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rception of old age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4초

베이비부머의 생애재설계교육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Baby Boomer's Life Redesign Educational Program)

  • 강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493-499
    • /
    • 2014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생애설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충남 A지역에서 주2회 각 2시간씩 총 36시간의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 그 결과 첫째, 실험집단 베이비부머의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을 위해 사전-사후검사간의 Wilcoxon의 조합기호 순위검증법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베이비부머는 노후준비의식에서 자원봉사준비 의식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통제 집단은 사전-사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자료, 교육방법, 강사,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5점 만점에 3.5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경남지역 간호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A Study on Nurses' Perception for Nutrition Education Working in Kyungnam Area)

  • 최윤영;윤현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9권4호
    • /
    • pp.278-287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nurses’ perception for nutrition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7 nurses and 94 nursing assistants working at hospitals in the Kyung-nam area. The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November, 200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Sixty-seven point seven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nurse, 32.3% were nursing assistant. Average age of subjects was 26.9 years old, average nursing experience was 5.7 years, and 70.7% of the subjects graduated from a junior college. The average nutrition knowledge score was 14.3$\pm$2.5 out of possible 20 points. Seventy-four point two percent of the subject responded that nutrition education is very necessary for patient, and positive responses in the nurse were higher than that nursing assistant(p<0.001). Only 8.6% of the subjects had nutrition education training. The perceptions about a suitable person for nutrition counseling and nutrition education indicated dietitian(69.3%) and nurse(21.3%). Fifty-two point eight percent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would not participate in nutrition education themselves and the main reason for this was that they believed lack of expert knowledge(43.4%), and that such courses should be taught by specialist(40.5%). Forty-eight point eight percent of subjects had nutrition counseling experience for patient, and nurses, married nurses and those over 2 years of nursing careers had significantly higher nutrition counseling experience for patient than nursing assistant, unmarried nurses and those under 2 years of nursing careers(p<0.05-p<0.001)

  • PDF

신경계 병동에서 억제대를 적용 중인 환자가족의 억제대 적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 (Familie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Applied Physical Restraints in General Neurological Wards)

  • 하소연;하이경;김명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293-3302
    • /
    • 2015
  • 본 연구는 신경계병동에서 억제대를 적용 중인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억제대 적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할 목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4년 6월 1일부터 2014년 9월 30일까지 부산시 소재 일개상급종합병원의 신경계병동에서 억제대를 적용 중인 환자의 가족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했고 환자자료는 의무기록으로 조사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s로 분석했다. 환자가족은 여자가 68.6%, 평균 47.9세, 환자의 배우자나 자녀가 70% 이상이었고 일일 평균 15.4시간 동안 환자를 돌보고 있었다. 억제대 적용에 대한 인식의 평균점수는 4.2/5점이었고, 치료장치 유지와 관련된 인식점수가 높았고(평균 4.6-4.9/5점) 억제대 적용부위에 따라 양손이 한손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억제대 적용태도에 있어서는 환자와 가족에게 적용과 제거에 대한 결정권이 있다와 관련된 문항에 동의하는 가족이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환자가족에게 억제대 관련 정보제공과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지원이 요구된다.

노인의 은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기·중기노인 비교 (Factors Affecting Retirement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omparing young-old and middle-old elders)

  • 임정숙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861-88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은퇴만족의 영향요인을 건강, 사회활동, 사회보장기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이 전기노인과 중기노인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6차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 중에서 65세 이상 85세 미만 은퇴 노인 중에서 독거 및 부부 노인 860명을 추출하여 전기노인( 65세 이상 75세 미만) 416명과 중기노인(75세 이상 84세 미만) 444명으로 구분하여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기노인과 중기노인의 은퇴만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은퇴만족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전기노인은 건강상태와 정신건강이 양호하다고 인식할수록 은퇴에 만족할 확률이 높은 반면,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은퇴에 만족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노인은 건강상태와 정신건강이 양호하다고 인식할수록 은퇴에 만족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노년기의 건강은 은퇴만족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은퇴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필요성과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1인가구의 고용형태 및 연령별 혼자 식사(혼밥)관련 식행동 비교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 of Eating Alone in Single Households by Status of Workers and Age)

