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carp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6초

필름두께 및 적외선 흡수율 차이가 참외의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Conservation of Greenhouse Film on Growth and Quality in Oriental Melon)

  • 신용습;연일권;도한우;이지은;정종도;강찬구;최충돈;전희;최영하;정두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7-173
    • /
    • 2007
  • 참외 재배시설의 광 환경 개선을 위하여 필름두께, 자외선 차단율, 적외선 흡수율이 다른 PO계 필름 3종(J-1, J-2, J-3), PE 필름(K-1, K-2, K-3)을 비교하여 참외를 재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배지역과 품종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오복꿀참외의 경우, K-3의 당도는 $14.3^{\circ}Brix$이고 J-3, J-2에서는 이보다 각각 $1.3^{\circ}Brix,\;0.8^{\circ}Brix$ 정도 높은 경향이었다. 과피의 색도(a 값)는 K-3의 0.5에 비하여 J-3, J-1, J-2에서 각각 3.3, 2.3, 1.9 정도 더 높았다. 또한 J-1, J-2, J-3 처리구에서 발효과율 및 기형과율이 감소하였고 상품과 율은 증가하였다. 10a당 상품수량은 K-3의 1,622 kg에 비하여 J-1, J-3, J-2에서 각각 31.2%, 23.8%, 18.5%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J-1, J-2, J-3등의 polyolefin계 필름은 필름두께가 두껍고 적외선 흡수율이 높아 보온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과실의 당도가 증가하고 색도가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발효과 발생이 감소하고 상품과율이 증가하는 등 품질이 향상되었고 수량도 증가되었다.

시설재배 무화과에서 총채벌레의 발생과 피해 (Occurrence and Damage by Thrips on Greenhouse-Cultivated Fig)

  • 김동환;조명래;양창열;강택준;김형환;전성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85-490
    • /
    • 2014
  • 경기도 화성지역에서 시설재배 무화과를 대상으로 총채벌레의 발생현황과 피해특성을 조사하였다. 황색끈끈이트랩 및 피해과실에서 발생하는 총채벌레를 동정한 결과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Lindeman),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Trybom) 등 3종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이들 3종 중 파총채벌레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순으로 나타났다. 총채벌레에 의해 피해를 받은 과실은 비대생장과 착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표면이 거칠고 코르크화 되었다. 실체현미경을 이용하여 피해 받은 과실의 내부를 조사한 결과 피해부위에 회색곰팡이가 발생하였고, 총채벌레의 사체 및 탈피각이 관찰되었다. 무화과 주 수확기에 총채벌레에 의한 과실의 피해율은 7월이 18.2%로 가장 피해가 많이 나타났으며, 이후에는 8월(9.7%), 9월(2.9%), 10월(1.3%) 순으로 나타났다.

Screening of the total phenol content and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 in rice (Oryza saiva L.) genetic resources

  • Lee, Ji-Hee;An, Min-Jeong;Kim, Seung-Hyun;Chung, Ill-Mi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90-290
    • /
    • 2017
  • Rice (Oryza sativa L.) is one of the most consumed staple food crop which is energy source as carbohydrate and also is considered as the important antioxidant sources including various phenol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increasing demand of healthy life, the concern to antioxidant also is increasing because of its health-promoting effect. Phenolic compounds are one of the plant secondary metabolites class, which shows various benefits to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diseases. In this study, we have measured the total phenol content from total 647 rice samples using the Floin-Ciocalteau method, and then were selected 30 rice genetic resources classified with high, middle, and low group on the basis of total phenol content. The average of the total phenol content of each group was high-group ($6892.9{\pm}488.5{\mu}g\;GAE/g$) > middle-group ($1428.1{\pm}76.0{\mu}g\;GAE/g$) > low-group ($97.6{\pm}11.4{\mu}g\;GAE/g$). The selected rice samples were analyzed with LC-MS/MS to find the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individual phenolic in rice grain. High-group and middle-group contained large amounts of protocatechuic acid and (+)-catechin whereas low-group showed limited amount. Among high-group samples, rice samples with black pericarp color (IT 174089, IT 220079, and IT 259958) had high content of peonidin-3-O-glucoside. Further, these black rice samples were special since polydatin, rarely found stilbenoid in rice grain, was detected. Overall, both the sum of phenolic acid and the sum of flavonoid were high-group > middle-group > low-group. Also, each group exhibited different phenolic compositions; high-group consisted of flavonoid more than phenolic acid, middle-group and low-group was comprised of phenolic acid rather than flavonoid, and non-pigmented rice was composed by fully phenolic acid. The total phenol content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sum of phenolic compound (r = 0.64), the sum of flavonoid (r = 0.74)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 < 0.0001. In addition, protocatechuic acid and querceti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bove phenolic composition parameters; in order, r = 0.98, 0.65 for protocatechuic acid and r = 0.73, 0.78 for quercetin (p < 0.0001). In conclusion, the total phenol content assay showed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as a phenolic composition indicator in rice grain. Also, this result was suggested study pigment on other material.

