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image contrast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6초

화장색 이미지평가와 선호도 차이 (제1보) -지각자의 성별을 중심으로- (A Differences in Preference and Evaluation on the Image of Make-up (Part I) -Focused on Perceiver's Genders-)

  • 이연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7-58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ake-up color application system, based of Korean's skin tone and the preference in make-up colo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of beauty in universit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the previous studies, the analyses of sale's rate of hue-cosmetics, the analytic experiment of color of cosmetics by using Spectrum Color Analyzer and other experimental researches. This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ree preliminary researches, shows the result of evaluation from perceivers which has been come out from the experiment of having one model in her twenties being changed with twenty-two different conditions of make-up. Here follows the result of the research. Firstly, there was difference on perceiving images in terms of the gender of perceivers and especially male-group tend to have clearly perceived the gap between elegance-greyish purple, orange-natural, red-classic on monochrome make-up and contrast make-up. Secondly, in terms of lip-colors, salmon pink and pink was regarded positively to both female and male subjects and to male subjects, greyish purple was thought to be better on darker skin-tone and to female subjects, better on lighter skin-tone. Thirdly, on image make-up, romantic gives intelligent image regardless of skin-tone and gender, especially gives more positive looks to male subjects. Natural and classic elements were perceived more positively on darker skin-tone and had bigger perceiving gap in female subjects. Fourthly, in preference rate, male subjects normally preferred the look with make-up than female subjects did and salmon pink and pink lip color was preferred on the darker skin-tone.

한국과 일본여대생의 체형인식과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 및 신체이미지가 유행선도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ption of Body Shape, Self-esteem, Body Cathexis, and Body Image on Fashion Leadership by Korean and Japanese Female College Students)

  • 정수진;;추미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13-721
    • /
    • 2013
  • This study compares the perceived body ima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Japan as well as explains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elf-esteem, body cathexis, body image and fashion leadership based on nationality and body. The sense of fashion leadership affected by these factors was also analyzed. A high ratio of Korean and Japanese female students perceived themselves as obese compared to actual body physique. It was shown that body was highly distorted. They showed a comparatively low level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in contrast to their high interest in their appearance and weight. Thin bodied individuals showed a high level of self-esteem and body cathexis; however, persons with an obese body showed a low level of body cathexis. They showed high interest in appearance regardless of body physique; however, they remain unsatisfied with their appearance. Individuals with an obese body and a standard somatotype showed a high concern with weight. A high fashion opinion leadership was reciprocal to a high interest in appearance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Korean female students showe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fashion opinion leadership through body cathexis, self-esteem, interest in appearance,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A thin bod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fashion opinion leadership and an obese body had a negative effect. Fashion innovativeness was directly influenced persons with a high degree of self-esteem and interest in appearance. Japanese female students were directly affected by fashion innovativeness; however, Korean female students were indirectly affected by fashion innovativeness through self-esteem and interest in appearance.

도트 패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모델 기반 칼라 영상 중간조 알고리즘 (Model-Based Color- Image Halftoning Algorithm Using Dot-Pattern Database)

  • 김경만;송근원;민각;김정엽;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8권2호
    • /
    • pp.208-21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칼라 영상의 프린팅을 위하여 도트 패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 모델 기반 칼라 영상 중간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 사용된 도트 패턴 데이터 베이스는 블루 노이즈 마스크에 기반하여 칼라 영상을 이루는 RGB 세 도메인의 칼라 값에 따른 원형 도트 중첩 모델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중간조 처리 과정에서는 입력되는 RGB 칼라 값을 재현하기 위하여 입력 칼라 값과 만들어진 도트 패턴 데이터 베이스의 칼라 값을 비교하여 최소가 되는 패턴을 그 칼라 값의 중간조 패턴으로 선택하는데, 이 선택과정에서는 인간 시각의 대조 민감도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원영상에 대한 사람의 인식도와 출력을 위해 선택하려는 도트 패턴에 대한 사람의 인식도를 비교하여 좋은 화질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한다. 실험에서는 칼라 패치를 만들어 모니터와 프린터데서 출력한 후 칼라 스펙트럼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칼라 오차인 ΔΕ/Sub ab/를 비교함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에 의한 결과가 기존의 방법들보다 더 정확히 입력된 칼라를 재현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상의 대응 문제 해결에 미치는 밝기 대비의 영향 (The effect of brightness contrast on resolving the correspondence problem)