  • 조필규;오유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08-421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dietary behavior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hen eating alone according to the employment pattern and age. Methods: A total of 566 people aged 20~59 years old were collected from the status of workers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pattern (regular, non-regular workers and business owner). The subjects were collected by purposive quota sampling on a Gallup panel from June to November in 2017. The dietary behavior and perception of eating alone of the subjects were surveyed via online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sults: The frequency of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gular group than the non-regular group and business group (p<0.01). The place of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gular and non-regular group in the convenience store, and business group in the office (p<0.001). Ramen, the menu when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regular group than the other groups (p<0.01). The preference for eating alone was lower in the older age group (p<0.05). The young aged group (aged 20~30) ate more fast food and felt more convenience than the older aged group aged 40~50 years (p<0.05). Conclusions: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a non-regular job have poorer dietary behavior in eating alone than those who had regular employment. In a situation of an increasing number of non-regular workers aged in their 20s and 30s, there is a high likelihood of social problems, such as health and poverty.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 healthy food selection environment to improve the dietary life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non-regular jobs for the diverse typ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원인지각에 대한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 (An Inquiry to the Causal Perceptions & Emotions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 김분한;정연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26-241
    • /
    • 199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find out the causal perception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nd to understand the typology. The Q-population consisted of 236 statements of causal perception were collected. Thirty eight Q-samples of causal perception were selected. The P-sample for this study were made up of 28 first visiting female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from a rheumatoid arthritis specialty hospital. Each respondent responded Q-set of causal perception according to 9-point scale. The result of Q-sorting were coded and analyzed using QUANL PC program. 1) Typological Observation on Causal Perception (1) Physical Fatigue Type : Type 1 perceived that the illness occurred due to excessive work requiring physical labor or strain that had occurred from not resting after excessive physical labor, therefore, thinking the origin of the illness was from physical strain. (2) Physical origin Type : Type 2 perceived that the major cause for the illness is not only excessive physical labour but also fecundity and old age. (3) Causality to Environment Type : Type 3 perceived that rheumatoid arthritis occurred from injury to the joints or bad and humid weather. (4) Conscience of Guilty Type : Type 4 consisted of people with guilty conscience for lack of religious commitment. They perceived that the illness was a punishment from God for not praying or because of bad luck. (5) Rationally Perceiving Type : People who belong in type 5 perceived the cause of illness in light of scientific facts such as genetics, unbalanced diet or lack of exercise. (6) Psychological Stress Type : People who belong in type 6 believed that excessive stress was the cause of the illness. 2) Emotions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positive emotions included determination, courage, coping, acceptance, hope, and adoption ; and their negative emotions were prostration, worry, stupor, conflicts, grievance, giving-up, resignation, depression, loss, solitariness, fear, anxiety, avoidance, anger and loneliness.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experience different level of emotions from their suffering experience from the severe pains.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lso experience negative emotions when they could not perform self-care and lose their self-esteem from painful suffering ; however, they regain positive emotions when they recover from pain with the use of drugs, physical therapy or exercise. Their emotional states are closely connected to level of and presence of pain.

  • PDF

산욕부 안위에 영향을 미치는 병원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Hospital Environmental Causes Affected the Mother′s Comfort After Her Child Birth)

  • 변수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5
    • /
    • 197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the causes influenced upon the comfort and recovery of the woman delivered of a child in the hospital at the same time to understand environmental status of hospitals in order to promote mother's health recovery, and to improve hospital environment by emphasizing the meaning of environment and health before the medical staff and hospital administrative authority. In the method of servery of the research, 165 post paestum patients have been randomly selected who were accommodated and delivered their babies at OB(obstetric ) & GY (Gynecologic) unit the 7 general hospitals for the period of 6 December 1976 through 17 December 1976. As for the survey, it has been used of Questionnaire where we have 65 items in the respect of personal environment in the hospital such as trusting nurse, ability, reliability, kindness and etiquette of nurse and tile character of nurse the relationship with patients the other respect of physical environment included 9f temperature, moisture. air-ventilation lightening noise, cleanness. facilities, and the third realm being of mother's hearth ground to have the following conclusion 1. The feature of the collected personnel they are from OB or GY sects of from OB unit of the other 5 hospitals except the two general hospitals of the college or school Otherwise the rate of the patients to nurses would be 9 : 1. As for the nurses'ground it would be appeared of 20-25 years of age as the 76%. either 3 year course or 4 year course in the education would be each 50% and less than 2 year experience case would record as of 60 %. In the respect of hospital physical environmental status, there we have two hospitals without any thermometers, on the other han4 nowhere there's hygrometer, otherwise, the lightening is normal or over than normal As for the structure of noise protection the corridors're, generally speaking worse than rooms, nerver hueless, there's no ventilating system in the hospitals. The rooms'repainted in white and yellow, light green white, or green color. The patient's clothing were in green pink blue, light green or in white co for. There're not anything special in both decoration and equipments. Most of them used tall beds except in one hospital 2. To the extent of perception of patient's hatch 9round and hospital environment it is presented that they perceived nurse's ability in highest in total human variable, though perceived kindness or etiquette in the lowest otherwise, comparatively high in total average. 3. In the respect of physical environment it is highest perceived of lightening terms, otherwise, lowest perceived of air ventilation and total average became lowest than the one of the original record 4. To ages, in the respect of hatch ground rather old aged mother than the younger one has perceived that nurse would be trusting, in good service character, able, at the same time, liable, Otherwise, in physical environment regardless of age, they perceived lightening in high and remarkably lower in ventilation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hospital environment to each age it is appeared of statistical difference at 5% level of ability in the personal environment otherwise little difference as for physical environment 5. In the respect of perceiving level to educational standard it is highly perceived of personal environment for higher ranking group rather than lower group in the educational standard. In case of physical environment it is highly perceived for lower level group rather than higher level group in educational background. The variables which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at 5% level are from trusting kindness, etiquette and total kindness, etiquette and total all significance at 5% level are from trusting, kindness, etiquette and total human environment variable in personal environment, otherwise, there's little difference in the physical environment. 6. The perceiving level due to times of admission and accommodation at the hospital would be cleared out as gradual higher perception both physical and personal environment in the hospital. At 5% significant level of the ventilation condition in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 it is presented of meaningful difference otherwise, there we have little difference both in Personal variable and other one. 7. In accordance with living standard, the perception degree of personal environment in tee hospital would be inclined to increase to higher living standard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perception level world increase to lower living standard At 5 % level, the trustuariable and total scores in the personal eicuironmectal variable there appeared a meaningful/ significant difference otherwise, there presented little difference both in physical environmental and other variable to the living standard 8. Pertaining to family unit, the mother of an independent family unit perceived highly in all respect of the personal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in the hospital rather than the woman of succeeding family unit. At 5 % level there appeared a difference in the respect of kindness and etiquette both in personal environment variable, on the other hand, there hardly marked a difference between other variable and physical environmental one. 9. The degree of perception to comforting level has little connection with a statistical difference the age, educational level hospital admitting times, living standard or family unit. 10. The most effective variable to mother's comforting level will be nurse's ability, reliability, trusting manner, and total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 in order.

