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Enjoyment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4초

이러닝 품질과 관련 변인에 대한 실증연구 (The empirical study on e-learning quality and its relevant constructs)

  • 이미숙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917-932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quality construct among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which are integrated as the second-order construct; perceived quality,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learner satisfaction, learner enjoyment, switching cost, and learner loyalty.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learners who had taken e-learning course,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wo phases. The first phase describ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ing SPSS23.0; the second phase involved the second order CFA of perceived quality and the analysis of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through AMOS 23.0. Results: (1) The explanatory power of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ppears to be almost equal; (2) Perceived quality positively influences only both learner satisfaction and switching cost; (3) Only learner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s learner loyalty and switching cost negatively influences learner loyalty. Conclusion: Learner enjoyment does no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study, which could be extrapolated in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sample. The respondents are over high school students, who emphasize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rather than enjoyment. Additionally, the result implies that respondents show low loyalty in the high switching cost.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VR기기 수용관련 소비자 연구 (Consumer Study on the Acceptance of VR Headsets based on the Extended TAM)

  • 진천천;박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117-126
    • /
    • 2018
  • 본 연구는 VR기기를 중심으로 VR기기 수용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제출하고 이러한 요인들과 소비자들의 수용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VR기기를 사용해 본 중국 소비자 238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AMOS 23.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 다양성과 자기효능감이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희성을 경유하여 지각된 유용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지각된 가격은 수용의도에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은 모두 VR기기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VR기기에 주목하고 있는 기업이 타겟으로 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마케팅 전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키오스크 서비스의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념변수에 관한 실증적 분석 (An Empirical Effect of the Belief Variables on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Using Kiosk Service)

  • 이은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113-121
    • /
    • 2019
  • 본 연구는 수직적으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을 토대로 사용자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신념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지각된 유희성을 추가하고, 키오스크 서비스의 만족과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념변수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키오스크의 유용성과 사용편리성을 지각하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키오스크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유희성은 키오스크 서비스의 추천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키오스크 서비스에 만족한 사용자는 강한 추천의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존 기술수용모델에서 규명한 새로운 정보기술의 유용성과 사용편리성이 사용자반응(만족과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임을 재입증 해주고 있으며, 새롭게 추가한 지각된 유희성이 키오스크 서비스의 만족을 매개하지 않고도 추천의도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키오스크 서비스의 지각된 유희성이 추가된 확장된 신념변수와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연구모형에 도입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사용자 가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of Users' Perceived Value on Mobile Contents Service)

  • 박상철;김종욱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5권4호
    • /
    • pp.221-245
    • /
    • 2008
  • Recently, mobile internet technologies are enabling the possibility of radically new computing services which can share information and communicate with others on the move. In this situation, prior studies have attempted to identify of what factors make people use mobile internet. However, prior researches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factors affecting users' adoption to Mobile Internet. In order to offer beneficial materials to mobile internet companies, we investigated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mobile users' value from the viewpoints of customer.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progressed how characteristics of mobile contents affect users' intrinsic attributes and how perceived users' network effects affect users' value in the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To empirically test proposed hypotheses, we have analyzed 285 survey data gathering from mobile internet users and verified hypotheses by using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content accessibility and content quality have significant impacts on users' intrinsic attributes such a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In addition,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were positively related to users' emotional value. Moreover, this study found that perceived users' network effects could affect users' monetary value by mediating expected benefits. Based on our findings, we can understand that this perspective can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obile users' value adoption by bridging the gap between mobile internet studies and actual practice.

