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Relation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5초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의사소통 유형 및 아동의 성취동기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Relation among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 도금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39-155
    • /
    • 2008
  •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의사소통 유형 및 아동의 성취동기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구 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 23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및 Cronbach $\alpha$ 계수를 산출하였고,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중 여가활동 참여와 생활지도 참여가 아동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 중 개방형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중 여가활동 참여와 생활지도 참여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 중 개방형 의사소통 유형과 문제형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성취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아동의 교사관계 적응에는 아버지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교우관계 적응에는 성취동기가, 학교수업 적응에는 여가활동 참여가, 학교규칙 적응에는 성취동기가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방송대 간호학생의 교육요구 및 효율적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Education Need and Effective Network Formation for the KNOU Nursing Students)

  • 이상미;김영임;이선옥;근효근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36-248
    • /
    • 1998
  • This survey study was attempted for two purposes : 1) to grasp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KNOU) students' changing aspects for their education need through comparison analyses with 1996 data ; 2) to establish foundation of the systematic network formation by investgating students' opinion about network framework. Among randomly assigned 4,500 students, 1,505 KNOU nursing students who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mail. For the comparison 1996 data were also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dmission purposes of the KNOU nursing students were 'in order to get a bachelor's degree (70.7%)', 'to do studying and working simultaneously(43.0%)', or 'to be admitted for the graduate school (41%)' etc. Comparing the admission purposes by age, the investigator found 4 items which are 'small amount of tuition', 'graduate school admission', 'aspiration for the university', 'promotion or commencement of work'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4 items were also foun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y marital status. 2. In relation to the learning media, the study showed most students(74%) got effective informations from the school newspaper(36.5%) or peer group(37.7%). The result showed that few students (0.7%) used the computer for communication. The research indicated that KNOU nursing students have tendency to rely on printed materials more than on broadcasting media. This is almost the same result as that of 1996. 3. The results revealed that 12.4% of the respondents had ever experienced unregistration or temporary withdrawal. The most common reason for the unregistration was 'due to family affairs or their job (71.3%)'. There were no change for this aspects with 1996. 4. As for the professors-students network formation. The result revealed that 38.5% students among respondents had heard of the network formation. 78.7% of respondents, however, positively responed that they would willingly participate in the networking if it is made. Especially the students showed much interest in 'the improvement for the understanding of study' and 'strengthening of the relation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 PDF

백워드 설계 2.0을 활용한 '태양계와 별' 단원 수업이 과학 학업성취도와 수행평가 및 과학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Solar system and Stars' Unit Using Backward Design 2.0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Performance Evaluation, and Science Class Satisfaction)

  • 손준호;김현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7-161
    • /
    • 2020
  •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천문단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자 백워드 설계 2.0을 활용해 단원을 설계하고 적용해봄으로써 과학 학업성취도, 수행평가, 과학 수업 만족도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실험집단의 평균점수가 향상되었다. 수행평가 점수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과정 중심 평가를 통해 피드백이 잘 제공되면서 심층적인 이해를 도왔기 때문이다. 과학 수업 만족도 검사 결과, 과학교사 영역을 제외한 과학교육 과정 영역과 교우 관계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철저한 성취기준 분석을 통해 차별화된 과학과 교육과정을 설계하였으며, 성취기준 도달을 위해 다양한 학생중심의 교수·방법을 구현했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과학 수업에서 백워드 설계 2.0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 백워드 설계 2.0을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자아 및 사회자아의 영향요인 비교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between Multicultural and General children)