  • PDF

조선시대 노인(老人)의 존재양상 - 연령과 신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istence aspect of the elderly in the Joseon Dynasty)

  • 김효경
    • 역사민속학
    • /
    • 제52호
    • /
    • pp.7-46
    • /
    • 2017
  • 조선시대 노인은 육체적 변화와 더불어 10년을 단위로 하는 연령별로 사회적 처우가 달랐다. 우선 유교 이념에서 노인은 군자로서의 완성된 성품을 지닌 자로서 여전히 수신해야 하는 존재였다. 군자로서의 성품을 지녔기에 존로와 경로는 신분과 관품을 초월해서 이루어졌다. 노인은 육체적 쇠약이 시작되는 50세부터로 보았지만 이는 장년과 노인의 변곡점을 언급한 것일 뿐 노인을 규정한 것은 아니다. 노인은 국역이라는 사회적 의무가 해제되는 60세는 모든 사회적 존재에게 해당되는 명실상부한 노인의 하한 연령이다. 그러나 60세는 사회적 의무가 해제될 뿐 여전히 노인은 일반 사회구성원으로 간주되었기에 특별한 혜택이 부여되지는 않았다. 신분제와 관료제 사회에서 노인의 우대는 연령별로 다르게 시행되었다. 70세는 고관에게만 다양한 혜택이 주어졌는데, 복호와 시정을 처음으로 제공했다. 또한 관료의 정년은 특별히 정해지지 않고 스스로 물러나는 치사(致仕)에 의해 존로를 예우하는 방식으로 거행되었다. 고관과 대신에게 주어진 최상의 예우라 하겠다. 80세는 양천 모두에게 노인을 우대하는 조치로 양로연을 베풀었다. 더불어 노인직을 수여함으로써 사회적 가치가 부여된 관품(官品)을 허용했다. 서인과 천인에게조차 허용된 관품은 최상의 존로(尊老)정책이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노인 관련 존로정책은 신분과 관품에 따라 왕은 60세부터, 정2품 고관, 종친 등은 70세, 일반 서인은 80세, 노비는 90세에 사회적 예우의 대상이 되었다. 노인 봉양은 개인적으로 실시하면 되지만 국가가 이를 주관했기에 사회적 가치를 부여한 것이다. 신분과 관품에 따라 복호와 시정을 배정하고, 사물의 종류를 달리함으로써 당시 사회적 한계가 분명히 드러났다. 존로 사상이라는 이념보다는 신분과 관품이라는 사회적 질서가 우선시 된 것이다. 그러나 연령별, 신분별 존로 행위는 개인적 차원에 그치지 않고 국가가 사회의 구성원인 노인을 존로사상에 입각해 다양한 방법으로 양로했다. 육체적 쇠약으로 인해 활동이 여의치 않은 이들을 사회가 양로코자 했다. 경제적으로는 의자, 쌀, 고기, 얼음 등의 사물(賜物)을 통해, 법적으로는 면죄(免罪)와 감경과 속죄금 등으로, 사회적으로는 가자(加資)라는 노인직 수여를 통해 관료제 사회의 구성원으로 치환함으로써 그 존재 가치를 높였다. 신분과 관품을 초월하여 모든 계층을 대상으로 실시된 양로연과 가자는 80세 이상이 사회적 존로의 대상임을 분명히 한다. 즉 80세에 이르면 노인은 신분을 초월하여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노인으로서 경로의 대상이 되었다.

