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price benefit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3초

점포 밀도와 세일의 가격혜택이 혼잡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e Density and Perceived Price Benefit of Sale on Perceived Crowding)

  • 박경애;허순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613-624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1) the effect of store density on perceived crowding 2) the difference of perceived price benefit of sale by store density 3) the effect of perceived price benefit and store density on perceived crowding and 4) the effect of perceived crowding and price benefit on shopping behaviors. Store density and perceived crowding were categorized into social and spatial dimensions. Data were collected with 6 (high, medium, and low social and spatial densities) * 2 (sale and no-sale)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s. A total of 395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social density affected social crowding, but spatial density had no effect on perceived crowding. Price benefit of sale was not different by store density. The sale itself did not affect perceived crowding. Under the social density situation, perceived price benefit reduced spatial crowding and social crowding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behavior while spatial crowding had a negative effect. However,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purchase behavior was price benefit. The study implies that social density (not spatial density) is important for consumer behavior and retail strategies.

묶음제품 가격 할인 제시 프레이밍 효과: 지각된 소비 혜택과 품질 불확실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Discount Presentation Framing & Bundle Evaluation: The Effects of Consumption Benefit and Perceived Uncertainty of Quality)

  • 임미자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53-81
    • /
    • 2012
  • 묶음제품의 매력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소비자들이 번들 오퍼에서의 가격 제시 프레이밍(framing)에 민감하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동일 가격을 할인하더라도 묶음제품 요소 중 어느 요소에 가격할인을 표시하느냐에 따라 소비자의 묶음제품에 대한 지각된 매력도를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선행연구는 더 중요한 제품 요소에 할인이 할당될 때 효용이 증가한다는 주장과 덜 중요한 제품 요소에 할인을 위치시키는 것이 선호를 증가시킨다는 주장을 동시에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보완하여 묶음제품 가격 할인 제시 프레이밍효과에 대한 새로운 기제를 제시한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믹스드(mixed)된 결론을 보이는 이유를 분석하여 밝힌다. 본 연구는 현실적인 번들링 전략 사용 상황을 고려하였으며, 좀 더 리얼한 번들링 세팅을 이용하여 가격 할인 제시 프레이밍 효과를 조사하고, 순수번들 및 혼합번들을 포함한 다양한 묶음제품을 이용하여 품질 불확실성 지각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높은 소비 혜택(high consumption benefit)보다 낮은 소비 혜택(low consumption benefit) 요소에 가격 할인을 위치시키는 것을 더 선호하였다. 가격민감성(price sensitivity)이 주요혜택에서는 낮고, 낮은 혜택에서는 높기 때문에 동일 가격이 할인될 때 낮은 혜택을 할인한 매장 제품에 대한 평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구매 시점에서 품질의 불확실성(perceived uncertainty of product quality)이 높을수록 가격민감성이 혜택 지각에 가지는 효과가 더 커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공헌은 소비 혜택 지각 및 가격민감성 기제와 지각된 품질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통해 선행연구를 통합하고, 가격 제시 형태의 프레이밍 효과를 명확하게 설명하였다는 점이다.

  • PDF

소셜커머스의 패션명품 가격할인율이 혜택지각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 선호, 경험에 따른 차이- (Fashion Luxury Products in Social Commerce -The Effects of Price Discount on Perceived Benefit and Purchase Intention-)

  • 김승희;박경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0-42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1) the effects of fashion luxury product price discounts in social commerce on perceived benefit and purchase intention, and 2) differences in such effects by social commerce trust, brand and design preferences for luxury products as well as social commerce and online luxury product purchase experiences. Three discount rates representing high, mid, and low for a luxury product sold in social commerce were manipulated and tested on female consumers and 486 online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ice discount affected perceived benefit but did not affect purchase intention. Benefits were highly perceived at high and mid discount rates compared to the low rate. Social commerce trust, brand preference, and design preference affected perceived benefit and purchase intention, but the interaction effect with price discount was observed only in the design preference to perceived benefit. The purchase experience of online luxury products also affected purchase intention.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were also discussed.

