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s of classroom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8초

Korean Students' Perceptions of Free-talking and International Professors' Role Recognition

  • Kim, Nahk-Bohk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3호
    • /
    • pp.119-139
    • /
    • 2011
  • Free-talking in Korea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as a way of improving students' speaking ability outside of the class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erceptions of free-talking, to understand what type of roles were played by or allotted between Korean students and international professors (IPs) and to look for effective speaking strategies for utilizing free-talking.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8 university students and 23 IPs. The data collected through a survey type of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this researcher and the main findings indicate that students and IPs have somewhat different viewpoints about their concepts of free-talking. Students expressed varying viewpoints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and class (year). In terms of the benefits, usefulness, and satisfaction of free-talking, students and IPs seem to be in more agreement with each other although the two groups have conflicting perceptions in the particular operation of free-talking, especially in terms of preparation and feedback. Students stated that they feel anxious, nervous, and that they struggle with peer pressure while free-talking. However, they feel that through free-talking they build up confidence and increase their speaking ability. Regarding roles, most professors play a helpful role as a guide or facilitator while students want professors to provide more suitable materials and to tutor them by means of appropriate feedback and strategies as well-prepared teachers like a prompter, participant or tutor in the timely manner. Finally, this paper proffers a few practical suggestions for activating free-talking and a discussion of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 PDF

탐구 질문하기 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문제 인식과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 (Changes in Problem Recognition and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of Elementary Students through Inquiry Questioning Activity)

  • 신명경;김효숙;이희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2호
    • /
    • pp.124-133
    • /
    • 2010
  • The study presents preliminary research on how science activities focusing on problem recognition worked and affec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learning environment in a sixth science classroom. The science activities were based on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which was suggested by Keys, Hand, Prain & Collins (1999), where problem recognition was an important part of scientific inquiry. For developing the working sheets for the modified SWH in this study, analyses of target units of 6th grade science curriculum in the aspects of problem recognition were conducted. After consecutive 6 classes with the developed working sheets for sixth graders, the student working sheets for each less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veloped units' affect on student learn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learning environment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applied classes. Students working sheets and questionnaires on their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 indicated that students perceived that the science activities were more student-centered classes where students had active discussion and dialogue with one another giving them more chances to actively take part in the class as well as they used more properly recognized their inquiry problem.

  • PDF

예비수학교사들의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과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Perception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racticum and difficulties of mathematics instruction)

  • 심상길;이강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4호
    • /
    • pp.517-52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ir difficulties of mathematics instruction. Pre-service teachers have positive perceptions about teaching students and teaching profession through teaching practicum. In addition, they have perceived that teaching practicum can enhance teaching methods for their students. Especially, they suggested that cooperating teachers' instruction and mathematics teachers and their colleagues' classroom observation are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their teaching methods. In other hands, they have difficulties in application of questions encouraging mathematical thinking, attention concentration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and planning and performing for mathematics instruction class according to levels of students' study abilities. Based upon this study's findings,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should make efforts to alleviate difficulties in mathematics instruction through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such as regular reflection activities for their classes, programs development associated with schools, pre-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for guidance teachers.

교사들의 스마트 교육 수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탐구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Beliefs about the Acceptance of Smart Education and Preschoolers' Digital Literacy)

  • 이은정;이재신
    • 정보화정책
    • /
    • 제23권3호
    • /
    • pp.64-83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과 신념을 살펴봄으로써 스마트 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스마트 교육 수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대하여 긍정적이기보다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마트 교육의 제한적인 활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교사들이 가진 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스마트 교육의 수용을 저해하는 장애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의 인식 개선이 스마트 교육 활성화의 중요한 전제 조건임을 보여준다.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및 학교정책 개선방안 연구 (Research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martphones for educational use and suggestions for school policy)

  • 임걸;이동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47-57
    • /
    • 2012
  • 본 연구는 향후 스마트 환경 하에서 본격적으로 활동할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기에 대한 교육적 활용 가능성 인식 정도를 확인하고, 휴대기기 관련 제도 정비의 필요성 등에 대한 의견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학생들의 휴대폰 소지와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고, 둘째,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및 스마트폰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셋째,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정책 관련 고려사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 3개 대학의 교직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예비교사 146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 휴대폰 교내 반입 자체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태도이나 수업시간에 휴대폰을 소지하거나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대상 중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스마트폰 기능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은 스마트폰을 스마트한 교육용 도구, 효율적인 교수학습 도구, 그리고 교수학습을 위한 보조적 매체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 학습내용, 학습활동의 형태, 그리고 학교의 기술적 지원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 정책 변화가 필요하고, 휴대폰 및 스마트폰 학생 사용 정책에 대한 결정권은 교사에게 있으며, 스마트폰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학생자신의 인식변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바라보는 한국의 수학교실수업: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What Do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See from Korean Mathematics Classroom?: International Classroom Lexicon Project)