  • PDF

상업용 유전자 변형작물 이벤트 선발을 위한 도입유전자 확인, 발현 및 세대간 안정성 평가 :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저항성 GM 고추 (Identification of Introduced Gene and Its Expression and Gene Stability Assessment for Event Sel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Plant toward Approval: Cucumber Mosaic Virus Resistant Hot Pepper)

  • 강승원;한밝음;이태호;김은지;이긍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192-200
    • /
    • 2012
  • 형질전환 작물 개발시, 위해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게 될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과학적 근거의 마련을 위한 실험 자료 생산계획의 확립과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유전자변형작물을 개발한 후 정부의 승인을 위한 과학적이고 신뢰할 만한 자료를 축적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과 많은 자본이 투입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CMV 저항성 유전자변형 고추에 대한 평가분석 연구를 통해 유전자변형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수행하는데 있어 도입유전자 확인을 위한 평가서 작성을 위해 요구되는 서던 분석을 위한 탐침 포화, 도입유전자의 발현 해석을 위한 RT-PCR, ELISA 실험에 관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던 분석을 위해 삽입 유전자 전체 서열의 확인이 가능한 10개의 부분적으로 겹치는 탐침을 제작하였다. 서던 분석 결과, 고추에 도입된 외래유전자가 단일사본으로 존재하여, 게놈전체에서 도입된 위치 이외에 상동성을 갖는 다른 조각 부위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도입유전자 전체의 안정성을 확실히 입증할 수 있었다. 그와 더불어,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및 효소면역법 실험을 통하여, CMV 저항성 고추의 잎, 과실 등과 같은 주요 기관에서의 삽입 유전자에 대한 안정적인 발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고당도 조생종 참다래 신품종 '한라골드' (A New Kiwifruit Variety, 'Halla Gold' with High Soluble Solids Content and Early Harvesting)

  • 김성철;송은영;김천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3호
    • /
    • pp.334-337
    • /
    • 2012
  • '한라골드'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에서 육성한 10월에 수확하는 황색과육 신품종이다. Actinidia chinensis cv. Golden Yellow을 모본으로 하고 A. chinensis cv. Songongu를 부본으로 하여 1997년에 교배하였다. 1999년에서 2000년까지 실생육성과 계통선발을 실시하고 2001년에서 2003년까지 특성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후 농가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제주지역의 참다래 농장에 접목을 실시하여 현장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세는 '제시골드'보다 약간 강하지만 'Hort16A'보다는 조금 약하다. 잎의 상부는 녹색을 나타낸다. 과실의 형태는 타원형이고 과피는 녹황색을 나타내며 털이 없다. 평균과중은 106.3g이고 과심은 부드럽다. 과육색은 황색으로 과즙이 많고 부드럽다. 당도는 $14.7^{\circ}Brix$로 고당도이며 산도는 1.4%로 높은 편이다. 수확기는 10월 중하순으로 '제시골드' 품종보다 약 10일, 'Hort16A'보다 약 20일 정도 빠르다. 저장은 $2^{\circ}C$에서 90일 정도 가능하다. 이 품종은 저온과 병해를 피하기 위하여 제주지역의 해발 100m 이하의 저지대에서 비가림으로 재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rDNA-ITS DNA 바코드 부위 분석을 통한 산초(山椒) 기원종 감별용 유전자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for the authentication of Zanthoxyli Pericarpium by the analysis of rDNA-ITS DNA barcode regions)

