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pper seed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산(韓國産) 각종(各種)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에 관(關)한 연구(硏究) (Fatty Acid Compositions of Varying Seed Oils of Korean Origin)

  • 모수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8권2호
    • /
    • pp.19-26
    • /
    • 1975
  • The role of fat is important from nutritional standpoint.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fat are energy yielding as well as the carrier of fat soluble vitamins, with special activities of essential fatty acids. It is fortunate that Korean families prefer to use vegetable oils rather than those from animal origin. But the problems are focused on better qaulity of food oils with attempt to exploit the available resourc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evestigate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Korean origin both from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resources of gas-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total lipid contents of seeds of red pepper, Korean squash, sesame, perilla (var Japonica), and Korean pine nuts and walnuts were 24.3%, 56.6%, 56.4%, 46.9%, 69.8%, and 67.2%, respectively. 2. The saponification numbers of samples ranged from 190 to 200. It showed that the mean molecular weights of fatty acids composing the lipids were very much closed each other. 3. Iodine numbers of varing seed oils ranged from 96.5 of Korean squash seed oil to 124.6 of walnut oil. Oils obtained from squash seeds and sesame seeds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 while others ranged from 122 to 125. 4.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squash seed oil was composed mainly of unsaturated fatty acids, 74.9% of which was oleic acid, whereas red pepper seed oil, pine nut oil, and sesame oil contained linoleic acid as a major component showing 64.4%, 56%, 48.8%, and 47.8%, respectively. In perilla seed oil, the amounts of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were 14.1% and 58%, respectively which meant nearly three-fourths of the total fatty acidsbeing the unsaturated essential fatty acids. This study will encourage the use of these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vegetable oils which have highr ratios of polyunsaturated to saturated fatty acids.

  • PDF

품종 및 건조방법에 따른 고추씨기름의 산화안정성과 기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ies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Korean Red Pepper Seed Oil upon Species and Dried Methods)

  • 김복자;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0-387
    • /
    • 1998
  • The stability of red pepper seed oils during storage at 20${\pm}$3$^{\circ}C$, 40${\pm}$3$^{\circ}C$ and heating at 140${\pm}$3$^{\circ}C$ or 180${\pm}$3$^{\circ}C$ were measured to evaluate red pepper seed oil as a cooking oil. Two species of red pepper seeds (native, improved) were dried by either sunlight or heating to prepare the oil samples of NS (native, sunlight-dried), IS (improved, sunlight-dried), NF (native, heated), and IF (improved, heated). During storage at 20${\pm}$3$^{\circ}C$ or 40${\pm}$ 3$^{\circ}C$, acid values (AV) of all red pepper seed oils were higher than that of soy bean oil (SBO), however, peroxide values (POV) were similar to SBO. Antioxidative stability of NS was better than SBO but IF was not. By the heat treatments at 140${\pm}$3$^{\circ}C$ or 180${\pm}$3$^{\circ}C$, NS was identified to have better antioxidative stability than SBO and IF was the lowest. In sensory evaluation of each deep-fat fried potato-chip at 180${\pm}$5$^{\circ}C$, potato-chips fried in NS were better than that of SBO for color, taste, and flavor. NS-fried potato-chips got the highest score in overall acceptance (p<0.05), however, those of IF showed little acceptance. When blended oils (SBO: NOS, 0, 25, 50, 75%) were used, 50% blended oil was the best for taste, color, flavor, cripness, and total acceptance.

