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job insecurit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197초

Is Job Insecurity Worse for Mental Health Than Having a Part-time Job in Canada?

  • Kim, Il-Ho;Choi, Cyu-Chul;Urbanoski, Karen;Park, Jungwee;Kim, Jima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2호
    • /
    • pp.110-118
    • /
    • 2021
  • Objectives: A growing number of people depend on flexible employment, characterized by outsider employment status and perceived job insecurit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 synergistic effect of employment status (full-time vs. part-time) and perceived job insecurity on major depressive disorder. Methods: Data were derived from the 2012 Canadian Community Health Survey-Mental Health of 12 640 of Canada's labor force population, aged 20 to 74. By combining employment status with perceived job insecurity, we formed four employment categories: full-time secure, full-time insecure, part-time secure, and part-time insecure. Results: Results showed no synergistic health effect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perceived job insecurity. Regardless of employment status (full-time vs. part-time), insecure employ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 risk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four flexible employment status showed a gender-contingent effect on this link in only full-time insecure category. Men workers with full-time insecure job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major depressive disorders than their women counterparts. Conclusions: This study's findings imply that perceived job insecurity may be a critical factor for developing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both men and women workers.

Perceived Risk of COVID-19 Pandemic, Distribution of Burnout Resources, and Employees' Job

  • CAO, Tri Minh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6호
    • /
    • pp.33-41
    • /
    • 2022
  • Purpose: This article presents the relationship among the perceived risk of the COVID-19 pandemic, burnout, job insecurity, and employees' job performance in Vietna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dataset included 310 samples from Vietnamese employees through the internet (Gmail, Facebook, Google form). PLS-SEM is used on Smart-PLS software. Results: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perceived risk of COVID-19 has a posi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and burnout. At the same time, job insecurity positively impacts burnout and has a nega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to many jobs (both working and worrying about losing jobs) will reduce job performance. Furthermore, the study shows that workers exposed to COVID-19 risks have higher job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burnout is not a factor that reduces employees' job performance. Finally, the perceived risk of COVID-19 and job insecurity have nothing to do with each other (perceived risk of COVID-19 does not affect job insecurity). These are two factors that exist independently and in parallel. Conclusions: The authors also suggest some implications in theory and practice from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will reduce anxiety about risks due to COVID-19 and job security for employees.

직무안정성과 직무재창조 간의 관계: GNS의 조절효과 (Can Employees with Job Insecurity Engage in Job Crafting? Moderating Effect of GNS)

  • 해리스 데오나;차윤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76-186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자메이카와 한국의 두 문화권의 조직내 구성원들 사이에서 고용 불안정과 직무재창조 간의 관계GNS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 것이었다. 조직의 성장에는 구성원들의 성장욕구(GNS)가 필요하지만 고용 불안과 직무재창조 간의 관계에서는 조절변수로 검토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자메이카에서 일하는 조직 구성원들과 한국에서 한국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EFA)과 위계적회귀 분석을 사용했습니다. 통계 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용불안이 직무재창조에 영향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식된 고용 불안과 직무재창조 사이의 관계는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향후 좀 더 정교한 비교문화 관점의 연구를 전개하기 위해서는 국가문화 특성에 따른 개인의 추진력 또는 성장에 대한 욕구와 인지된 스트레스나 불확실성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검토하여 좀 더 변수를 확대 혹은 통제하여 실증할 필요가 있다.

직무불안성성과 EVLN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방해인식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about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job insecurity and EVLN)

  • 이은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99-11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직무불안정성과 EVLN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조직방해인식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직장인 및 온라인 설문조사 사이트를 통해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직무불안정성은 조직방해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불안정성과 조직구성원의 불만족 반응행동인 EVLN 중에 이직과 발언, 태만간의 관계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충성심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방해인식이 직무불안정성과 EVLN간에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직, 발언, 태만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실무적 시사점은 직무불안정성이 높아진 최근 조직에서 구성원들에게 직무불만족 행동을 더욱 강화하는 매개변인으로서 조직방해인식이 중요하며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모색해야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Employee's Growth Need Strength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The Role of Perceived Job Insecurity

  • HARRIS, Deonna;CHA, Yunsuk
    • 융합경영연구
    • /
    • 제10권2호
    • /
    • pp.15-22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employee's growth needs strength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Perceived job insecurity was also examined as a moder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collected 108 data samples from working individuals from South Korea.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4.0. Results: Our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employee's growth needs strength has a negative effect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Perceived job insecurit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Conclusions: Organizations should focus on creating growth opportunities for employees, since facilitating employee's growth need strength will counteract the desire to engage in behaviors that can be detrimental to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The Effect of Workforce Restructuring on Withdrawal Behavior: The Role of Job Insecurity, Career Plateau and Procedural Justice

  • PARK, Kwang-Heum;YOUN, Sa-Jean;MOON, Jaeseu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7호
    • /
    • pp.413-424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 effect of workforce restructuring on the withdrawal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job insecurity. Empirically it also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plateau and procedural justice on the above relationship. The study focuses on the mediating role of job insecuri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career plateau in relations to procedural justice, which will concent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orce restructuring and withdrawal behavior. For the empirical study, we collected and analyzed 442 survey data from employees of Korean companies. SPSS 24 is used f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job insecur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orce restructuring and withdrawal behavior. Second, content career plateau ha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orce restructuring and job insecurity.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was not supported. This research extend workforce restructuring and career plateau related studies; by exploring the mediating variable and moder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orce restructuring and the pertaining outcomes.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long with future research recommendations.