  • 김욱진;지윤의;이영미;강영민;최고야;문병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47
    • /
    • 2015
  • Objectives : Due to the morphological similarity of the pericarp and description of multi-species in National Pharmacopoeia of Korea and China, the Zanthoxylum Pericarpium is difficult to authenticate adulterant in species levels. Therefore, we introduced the sequence analysis of DNA barcode and identific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 to establish a reliable tool for the distinction of Zanthoxylum Pericarpium from its adulterants. Methods : To analyze DNA barcode region,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wenty-four specimens of authentic Zanthoxylum species and inauthentic adulterant and the individu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rDNA-ITS and ITS2) of nuclear ribosomal RNA gene were amplified using ITS1, ITS2-S2F, and ITS4 primer. For identification of species-specific sequences, a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entire DNA barcode sequences. Results : In comparison of four Zanthoxylum ITS2 sequences, we identified 16, 4, 6, and 4 distinct species-specific nucleotides enough to distinguish Z. schinifolium, Z. bungeanum, Z. piperitum, and Z. simulans, respectively. The sequence differences were available genetic marker to discriminate four species. Futhermore, phylogenetic relationship revealed a clear classification between different Zanthoxylum species showing 4 different cluster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omparative analysis of ITS2 DNA barcode was an useful genetic marker to authenticate Zanthoxylum Pericarpium in species levels. Conclusions : The marker nucleotides, enough to distinguish Z. schinifolium, Z. piperitum, Z. bungeanum, and Z. simulans, were obtained at 30 SNP marker nucleotides from ITS2 sequences. These differences could be used to authenticate official Zanthoxylum Pericarpium from its adulterants as well as discriminating each four species.

정지방법에 따른 '신사기가께2호'와 '시시도우' 고추의 품질과 수량 (Effect of Shoot Training Method on Quality and Yield of 'Sinsakigake-2' and 'Shishito' Peppers)

  • 안철근;김영봉;정병룡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4호
    • /
    • pp.503-507
    • /
    • 2000
  • 정지방법이 '신사기가께2호'와 '시시도우'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정지방법은 정지유인 본수를 2 또는 4본 및 방임 등 3처리를 두었다. 4본 정지는 4개의 주지를 유인하여 측지를 3절에서 적심하였고 2본 정지는 2개의 주지를 유인하였으며 방임은 측지의 정지없이 방임으로 재배하였다. 생육은 '신사기가께2호'와 '시시도우' 모두 2본 정지유인에서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과장, 과경, 과육두께는 정지방법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상품률은 2본 정지유인에서 높았고 주당 상품과수는 4본 정지유인시 가장 많았다. 상품수량은 4본 정지유인시 상품률이 높고 주당 상품과수가 많아 방임에 비해 '신사기가께2호'에서는 15%, 그리고 '시시도우'에서는 5%의 증수효과가 있었다. 두가지 품종의 고추에 대한 연구결과, 4본 정지유인이 다른 처리에 비해 수량과 품질이 높았으며 품종간에는 '시시도우'보다는 '신사기가께2호'에서 더 현저한 효과를 보였다.

  • PDF

방사선과 훈증 처리된 건고추의 저장 중 부위별 색도 및 관능적 특성 (Effects of Irradiation and Fumigation on Color and Sensory Properties in the Parts of Dried Red Pepper during Storage)

  • 김병근;권영주;노정은;김정숙;김동호;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31-436
    • /
    • 2004
  • 건고추의 위생화 및 검역처리와 관련하여 감마선 조사(5, 10 kGy)와 훈증처리(MeBr, $PH_3$)된 건고추의 지장 중 기계적 색도(Hunter L, a, b, ${\Delta}E$) 및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건고추의 가공형태에 따른 비교에서 통고추는 실온저장 중 높은 명도(L) 값을, 분말 고추는 높은 적색도(a) 값을 유지하였다. 건고추 부위별 시료의 색도에 대한 감마선과 훈증 처리의 영향에서 처리 직후에는 전반적인 색차(${\Delta}E$) 값이 크지 않았으나, 저장 8개월 후 통고추는 $PH_3$ 훈증군이, 분말 고추는 5 kGy 조사군이 각각 높은 적색도를 보였다(p<0.05). 감마선 조사 건고추 과피의 적색도는 저장 8개월에 크게 감소하였으며, 훈증 처리된 시료에서도 유사한 변화를 보였다. 건고추 씨의 황색도(b)는 10 kGy 조사군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p<0.05), 저장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처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통고추 및 분말고추의 관능적 품질은 상업적 조건의 감마선 및 훈증 처리에 의해 거의 변화되지 않았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대조군에 비해 높은 관능평점을 보여주었다. 이 같은 결과는 감마선 및 훈증 처리 시 통고추 형태보다는 분말고추에서 보다 양호하게 나타났다.