  • PDF

Rhizoctonia 및 Pythium 모잘록병에 대한 Serenade 제제의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Serenade Formulation against Rhizoctonia and Pythium Damping-off Diseases)

  • 조은주;강범관;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0권3호
    • /
    • pp.201-205
    • /
    • 2014
  • Rhizoctonia solani와 Pythium ultimum에 의한 모잘록병은 대부분의 작물에서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여 종자와 유묘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Serenade 제제(1.34%, SC)의 Rhizoctonia 및 Pythium 모잘록병 방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병원균 접종 토양에 파종된 고추와 오이에 Serenade 제형 9배, 19배 및 39배 희석액을 관주 처리하였다. Serenade 제제를 9배 및 19배 희석액으로 처리하였을 때, 고추의 Rhizoctonia 모잘록병에 대한 Serenade 제제의 방제효과는 각각 58%와 29%이었다. 그리고 오이에서도 고추의 Rhizoctonia 모잘록병과 유사한 각각 54%와 28%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오이 Pythium 모잘록병에 대한 Serenade 제형의 방제효과는 Rhizoctonia 모잘록병에 비하여 아주 낮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고, Serenade 9배 희석액으로 처리한 고추의 Pythium 모잘록병에 대해서만 무처리구와 유의성 있는 발병도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erenade 제형은 Rhizoctonia 및 Pythium 모잘록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생육시기 및 부위별 고추의 항산화력 및 항암 Lunasin peptide의 동정 (Antioxidant Activity and Identification of Lunasin Peptide as an Anticancer Peptide on Growing Period and Parts in Pepper)

  • 권기수;박재호;김대섭;정진부;심영은;김미숙;이희경;정규영;정형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28-535
    • /
    • 2005
  • 부위간의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은 과육은 종자 보다 높았고 생육시기간에는 후기가 초기에 비하여 높았고, Xanthine oxidase 억제활성은 종자와 과육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동정된 항 산화물은 대부분이 지방산 및 페놀성 화합물로, 과육 및 종자가 성숙 될수록 1-eicosanol, palmit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등의 지방산 및 benzonitrile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시료 채취 시기간의 POD활성은 과육은 성숙중기에 높았으나, 종자는 성숙이 경과될수록 낮았다. SOD 활성은 과육은 생육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종자는 성숙할수록 낮아졌다. 고추종자 단백질은 western blot에 의하여 lunasin이 동정되었고, 개화 후 5주부터 lunasin 생합성 되었다. 고추 종자내의 100nM lunasin 펩타이드는 종양유발 유전자가 전이된 $2\~12$ 세포의 콜로니 형성을 억제시켰으며, 결과적으로 고추 종자내에는 암 예방적 특성을 갖는 lunasin peptide가 존재한다.

고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apsicum annuum Ethanol Extracts)

  • 김헌중;홍충의;남미현;하영민;이광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27-732
    • /
    • 2012
  • 고추(Capsicum annuum)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 측정을 통하여 기능성식품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과육보다는 씨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풋고추 과육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에서 $SC_{50}$값은 홍고추 씨 $1,935{\pm}162\;{\mu}g\;DM/mL$, ABTS radical 소거활성에서는 $SC_{50}$값이 풋고추 씨 $3,354{\pm}76\;{\mu}g\;DM/mL$로 과육에 비해 높았다.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 억제활성은 풋고추와 홍고추 씨, 풋고추와 홍고추 과육 순으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풋고추 과육, 홍고추 씨, 홍고추 과육, 풋고추 씨 순이었다. Tyrosinase 억제활성은 홍고추와 풋고추 씨, 홍고추와 풋고추 과육 순이었다. 종합해보면 기능성식품 소재로서 홍고추 씨 및 풋고추 씨가 과육보다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한국산 고추와 참깨에 발생하는 Alternaria의 종류와 이들의 진균독소 생성능력 (Incidence of Altermaria Species in Red Pepper and Sesame from Korea and Their Ability to Produce Mycotoxins)