  • 조형미;김희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07-126
    • /
    • 2021
  • 본 연구는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미 조사된 한국의 교수학적 어휘를 바탕으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어휘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 교실수업 어휘 프로젝트는 호주를 중심으로 독일, 미국, 일본, 중국, 체코, 칠레, 프랑스, 핀란드, 한국의 총 10개국이 참여하는 국제공동연구이다. 각 국가에서는 자국의 수학교실에서 나타나는 교수학적 용어를 확인하고 정리하며 이를 기반으로 수학 교실 수업과 관련한 연구를 확장하거나 10개국 내에서의 국제 비교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교수학적 용어로 정리된 103개의 용어에 대하여 현직교사 136명의 응답과 예비교사 127명의 응답을 비교하여 해당 용어에 대한 친숙도와 수업에서 발생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우리나라 현직교사들과 예비교사들은 공통적으로 '교수·학습 활동'과 '평가' 범주에 있는 용어에 대한 친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은 현직교사의 응답과 비교하였을 때, 국가 주도로 제안된 용어의 친숙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업에서 발생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 조사 분석 결과,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교수학적 노력이 학습자의 관점에서는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어휘와 그에 대한 차이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수학교실 관행에 대해 성찰하고 그와 관련하여 논의 및 제언하였다.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일반화학실험 강좌의 효과 및 가능성 탐색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Possibility of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Lecture with Flipped Classroom)

  • 윤지현;손에녹;강성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24-136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거꾸로 교실을 교사 주도성이 강한 국내 대학의 일반화학실험 강좌에 적용하고, 이를 통해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대학 실험 강좌에 대한 효과와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의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30명의 학생들을 15명씩 거꾸로 교실 수업 집단과 전통적 수업 집단의 두 그룹으로 각각 무선배치 하였다. 그런 다음, 동영상 자료와 함께 대학에서 적용 가능한 일반화학실험 수업 안을 개발 및 적용하였고, 모든 수업을 마친 후에는 일반화학실험 강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화학실험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분석 결과, 수업 활동의 유용성, 성공적 학습을 위한 각 활동 요소 별 중요도, 학습 수준, 추후 수강 의향 등의 측면에서 거꾸로 교실 수업 집단의 학생들이 전통적 수업 집단의 학생들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 수행이나 보고서 작성 등과 같은 일반화학 실험 활동과 실험 내용의 이해 측면에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해 본 결과, 거꾸로 교실 수업 집단의 평균 점수가 전통적인 수업집단의 평균 점수 보다 높았고, 이와 같은 결과의 주된 원인은 담당 강사가 사전 학습 활동으로 제공한 동영상 자료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 중 상호작용과 자기 주도적 학습 측면에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거꾸로 교실 수업 집단의 평균 점수가 전통적 수업 집단의 평균 점수 보다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과 자기 주도적 학습의 수월성은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영상 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매우 긍정적이었고, 이 때 학생들이 가장 선호한 동영상은 담당 강사가 직접 실험 이론과 방법을 설명해 주는 동영상이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nalysis of Preferences and Reality for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room

  • Seo, Kyoung-Hee;Lim, Soo-Min;Park, Min-Jung;Sonn, Jong Kyung;Kim, Young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391-1404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and reality with regard to their intera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 teachers and 1,389 students.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teachers included the quality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eaching activities, and the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dealt with the quality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lasses. The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divided into preferences and reality for the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interac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compared to their preferences with regard to such. Second, the female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preferences and reality compared to the male teachers in the case of the teacher variables, and the middle 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preferences and reality compared to the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 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perception level compared to the female students, and both the preferences and reality level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level of interaction was lower in big cities than in small citie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and reality with regard to their interaction.

협동학습 전략의 교수 효과: 중학교 물상 수업에 LT 모델의 적용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 Applying the LT Model to Middle School Physical Science Course)

  • 노태희;임희준;차정호;노석구;권은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9-148
    • /
    • 199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the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upon students' achievement and their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in a middle school physical science course. Prior to instruction, the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was administered, and its score was used as a blocking variable. Mid-term examination score was used as a covariate. For the treatment group with heterogeneous grouping, cooperative learning instruction (the Learning Together model) was used, which emphasized group reward, individual accountability, and role division. For the control group, traditional instruction was used. After instruction, an achievement test consisting of three subtest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and the perception questionnaire of classroom and laboratory environments, were administered.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instruction and the level of logical reasoning abilit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ree subtest scores of the achievement test. For the concrete operational reasoners, the treatment group performed better in the subtests of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than the control group. For students at the formal and transition levels, however, the treatment group scored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 interactions were also found in the perceptions of classroom environment and laboratory environment. For the concrete operational reasoners, the treatment group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 students at the formal and transition levels, the control group had positive perception than the treatment group.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예비 화학교사 교육에서 클리커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e of Clickers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 Education)

  • 차정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99-50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경북 지역의 사범대학에 개설된 화학교육론 강좌에 클리커로 알려진 교실 응답 시스템을 적용한 뒤 이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강의 첫 시간에 클리커의 교육적 활용 방법과 사용법에 대해 소개한 뒤, 수업 중 평균 4-5개의 질문을 제시하였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예비교사들에게 클리커로 입력하게 한 뒤, 응답 분포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제시된 질문은 학습 내용을 회상하는 질문, 관련 내용에 대한 이해정도를 점검하는 질문, 어떤 사안에 대한 견해를 확인하는 질문, 이해가 어려운 내용에 대한 질문이 다양하게 포함되었다. 학기 말에 클리커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리커트 형식과 에세이 형식으로 조사한 결과, 예비 화학교사들은 클리커 활용의 인지적 효과, 정의적 효과, 그리고 매체 특성 측면 모두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8가지 클리커 질문 유형 중 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유형은 개념 이해 질문과 학습 점검 질문이었다. 클리커를 활용한 구체적인 사례와 연구 결과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도 포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