg, and 9.38 mg per 100 g, respectively.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arginine, alanine and lysin were contained in perilla leaf amino acid. Glutaminic acid content was found to be 455.1 mg, 495.6 mg, and 478.8 mg in the control, KLF and CF treatment per 100 g, respectively. Effective nutrition management using amino acid fertilizer optimizes crop yield and profitability,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negative environmental risks of using fertilizer.

Arabidopsis non-specific lipid transfer proteins (AtnsLTP) 처리에 의한 무농약 기능성 잎들깨 생산기술 (The development of non-agricutural chemical leaf perilla using Arabidopsis non-specific lipid transfer proteins (AtnsLTP))

  • 허상선;김학윤;유선균;김경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76-581
    • /
    • 2003
  • AtnsLTP (Arabidopsis nonspecific lipid transfer proteins)를 효모로부터 분리정제 하였다. AtnsLTP를 들깨 재배시 처리함으로 병해충의 피해와 기능성 물질 향상에 관계되는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천들깨’ 잎에 각기 다른 농도의 AtnsLTP를 처리한바, anthocyain의 함량변화는 무처리에 비해 약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엽록소 함량은 16%이상 증가하였다. 따라서 AtnsLTP는 고기능성과 고품질 들깨잎 생산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어진다.

동결건조 들깻잎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Prepared with Freeze Dried-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Powder)

  • 윤미향;김경희;김나영;변명우;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81-585
    • /
    • 2011
  • 기능성 소재로서의 들깻잎 분말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들깻잎 분말 0, 3, 6 및 9% 첨가한 머핀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머핀의 무게는 들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굽기손실률 및 높이는 증가하였다. 넓이는 윗넓이, 밑넓이 모두 들깻잎 분말 첨가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머핀의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L, b값은 감소하였고, a값은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물성 측정결과 경도와 탄력성은 들깻잎 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응집성, 검성, 씹힘성은 들깻잎 분말 첨가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는 들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관능 측정 결과 동결건조 들깻잎 분말 3~6%(w/w)로 첨가할 시 개발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잎들깨 품종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평가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by Various Cultivars)

  • 김현영;이한결;서혜영;서우덕;이미자;송승엽;김정인;최준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53-463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polyphenolic content,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cultivars of Korean perilla leav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nine cultivars (Namcheon dlggae, Saedora, Nulbora, Donggel 1, Donggell 2, Soim, Sangyeop, Somirang, and Saebom) of perilla leaves, the total polyphenolic content (gallic acid equivalent mg/g, GAE) was the highest in "Nulbora," while it was lowest in Namcheon dlggae. Moreover, flavonoid content in the extracts of nine cultivars leaves was in the range of 132.93~268.50 mg catechin equivalent/g sample. The antioxidant effects of the perilla leaves were determined using two different in vitro bioassays measuring DPPH an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antioxidant activity was also higher in "Nulbora" compared with other cultivars. Xanthin-oxidase-inhibition activity ranged from 65.65% to 80.58%, with "Nulbora" exhibiting the highest activity, although the difference with other cultivars was not significant. "Nulbora" extracts reduce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and several cytokines, including IL-6 activation induced by LPS in macrophages in the range of 100-50 ㎍/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from perilla leaves can be used as bioactive and functional materials that could be important in industrial application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