  • PDF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온라인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Ex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Attitude toward Online Community)

  • 김종원;김은정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15
    • /
    • 2005
  • 본 연구는 개인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개인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 관계를 살펴본다. 현재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커뮤니티에 대해 총 252명으로부터 실증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검증결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에, 지각된 즐거움은 지각된 유용성과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태도에 지각된 유용성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스마트폰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Smartphone)

  • 이문봉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39-149
    • /
    • 2011
  • 스마트폰은 PDA와 같은 고급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전화로서 대표적인 컨버전스 기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사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를 통해 사용 의도의 독립 변수로 주관적 규범, 혁신성, 인지된 사용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유희성과 비용의 적정성을 설정하여 연구 모형을 구성하였다.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289명의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설문 분석한 결과는 다음파 같다. 첫째, 주관적 규범, 혁신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유희성, 비용 적합성은 스마트폰 사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지된 사용용이성은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용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지된 유희성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메일의 사용의도: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Use Intention of Mobile Mail: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Japan)

  • 이명무;김윤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5-43
    • /
    • 2010
  • The speed and magnitude of mobile phone adoption is a recent worldwide phenomenon akin to those of the television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and the Internet in the late 20th century. During the 2000s, mobile phone adoption was exploded and subscriptions reached 3 billion around the globe. Korea and Japan have been ahead of the rest of the world in introducing new handset and service capabilities. They were the first markets to launch 3G services and are currently the only markets to have achieved mainstream adoption of 3G with over one-third of customers in both markets subscribing to 3G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sociated with mobile mail by presenting findings from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perceptions and uses of the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Of the characteristics that make up the mobile text-messaging service in Korea, a person'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 attitude. Among the characteristics that make up a person'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 intention. And use attitude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use intention. But, of the characteristics that make up the mobile text-messaging service in Japan, a person'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 attitude. Among the characteristics that make up a person'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 intention. And use attitude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use inten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elecommunications research by delineating the various stimuli to consider for successful technology acceptance in a global setting, which can account for differential impacts across reg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assist telecommunications operators in formulating an effective region-specific strategy when launching a wireless data service in a particular environment.

이러닝에서 사회성, 사용용이성, 유용성, 즐거움이 수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관점- (Study on the Effect of Sociability, Ease of Use, Usefulness, Enjoyment on Acceptance Intention in e-Learning -A Perspective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이종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17-42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수용모델, 동기이론, 사회적 반응 이론을 적용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관점에서 이러닝 수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각된 사회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 그리고 이러닝 수용의향으로 구성된 이론모형을 개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은 모두 이러닝 수용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이러닝 수용의향 결정요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사회성은 이러닝 수용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각된 유용성을 매개로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능형 개인비서(IPA)의 기능특성과 사용의도의 연관성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 김찬우;서창교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4호
    • /
    • pp.163-18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IPA focusing on funct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not only suggested strategic guidelines for the related business operators, it also helped identify the factors that will influence the intention to use an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centering o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IPA. Design/methodology/approach Accordingly, in an attempt to identify factors that will influence the intention to use th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we proposed a research model, together with a corresponding hypothesis, which incorporates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personalization, anthropomorphism, autonomy, communication ability, contextual offer) and perceived enjoyment of th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into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of this research, we hav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individuals who have used an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as target. And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215 copie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e have carried out a path analysis using the PLS structural equation. Finding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of the IPA functional characteristics, persona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utonomy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lso, communication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and anthropomorphism and contextual offer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and turned out to be major factors that increased the use intention of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유행혁신성과 정보혁신성에 따른 스마트의류 수용 (Acceptance of the Smart Clothing According to Trend and Information Innovation)

  • 노미진;박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50-363
    • /
    • 2011
  • 본 연구는 스마트의류에 대한 고객의 수용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즐거움, 신뢰, 사회적 영향력이 스마트의류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소비자특성을 유행혁신성과 정보혁신성으로 분류하여 조절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체측정을 위한 센서기반 스마트의류에 대한 자극물을 제시한 후, 정보기술에 대한 선두집단인 20대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고, 256부의 설문을 회수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의 류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즐거움이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즐거움, 신뢰, 사회적 영향력과 유행혁신성과의 상호작용은 스마트의류의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즐거움, 사회적 영향력과 정보혁신성과의 상호작용은 스마트의류의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센서기반 스마트의류 관련 연구와 관련 업체들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