가격인상과 용량감소에 관한 소비자 관점의 비교 연구 : 경쟁사 가격전략과 위험회피성향을 중심으로 (A Consumer-Oriented Study of Price Increases and Downsizing : Focused on Roles of Competitor's Pricing Strategy and Risk-Aversion)

  • 김혜영;강영선
    • 경영과학
    • /
    • 제32권3호
    • /
    • pp.55-70
    • /
    • 2015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s of the competitor's pricing strategy and the degree of consumer's risk-aversion on perceived risk and perceived benefit in responding to price increases and package downsizing. Based on Prospect Theory, several prior researches find that consumers perceive increased price as more loss than package downsizing and perceive package downsizing as more benefit than increased price. We extend these behavioral economics approach using the reference effect of competitor's pricing strategy. We focus on consumer heterogeneity on risk-aversion, measure the degree of consumer's risk-aversion, and divide the consumers into two groups of high levels of risk-aversion vs. low levels of risk-aversion. We find that the firm's pricing strategies of both price increases and package downsizing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erceived benefit for relatively low risk-aversion consumers. We find that when the firm reduce the package size, relatively high risk-aversion consumers perceived more benefit and had higher purchase intention compared to price increases. We also find that the competitor's pricing strategies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onsumer's response for relatively low risk-aversion consumers. For relatively high risk-aversion consumers, they perceived more loss when the firm has different pricing strategy from the competitor's.

점포세일에 대한 소비자태도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Retail Sales : More than Price Benefits)

  • 박경애;허순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35-642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retail sal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ale attitude and the price-related variables(i.e., price consciousness, sales proneness, and value consciousnes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ale attitude and the price-related variables on the perceived price value during the retail sales. Data were collected from 790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the two types of questionnaires representing the sale and non-sale situations, and 776 responses were analyzed. Factor analysis of the sale attitude extracted five dimensions including price benefit, limited product assortment, impulse buying, low service quality, and disordered store atmosphere. The price benefit and the impulse buying factors were related with all the 3 price-related variables, and all the sale attitude factors were related with the value consciousness. The price benefit and the impulse buying factors positively affected the perceived price value under the sale situation.

영업사원과의 관계구축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내재적 특성에 관한 연구: 관계적 혜택을 매개변수로 (A Study on the Consumers' Inherent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the Relationship Building Intention with the Salesperson: Relational Benefits as Mediating Variables)

  • 박찬욱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31-56
    • /
    • 2009
  • 경쟁이 심화되고 시장이 포화되면서 관계마케팅에 대한 관심은 증대하고 있다. 그런데 많은 연구들이 모든 소비자가 관계지향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렇지만 어떠한 성향을 가진 소비자가 관계지향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영업사원이 제공하는 관계적 혜택(확신 혜택 및 사회적 혜택)에 대한 중요성 지각을 매개 변수로 소비자의 어떠한 내재적 특성이 영업사원과의 관계구축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가설에서 확신 혜택에 대한 중요성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비자의 내재적 특성으로 위험감수 성향, 다양성추구 성향, 제품지식, 타인 신뢰 성향 등의 변수를 제시하였으며, 사회적 혜택에 대한 중요성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비자의 내재적 특성으로 대인성향, 가격민감도, 타인 신뢰 성향 등의 변수를 제시하였다. 실제로 영업사원과의 거래를 통해 증권거래를 하고 있는 소비자 39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소비자의 내재적 특성과 영업사원과의 관계 구축 의도의 인과관계에 있어서 관계적 혜택에 대한 중요성 지각이 매개 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내재적 특성 가운데 다양성 추구 성향은 확신 혜택에 대한 중요성 지각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타인 신뢰 성향은 확신 혜택 및 사회적 혜택 모두의 중요성 지각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가격 민감도는 가설에서 설정된 방향과는 다르게 사회적 혜택의 중요성 지각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인터넷 위험지각 집단의 의복추구혜택, 인터넷 쇼핑태도 및 구매의도 (The internet perceived risk segments: clothing benefits sought, internet shopping attitude, and internet purchase intention)

  • 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46-75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net perceived risk segments in regard to clothing benefits sought, internet shopping attitude, and internet purchase intention. The subjects used for the study were 210 male and 338 female college students. The internet perceived risk consisted of size/defect risk, social psychological risk, privacy risk, delivery risk, and price risk. The clothing benefits sought had impression improvement, fashion, individuality, figure flaws compensation, and comfort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ere segmented by four groups based on internet perceived risk factors : 1) privacy risk group, 2) size risk group. 3) low risk group, and 4) price/social psychological risk group. The four segmented groups differed in regard to clothing benefits sought, internet shopping attitude, and internet purchase intention. For example, in regard to clothing benefits sought, the price/social Psychological risk group sought fashion more than other groups. The low risk group considered figure flaws compensation benefit less important than other groups. Concerning internet shopping attitude, the low risk group had more favorable altitude toward trust, safety, diversity, exchange/return attributes of internet shopping than other groups. The privacy risk group had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convenience and price attributes of internet shopping. Regarding internet purchase intention, the low risk group had higher intention to purchase formal, casual, and sportswear. The size risk group had higher intention to purchase fashion accessories. Further group difference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A Study on Cross-border Online Shoppers for Fashion Products by Benefit Sought