직장인의 직무불안정성과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Shapero의 창업이벤트모델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and Entrepreneurship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Shapero's Entrepreneurial Event Model)

  • 안은주;양동우
    • 중소기업연구
    • /
    • 제42권3호
    • /
    • pp.275-304
    • /
    • 2020
  • 최근의 악화되고 있는 고용지표를 개선하고, 세계적인 경기침체 국면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창업의 활성화 및 창업의 성공률 제고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련 분야의 지식과 경험 및 네트워크를 보유한 직장인을 창업가로 전환시키는 요인과 그 경로를 밝힘으로써, 창업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창업 성공률 제고에 기여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Shapero(1982)의 창업이벤트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직장인의 직무불안정성과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의 촉진사건이 되는지와 창업에 대한 소망성 및 실현가능성의 지각이 그 사이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정리해보면 첫째, 직장인의 고용불안정성과 혁신성 및 위험감수성이 창업의도를 높이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무불안정성의 구성 요소와 창업의도 사이에서 지각된 소망성의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으나, 기업가정신의 모든 구성 요소는 창업에 대한 소망성의 지각을 통해 창업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불안정성과 혁신성 및 위험감수성은 창업에 대한 실현가능성의 지각을 통해 창업의도를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창업 역량을 보유한 직장인을 창업가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직장인에 대한 창업교육과 사내벤처의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창업 및 사내벤처창업 지원을 확대함으로써 창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실행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시킬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직장인의 창업 지원 강화로 창업 활성화 및 창업 성공률이 제고된다면,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고 침체된 경기를 회복시키는 등 국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Social Supports from Organization and Customer: An Integrated Model

  • Yoo, Jaewo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1-14
    • /
    • 2014
  • This study applies the job-demands resource (JD-R) model to investigate the interactive effect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in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service employee work engagement and customer-oriented attitude. This paper proposed a theoretical model that suggests that the service employee's work engagement is the consequence of the employee's perceived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 and its customers (customer participation) and leads to a customer-oriented attitude. However,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is somewhat hindered by job insecurity, demonstrating the inability of an organizationally provided job resource to overcome the job demand of job insecurity. As a type of job demand from customer's perspective, customer crowding is suggested as a negative moderator in the link between customer participation and work engagement. As such, this article proposes how different elements of a service employee's work environment interact to ultimately influence the service employee's customer-oriented attitude. Specifically,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on how the negative contextual elements of job insecurity and job crowding (i.e., job demands) interact with the potentially positive elements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customer participation (i.e., job resources), as well as with an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 to ultimately develop a customer-oriented attitude. This study concludes with some propositions for potenti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key constructs that can be empirically tested in future research,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for both managers and researchers.

  • PDF

철도기관사의 지각된 직무특성과 조직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우울, 인적오류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지각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Railway Engineers' Perceived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on Psychological Depression and Human Errors: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권혁기;한나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95-108
    • /
    • 2019
  • 도시철도 기관사들의 직무스트레스는 개인은 물론 사회전체에 치명적인 해악을 초래하고 엄청난 경쟁력 상실을 가져온다. 따라서 기관사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부정적인 결과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특성(직무불안, 직무요구)과 조직특성(비합리적 직장문화)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우울과 인적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우울, 직무스트레스와 인적오류 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도시철도 기관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불안, 직무요구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비합리적인 직장문화는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우울과 인적오류에 각각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셋째, 심리적 우울에 대해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지원지각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적오류에 대해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지원지각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IT업계 종사자들의 업무시간 외 상시연결성이 일과 삶의 갈등에 미치는 영향: 직무불안정성의 매개효과 (Effect of Always Being on Call after Work-hour on Conflict between Work and Life Balance: Medi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 선동규;여영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269-276
    • /
    • 2021
  • 본 연구는 IT업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업무시간 외 상시연결성이 일과 삶의 갈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분석 결과, IT업계 종사자들이 지각하고 있는 업무시간 외 상시연결성은 일과 삶의 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시간 외 상시연결성은 IT분야 종사자들이 지각하는 직무불안정성의 모든 하위요인인 무력감, 직무상실 가능성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것으로 파악되었다. 직무불안정성요인이 일과 삶의 갈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는 무력감 요인은 일과 삶의 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직무상실 가능성 요인은 일과 삶의 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직무불안정성(무력감, 직무상실 가능성)은 IT업계 종사자들이 지각하고 있는 업무시간 외 상시연결성과 일과 삶의 갈등의 영향관계에서 부분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