  • 감기택;정찬섭
    • 인지과학
    • /
    • 제12권4호
    • /
    • pp.49-56
    • /
    • 2001
  • 입체시 계산 모형들은 국지적으로 대응 가능한 여러 대상들이 있는 경우 가설적인 부등 탐지기들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대응될 대상을 결정한다. 이 연구에서는 인간의 양안시 기제도 입체시 모형들의 가정과 유사하게 부등 탐지기들의 활성화 수준에 따라 대응될 대상을 선택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깊이가 다른 두 표면을 가지는 무선점 패턴을 입체 그림으로 사용하였다. 응시 표면과 같은 깊이에 놓여 있는 표면을 구성하는 점들은 무선적으로 선택되었으며(원 무선 패턴) 이 표면보다 앞에 놓여있는 표면을 구성할 점들은 원 무선 패턴의 각 점들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짝지어졌다. 원 무선 패턴을 구성하는 점들의 위치를 발견하여 왼쪽 입체 그림에서는 무선 점들의 왼쪽 3분에 오른쪽 입체 그림에서는 무선 점들의 오른쪽 3분에 위치하도록 하여 6 분의 깊이에 해당하는 또 다른 표면을 만들었다. 원 무선점 패턴의 자기를 고정시킨 채 새로운 패턴의 밝기를 변화시키면 가설적인 탐지기들의 상대적인 활성화 수준이 서로 달라질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상대적인 활성화 수준에 따라 대응될 대상이 변화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모든 점들의 위치는 고정시킨 채 두 표면을 구성하는 점들간의 상대적인 밝기를 변화시켜가면서 각 밝기 수준에서 두 표면의 깊이를 측정하였다. 쌍을 이루는 점들간의 밝기 차가 30% 이내인 조건에서는 3 분의 부등에 해당되는 하나의 표면이 지각되었지만, 두 점의 밝기가 타이가 날수록 이 표면 이외의 다른 표면과 더불어 모두 두개의 표면이 지각되었다. 특히 새로운 표면의 깊이는 무선점 패턴을 구성하는 점들과 추가된 점들의 상대적 밝기에 따라 달라겠다. 추가된 점들이 밝은 조건에서는 이 점들의 부등에 해당되는 깊이를 갖는 표면이 원 무선점 패턴이 밝은 조건에서는 무선점 패턴의 부등에 해당되는 깊이를 가진 표면이 추가적으로 지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다 활성화 된 탐지기들이 약한 탐지기들을 억제하여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다수의 음원을 사용한 공간의 소리 제어 방법론 (Spatial Manipulation of Sound Using Multiple Sources)

  • 최정우;김양한;박영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2호
    • /
    • pp.1378-1388
    • /
    • 2005
  • Spatial control of sound is essential to deliver better sound to the listener's position in space. As it can be experienced in many listening environments. the quality of sound can not be manifested over every Position in a hall. This motivates us to control sound in a region we select. The primary focus of the developed method has to do with the brightness and contrast of acoustic image in space. In particular, the acoustic brightness control seeks a way to increase loudness of sound over a chosen area, and the contrast control aims to enhance loudness difference between two neighboring regions. This enables us to make two different kinds of zone - the zone of quiet and the zone of loud sound - at the same time. The other perspective of this study is on the direction of sound. It is shown that we can control the direction of perceived sound source by focusing acoustic energy in wavenumber domain. To begin with, the proposed approaches are formulated for pure-tone case. Then the control methods are extended to a more general case, where the excitation signal has broadband spectrum. In order to control the broadband signal in time domain, an inverse filter design problem is defined and solved in frequency domain.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in various conditions certainly validate that the acoustic brightness, acoustic contrast, direction of wave front can be manipulated for some finite region in space and time.

모바일폰용 TFT-LCD와 AMOLED의 색재현성 평가 (Evaluation of Color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TFT-LCD and AMOLED for Mobile Phone)

  • 박태용;이철희;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1호
    • /
    • pp.29-37
    • /
    • 2008
  • 디스플레이 기술이 급격히 발전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종류 또한 다양해지면서 디스플레이의 화질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화질평가에는 명암비, 색재현율, 색온도 및 감마 특성 등 물리적인 측정에 의한 정량적인 평가 방법이 사용되어 왔지만, 최종적인 화질의 비교 평가는 관측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인지 화질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디스플레이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 특성과 관측자가 느끼는 감성 화질 사이의 상관관계를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VESA) Flat Panel Display Measurements(FPDM) version 2.0의 표준에 따른 측정을 통하여 모바일용 TFT-LCD와 AMOLED가 가지고 있는 색재현 특성-명암비, 기준 백색에 대한 색온도, 회색 계조의 색도 일관성 및 감마 특성, RGB 채널별 계조의 감마 특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 크기-을 객관적으로 비교 평가한다. 그 다음, 주요평가 항목을 중심으로 일반 관측자뿐만 아니라 색채 전공자에 의한 다양한 주관적 화질 평가를 수행하고, 이 평가 결과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정량적인 자료 및 근거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화질 향상을 위해 색재현 관점에서 TFT-LCD와 AMOLED가 고려해야할 방향을 제시한다.