  • 이향범;유승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
    • /
    • 1995
  • Alternaria alternata and A. solani were identified from 130 Alternaria isolates obtained from red pepper fruits, and three species including A. alternata, A. sesami and A. sesamicola were detected from 150 isolates from sesame seeds. Among the 4 Alternaria species, A. alternata was the predominant fungus from both plants, having incidence of 95.4% in red pepper and 56.0% in sesame. Of the total 280 isolates, cultures on autoclaved rice of 75 isolates were tested for toxicity to 21-day-old virgin female rats. Out of 50 isolates of A. alternata, 17 were lethal to rats, inducing congestion and hemorrhage of stomach and intestine and kidney enlargement, and 8 caused lack of weight gain or weight loss. The other 25 isolates of A. alternat and all the isolates of A. sesami, A. sesamicola and A. solani, showed no significant indication of toxicity. Production of mycotoxins in the rice cultures of the above 75 isolates belonging to 4 species was analyzed. Alternaria culture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purified by using solvent partition, thin-layer chromatography,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Of the four species tested, all produced alternariol (AOH) and alternariol monomethyl ether (AME), three (A. alternata, A. sesami and A. sesamicola) produced alternuene (ALT) and altertoxin-I (ATX-I), and only A. alternata produced tenuazonic acid (TA). TA was produced by all of the highly toxic (lethal to rats) isolates of A. alternata, but not by any nontoxic isolates.

  • PDF

박과와 가지과 유전자원 종자의 항산화력 및 바이오 활성 화합물 함량 변이 (Vari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Bioactive Compounds Content in Cucurbitaceas and Solanaceae Seeds)

  • 김성겸;이상규;이희주;최장선;김진선;김수;이우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1권2호
    • /
    • pp.47-5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박과와 가지과 채소 종자들의 항산화력과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들의 함량 변이를 조사하여 고 함유 바이오 활성 화합물 채소 유전자원들을 선발하고, 이를 활용한 고부가가치기능성 상품 개발을 위한 과학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박과(수박, 호박, 여주와 수세미) 및 가지과(매운 고추, 단고추와 가지) 총 408 유전자원들에 대하여 항산화력과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들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수박과 호박 종자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19.9-343.8 및 $6.1-81.2mg{\cdot}100g^{-1}\;DW$이며, 수박 유전자형의 총 페놀 함량이 $160mg{\cdot}100g^{-1}\;DW$이상인 유전자원은 12%이었다. 수박과 호박 종자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각각 80 및 $41.3mg{\cdot}100g^{-1}\;DW$이었다. 매운 고추 종자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4.4-472.5mg{\cdot}100g^{-1}\;DW$였고, 평균은 $165.0mg{\cdot}100g^{-1}\;DW$이었다. 23개의 매운 고추 계통이 90% 항산화력이 있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단고추 종자의 항산화력은 35.9-90.3%이며, 항산화력이 82%이상인 유전자원은 23%였다. 가지의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8.1-642.0mg{\cdot}100g^{-1}\;DW$$14.2-1217.0mg{\cdot}100g^{-1}\;DW$이며, 항산화력,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함께 우수한 8개의 가지 유전자원을 선발하였다. 박과와 가지과 유전자원들의 종자에서 항산화력 및 생리 활성 화합물 함량의 변이가 높았다. 그리고 생리 활성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력이 우수하여 선발된 유전자원들의 종자를 활용하여 기능성 부가가치 상품들을 개발하는데 더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휘발성 기름함량 정량에 의한 신속하고 간단한 후추의 품질평가 방법 (Simple Rapid Quality Estimation Method in Black and White Pepper Grounds by Determination of Volatile Oil Content)

  • 이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2-356
    • /
    • 2009
  • 흑후추와 백후추 원두에서 HPLC에 의한 piperine 함량, 가열처리 전후의 시료에 대한 Soxhlet법을 이용한 휘발성 기름성분 함량, SDE(Linkens-Nikens typ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pparatus)법을 이용한 총 휘발성 물질 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흑후추와 백후추의 구성성분차이, 인도네시아와 인도의 산지 기후조건 및 품종 차이 등에 따른 편차는 인정되었으나 전체적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후추에서 맛의 차이는 맛 성분의 차이보다는 휘발성 물질의 함량 차이가 큰 영향을 미쳐 냄새를 일반적으로 맛으로 착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부터 상호간의 측정결과를 비교평가해 본 결과 일정 수준의 비례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현장의 품질관리 등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Soxhlet법에 의한 휘발성 기름 성분 함량 측정법을 후추의 중요한 품질평가 방법의 하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결과를 얻었다.