NGO 해외봉사 경험에 대한 인식 연구: 전문직 은퇴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NGO's Overseas Service Experience: With Professional Retirees at the Center)

  • 정주영;이미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31-38
    • /
    • 2021
  • 베이비부머의 은퇴로 인해 경제적 활동에서 대거 이탈한 전문직 은퇴인력의 활용은 현시대적 과제이며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문직 은퇴자의 NGO 해외봉사 경험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여 전문직 은퇴인력의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질적 연구이며, 연구 참여자는 NGO 해외봉사경험이 있는 전문직 정년 은퇴자들이다. 집단 활동과 개인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참여적 분석법과 주제 분석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인식은 NGO 해외봉사는 안전하고 국가위상을 높이는 최고의 일자리이며, 이에 대한 정보를 은퇴교육에서 제공받기 원한다는 것이었다. 결론에서 NGO 해외봉사의 확대를 위한 은퇴교육을 공기업뿐아니라 일반 직장에서도 실시하여 은퇴 전에 준비하는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은퇴자의 해외봉사를 전담하기 위한 [은퇴자 NGO 해외봉사 정보서비스 센터]의 운영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직 은퇴자의 NGO 해외봉사의 경험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은퇴 이후 노년기 사회복지 정책적 대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시함에 의의를 가진다.

정신과 환자 자녀의 우울, 불안, 자기 개념 그리고 가정환경의 특성에 대한 연구 (IMPACT OF PARENTAL PSYCHIATRIC DISORDER ON OFFSPRING'S DEPRESSION, ANXIETY, SELF CONCEPT AND PERCEPTION OF FAMILIAL RELATIONSHIP)

  • 이정법;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1호
    • /
    • pp.54-6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과 환자의 자녀가 정상인의 자녀와 비교하여 불안, 우울 등의 정신병리와 자기 개념, 가정환경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부모의 정신병리가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밝히기 위함이다. 아울러 환자집단 내에서 환자의 성별에 따라, 환자의 발병 당시의 자녀의 나이에 따라, 환자 진단에 따라 자녀의 불안, 우울 등의 정신병리와 자기 개념, 가정환경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7년 6월부터 1998년 4월까지 서울, 경기지역의 신경정신과 성인 외래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자녀 중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남녀 학생 52명에게 한국형 소아 상태-특성불안척도,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 한국형 소아자기개념척도, 한국형 가정환경척도를 작성하도록 하고 이를 동 수의 정상인 자녀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자녀 내에서는 환자가 남자인지 혹은 여자인지, 환자의 발병 연령이 자녀가 3세 이전이었는지 이후였는지, 환자의 진단이 어떤 것인지에 따라 척도들을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과 환자의 자녀들이 정상인의 자녀들과 비교하여 가정환경척도 중 표현력 척도에서 유의하게 낮은점수를 보였고 상태 불안 척도에서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그러나 소아 자기개념척도의 지적 및 학업 상태 소척도와 인기도 소척도에서는 오히려 환자의 자녀가 정상인의 자녀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2) 환자군 내에서 환자의 남녀 성별에 따른 자녀의 척도들의 차이는 없었다. 3) 환자군 내에서 환자가 자녀 나이 3세 이전에 발병한 경우가 3세 이후에 발병한 경우보다 가정환경척도 중 조절성 소척도 점수는 유의하게 낮고 특성불안척도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환자군 내에서 환자의 진단(정신분열병 범주 장애-정동장애-신경증)에 따른 자녀의 척도들의 차이는 없었다. 자기 보고식 설문으로 측정한 우울, 불안 등의 정신병리는 환자의 자녀와 정상인의 자녀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자의 진단이나 남녀 성별의 차이 역시 자녀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자녀가 3세 이전에 부모가 정신질환에 이환 될 경우에는 자녀의 특성불안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향후 고위험군 자녀의 발달학적 측면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자녀의 자기보고 이외에도 부모, 선생님 등의 관찰과의 일치도에 대한 조사, 직접적인 면담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통제된 환경에서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