성격유형에 따른 복식문양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Clothing Pattern Image by the Personality Type)

  • 남기선;한명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1호
    • /
    • pp.59-72
    • /
    • 200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for clothing pattern tendency and structural element of clothing pattern image dimension and to find how individual personality type influence the preferred clothing pattern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sent to 600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Daejeo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MBTI(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Form G Korean version and for the analysis of data SPSS 10.0 package were used. 10 representative patterns for this study were floral, dot, stripe, check, animal, abstract & artistic, geometric, vegetable & leaf, paisely, patchwork pattern.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rithmetic mean, One-Way ANOVA, x²-test.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Clothing pattern image dimension perceived by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for 10 representative patterns were basic form, deluxe, specialty, and cultural dimension. Among them, basic form and deluxe dimension were major dimensions. In basic form dimension, dot pattern score was high indicating female students perceive it as light, comfortable, clean, cool and simple pattern image. In deluxe dimension, floral pattern scored high and in specialty dimension, abstract and artistic pattern scored high among other pattern image. In cultural dimension, geometric pattern and check pattern scored high. Based on other detailed analysis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personality type greatly influence clothing pattern evaluation. For example, in case of color combination of patchwork pattern, there was a difference in color preference depend on a personality type such as sensing(S) or intuition(N). Therefore, sensing personality type preferred adjacent color combination than contrast color combination. Detailed marketing strategy is necessary in planning textile design of merchandise plan.

  • PDF

자극과 배경의 대비, 배경 텍스쳐 밀도, 자극의 화면 시차가 크로스톡 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imulus-background Contrast, Background Texture Density and Screen Disparity of Stimulus on Crosstalk Perception)

  • 박종진;이형철;김신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25-236
    • /
    • 2013
  • 3D 영상을 시청하면서 느끼는 고유한 피로를 입체 시각 피로라고 부른다. 이 현상을 유발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꼽히는 것은 화면시차, 상 흐림, 크로스톡 (crosstalk)의 세 가지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화면 시차와 상 흐림은 영상 콘텐츠에 의하여 결정되며,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종류에 관계없이 직접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크로스톡 요인은 다른 요인과는 다르게 3D 디스플레이의 물리적인 특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요인이며 따라서 손쉽게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크로스톡이 입체 시각 피로에 미치는 영향은 자극 특성에 의하여 달라지며, 이러한 자극 특성은 조작 가능하다. 따라서 크로스톡이 입체 시각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려면 크로스톡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자극 특성의 효과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대적 깊이 판단 과제를 사용하여 자극 특성 (자극과 배경의 대비, 배경 텍스쳐 밀도, 자극의 화면 시차)이 크로스톡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영상에 배경이 존재하고 자극의 화면시차가 적을 때 지각되는 크로스톡이 감소함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다.

디스플레이상에서 주변시를 고려한 색채 인지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Colour Perception considering Peripheral Vision on Display Device)

  • 홍지영;박연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3-53
    • /
    • 2016
  • 본 연구는 배경의 밝기와 색상 자극의 크기에 따라 인지될 수 있는 색상 속성이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정 아래, 배경의 밝기를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Peripheral vision에 해당하는 $10^{\circ}$$20^{\circ}$의 자극을 colour matching하는 실험을 진행 하였다. 실험결과, 배경의 밝기 및 실험 자극으로 사용된 Munsell 색상 속성의 조합에 따라 동일한 색상임에도 불구하고 colour를 각기 다르게 인지할 수 있다는 경향성을 볼 수 있었으며, 자극의 크기에 대한 색상 인지 관련 선행 연구 결과와 다르게 배경의 밝기의 변화에 따라 색상 자극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고 하더라도 더욱 colourful하거나 더욱 밝게 인지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영상의 크기가 변환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화질 열화를 개선할 수 있으며 2D 뿐만 아니라 3D나 홀로그램 영상처리 시, 시감적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입체 영상 재현에도 기여할 수 있다.

Relationships between Body Image, Body Mass Index, and Smoking in Korean Adolescents: Results of a Nationwid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Lee, Woo-Taek;Kim, Hye In;Kim, Jee Hoon;Lee, Seok-Jin R;Hong, Seri;Park, Eun-Cheo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273-6278
    • /
    • 2015
  • Objective: This study assessed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body image or objective body mass index (BMI) and the risk of daily smoking in Korean adolescents, with a purpose of identifying the most suitable models. Materials and Methods: Using the 2013 9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ata for 72,435 students, odds ratios were calculated for daily smoking in the past month, according to the subjective body image and calculated BMI using a respectiv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combined effect of these two factors was also analyzed by pairing a BMI category with a subjective body image category, using odds ratios for the same event within each sex group. Results: Among the surveyed students, 7.2% of boys and 1.8% of girls were classified as daily smokers. Student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being very obese tended to be at lower risk of daily smoking (OR=0.61 in boys with 95% CI=0.47 to 0.79; OR=0.66 in women with 95% CI=0.47 to 0.93). In addition, boys within the obese or overweight BMI category showed a lower risk of daily smoking (OR=0.86, 95% CI: 0.77-0.96). Lean BMI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odds ratios for daily smoking only in female students (OR=1.24, 95% CI: 1.02-1.52). When pairing these two objective and subjective factors, results suggested that subjective body image has a greater effect on daily smoking than BMI in both boys and girls. Conclusions: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ubjective body image had a greater effect on daily smoking than body mass index. A model using the combination of BMI and subjective body image was the best fit in girls, in contrast to the model using subjective body image only best suitable in boys, for the prediction of daily smoking. These results including several factors associated with daily smoking in Korean students, provide useful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moking intervention and cess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