The effect of osmotic potentials on the temperature response for germination of pepper seed

  • Kim, Young Ae;Park, Sunyeob;Kim, Du H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16-216
    • /
    • 2017
  • Primed seeds germinate faster and uniformly, since these have already started imbibition and metabolism requiring to complete germination. Several factors such as solution composition, osmotic potential, and treatment duration affect seed priming response. Water potentials of priming solution and germination response of primed seed were investigated to clarify the effects different inorganic salt types and the duration. Pepper seeds were primed in osmotic solutions that were osmotic potential ranged -1.54 to -0.45 MPa in an aerated solution of polyethylene glycol 8000 (PEG; 17%, 22%, 27%), and inorganic salt solution of $KNO_3$, $K_2SO_4$, and $Na_2SO_4$ (100, 200, 300mM) in aerated condition. The seeds were treated at $20^{\circ}C$ for 4, 6 day (D) and stepwise duration combined concentration of 100mM (2 or 4 days) and 300mM(2 or 4days). After soaking treatment, seeds were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were dried to approximately 6% moisture content in dry chamber at $25^{\circ}C$. The germination of seed was characterized by ISAT rules at $20^{\circ}C/30^{\circ}C$ and $15^{\circ}C$. Total germination percentage (GP), mean germination time (MGT), germination uniformity (GU), germination rate (GR), and health seedling percent (HS) were calculated on the germinated seed in a 14-day period. Seed water potential (${\psi}$) was correlated with water potential of priming solution ($r^2=0.84$). The effect of seed priming on germination varies with inorganic salt and organic agents (PEG). Germination percentage (GP, 77 and 73%), GR (21.3 and $19.4 %{\cdot}day^{-1}$), and HS (58 and 52 %) was greatest and lowest MGT (4.2 and 4.8 day) when they were primed in 100mM $K_2SO_4$ (${\psi}=-0.45MPa$), and 100mM $KNO_3$ (${\psi}=-0.52MPa$) for 6 days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67% GP, $19.7%{\cdot}day^{-1}\;GR$, 18% HS, and 10.8 day MGT) in $15^{\circ}C$ chamber. Water potential less then -1.2MPa of osmotic solution resulted lower GP, GR and HS and in $K_2SO_4$ and $KNO_3$. However, stepwise treatment of water potential that changed solution as 100mM for 4 D + 300mM for 2 D or 300mM for 4 D + 100mM for 2 D) were not better than single concentration alone i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 PDF

저선량 감마선 조사에 의한 고추 역병 저항성 유기 (Induction of Resistance against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by Low Dose Gamma Ray Radiation)

  • 김재성;이은경;송정영;김홍기;이영복
    • 환경생물
    • /
    • 제18권1호
    • /
    • pp.47-51
    • /
    • 2000
  • Phytophthora capsici에 의한 고추 역병은 세계적으로 피해가 심할 뿐만 아니라 방제도 매우 어려운 병으로서 효과적인 병 방제를 위해 새로운 시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취지에서 감마선의 hormesis효과를 이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저선량 감마선 조사가 고추의 역병 저항성을 유도하는지 여부를 밝히기 위해 광복과 다복 두 품종을 공시하였다. 저선량 감마선은 두 품종 모두 조사선량에 관계없이 발아율을 크게 제고시켰다. 병 저항성 증대에 관한 분석시 품종간에 차이가 있어 감수성 품종인 다복에서 뚜렷한 증대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그 효과는 조사선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1,4 Gy조사구가 무조사구에 비해 뚜렷하게 저항성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4 Gy조사시 병 저항성이 가장 높게 유도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모든 실험에서 일관된 경향을 나타내었고, 통계 분석시에도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반면에 저항성 품종인 광복에서는 무조사에 비해 감마선 조사에 따른 저항성의 증가를 확인할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