Lycopene Content and Fruit Morphology of Red, Pink, Orange, and Yellow Fleshed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Germplasm Collections

  • Noh, Jae-Jong;Hur, On-Sook;Ro, Na-Young;Lee, Jae-Eun;Hwang, Ae-Jin;Kim, Bit-Sam;Rhee, Ju-hee;Yi, Jung Yoon;Kim, Ji Hyun;Lee, Ho-Sun;Sung, Jung-Sook;Kim, Myung-Kon;Assefa, Awraris Derbi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24-637
    • /
    • 2020
  • High-quality and high-phytonutrient watermelon fruits have strong market opportunities besides their health related benefits. Hence, investigating quality and nutritional related traits of watermelon genetic resources could provide important baseline data in breeding for increased lycopene content thereby increasing the marketability of watermelon. To this end, we have examined some fruit morphological traits and lycopene content of 105 genetic resources. Seeds, originally obtained from 22+ countries,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Jeonju, South Korea, grown in an experimental field and harvested at a fully mature stage. The size of pistil scar (SPS), the width of stripes (WS), weight of fruit (WF), length of fruit (LF), width of fruit (WIF), the thickness of pericarp (TP), soluble solids content (SSC), fruit shape in longitudinal section, ground color of skin, the intensity of the green color of skin, fruit shape at the apical part, grooving distribution, conspicuousness of stripes, and main color of the flesh were recorded on the field and inside laboratory and the lycopene was measured using spectrophotometric and HPLC methods. Watermelon fruits have shown a diverse morphological characters. Red and pink fleshed fruits dominated in the entire collections. Fruits with higher thickness of rind were found to exhibit less soluble solid content (SSC). Korean origin fruits were characterized by intermediate SSC whil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Russia (RUS), Tajikistan (TJK), Turkmenistan (TKM), Taiwan (TWN), and Uruguay (URY) originated fruits had the highest SSC. The lycopene content varied between 41.37 and 182.82 ㎍/g, 2.81 and 163.72 ㎍/g, and 3.54 and 255.47 ㎍/g using HPLC, UV-Vis spectrophotometer, and microplate reader spectrophotometer, respectively. Red- and pink-fleshed fruits had the highest levels of lycopene content compared to the yellow- and orange-fleshed. Lycopene cont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SC, however, no correlations were detected between lycopene and other quantitative fruit morphological characters. Our study demonstrated high diversity exists in fruit morphological traits and lycopene content of the germplasm collections which provide beneficial baseline data for a future breeding program and utilization of watermelon germplasm collections in gene banks for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the current levels of production, marketability, and health-related benefit of watermelon fruits.

밤 재배품종의 수확 후 과실품질 및 저온저장 중 밤 과실의 당도 및 경도 변화 (Postharvest Nut Quality, and Changes of Soluble Solids Content and Kernel Hardness During Cold Storage in Korean Prevailing Chestnut Cultivars)

  • 김만조;이욱;김선창;황명수;권용희;이문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672-679
    • /
    • 2006
  • 밤의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밤 과실의 등급화 및 규격화에 필요한 정확한 품질평가 기준을 확립하고자 대보 등 13개 주요 재배품종을 대상으로 수확직후의 과실품질 및 저온저장 기간에 따른 밤 과실의 당도와 과육정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수확 직후의 밤 과실을 대상으로 밤의 품질을 크게 좌우하는 입중, 당도, 과육경도, 열과율, 다배율을 조사한 결과, 각 형질에 있어서 품종간에 큰 차이가 있었으며 동일한 품종에서도 해마다 상당한 변이가 관찰되어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환경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circ}C$에서 16주간 저장하면서 4주 간격으로 당도변화를 조사한 결과 저장기간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출운 품종의 경우 당도가 저장 16주째에 수확직후보다 8%나 증가되었다. 조생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품종에 있어 저온저장 12주까지는 당도가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였다. 저온저장 중 과육정도는 석추품종을 제외하고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얻어진 주요 재배품종에 대한 과실품질 자료는 밤 재배지는 물론 육종가 등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