  • An, Sangheuk;Jung, Jihoon;Lee, Hyun-Hw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16권2호
    • /
    • pp.25-50
    • /
    • 201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dimensions of benefit sought where consumer cross-border online shoppers seek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imensions on expectancy, perceived performance, disconformity and satisfaction with cross-border online shopping. A total of 258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identified that six dimensions of benefit sought of cross-border online shopping, which were economic-efficiency, convenience, uniqueness, scarcity, superiority and conformity seeking.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economic-efficiency, scarcity and uniqueness seeking on the expectancy, perceived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consumers were segmented as four clusters classified using benefit sought of cross-border online shopping. The four clusters were labeled as "high interest type", "disinterested type", "unique scarcity type", and "price-first unfussy typ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clusters in the research constructs of expectancy and disconfirmation theor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prac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구매자의 관여도 수준에 따라 가격할인이 지각가치, 구매의향, 탐색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rice Discount on Perceived Value, Willingness to Buy, and Search Intention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sumers' Involvement)

  • 윤남수;김재영;박영균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39-48
    • /
    • 2011
  • 본 연구는 가격할인이 관여도의 수준에 따라 가치지각 간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가 서로 상이하다는 가정 하에 관여도에 따른 지각가치와 구매의향 및 탐색의도 간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관여의 경우는 지각거래가치가 지각획득가치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관여 구매자의 지각획득가치는 구매의향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각획득가치가 탐색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관여의 경우에도 고관여와 같이 구매자의 지각거래가치는 구매의향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각획득가치가 탐색의도에 대하여 부(-)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가격할인에 따른 거래가치 향상에도 불구하고 지각품질 수준이 하향되면서 품질에 대한 의심이 생겨 추가정보 탐색의 필요성이 생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비자는 관여도에 따라 획득가치 또는 거래가치에 대하여 중요하게 인지하지만 소비자가 어떤 지각가치에 더욱 의존하여 구매행동을 결정짓는가에 따라 이에 부합하는 가치 향상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브랜드애호도에 따른 가격할인율의 차이가 소비자의 획득가치와 거래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ice Discount Rate According to Brand Loyalty on Consumer's Acquisition Value and Transaction Value)

  • 김영이;김재영;신창락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247-269
    • /
    • 2007
  • 현대에 있어 동질적인 품질과 편익을 제공하는 제품을 가지고 다수의 기업들이 시장점유율 증대와 고객확보를 위하여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가격할인은 기업이 즐겨 사용하는 촉진수단이다. 가격할인은 단기적 매출향상, 소비자의 브랜드전환, 신제품의 시장침투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실제로 과거의 실증연구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가격할인이 판매증대에 효과적이며 가격할인은 소비자의 지각가치를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하지만 할인된 가격은 제품의 품질을 의심하게 하거나 낮게 평가하는 부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모든 제품카테고리와 모든 구매상황에 대하여 가격할인이 소비자의 지각가치를 향상시킨다고 볼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애호도의 차이가 있는 제품을 대상으로 가격할인율에 따라 소비자의 지각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함으로서 브랜드애호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브랜드애호도가 강한 제품에 대한 지각획득가치와 지각거래가치는 가격할인율이 낮을 때 보다 큰 경우에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분석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브랜드애호도가 강한 경우에는 가격할인에 의한 지각희생의 감소량이 크지 않았고 브랜드 자체에 대한 신뢰도와 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기 때문에 가격인하가 브랜드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브랜드애호도가 약한 제품에 대한 지각획득가치와 지각거래가치는 가격할인율이 낮을 때 보다 큰 경우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브랜드애호도가 약한 경우에는 제품으로부터 획득하게 되는 편익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가 낮은데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보면 가격할인이 클 때에 제품의 품질과 편익을 더욱 평가절하하거나 심리적으로 지각희생의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지각가치가 감소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