  • 오은진;성경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596-8607
    • /
    • 2015
  • 본 연구는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자아와 사회자아의 영향요인을 비교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초등학생 4-6학년 다문화아동 285명과 일반아동 223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2월 20일부터 5월 20일까지 3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enter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학업자아, 사회자아, 부모애착,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낮았고, 정신건강 수준도 낮았다. 다문화아동의 학업자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학습활동(${\beta}$=.298), 사회적 부적응(${\beta}$=-.218), 의사소통(${\beta}$=-.196), 신뢰감(${\beta}$=.167) 순으로 학업자아를 42.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친구지지(${\beta}$=.285), 교우관계(${\beta}$=.187), 사회적 부적응(${\beta}$=-.172), 우울요인(${\beta}$=-.139) 순으로 사회자아를 46.3%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학업자아와 사회자아의 영향요인들은 향후 학령기 아동의 자아개념 증진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치료전후 PAR지수와 두부방사선계측치의 변화 (The Treatment Change of PAR(Peer Assessment Rating) Index and Cephalometric Measurements in Class I Malocclusion Patients)

  • 김현혜;이기헌;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77-284
    • /
    • 1999
  • 제 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PAR지수가 교정치료기간 및 측모두부방사선 계측 항목과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100명의 교정 환자의 치료 전후 석고모형에서 PAR지수를 구하고,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12개의 계측치를 측정하여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료 기간은 발치 여부 및 치료전 PAR지수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2. ANB, FMA, FMIA, IMPA는 치료전 PAR지수와 치료전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치에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3. $\underline{1}$ to FP는 치료후 PAR지수와 치료후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치에서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overline{1}$ to FP는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4. $\underline{1}$ to SN, IIA, $\bar{1}$ to FP는 ${\%}\;PAR$와 치료전후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치의 변화량과의 관계에서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FMA, FMIA, WITS, UL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석고모형상의 치아관계에서 측정한PAR지수가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치 중 상하 전치와 관련된 항목과 연관이 있으며, 제I급 구치 관계를 보이는 환자중 ANB 값이 크고 hyperdivergent한 안모를 갖는 경우 치료전 PAR 지수가 큰 경향을 나타냄을 시사하였다.

  • PDF

간호사 인사관리 제도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Appraisal and Job Rotation of the Nurse In a General Hospital)

  • 권영희;이명하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425-44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evaluation of the nurse on the current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the need for future performance of the nurse and the opinions about the job rotation,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by obtaining basic data to improve personnel management of the nurse in a hosipial, the subject of the investig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self-reporting questionniare survey of 330 nurses working at C hospital located in Chonbuk Province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4. 1999 through May 14. The research used measuring instrument developed by researcher for evalution about the present performance appraisal. the need for the future performanc appraisal system and the opinion of job rotaio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mputerized using SPSS/PC+ program, calculated frequency, percentag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used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chi- square tes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As for the purpose of the current performanc appraisal, the appraiser recognized it as a security of promotion standard, while the employee saw it as a means for control as guidance and supervison of work. 2) With regard to use the result of the present performance appraisal, appraiser picked ambiguous appraisal standard, employees recognized unilateral evaluation of superior eliminated the participation of them as the highest priority. 3) In relation to the current criteria for promotion of the nurse, both appraisers and employees placed more weight on the length of clinical than performance appraisal score. 4) There is much possibility of the appraiser making an error to evaluate considering the length of performance appraisal. 5) Both appraisers and employees indicated that prospective result of performance appraisal should be used for the ability development & motivation of the individual. 6) Concerning employee's participation for performance appraisal both sides wanted by far more participation. 7) Regarding the most ideal appraisal method, both parties favored most the way added up the evaluation of the head nurse and peer review and followed by the manner the revaluation of the head nurse by considering self-evaluation. 8) As to the individual interview after the appraisal, more than 60% of appraisers responded it's not necessary, while above 88.5% of employees answered it is essential so that it i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 appraisers and the employees. 9) As far as open of the evaluation result is concerned. 75% of the appraiser were against it but 80% of the employee were for it so that it showed significantly between them. The most principal reason that the employee want is that it motivates the individual's ability development and the fairness of the appraisal increases. 10) Whether the periodical rotation is necessary or not, 80% of appraisers and employees answered it's necessary, however, over 70% of them did not want the rotation. 11) Work-group Cohesiveness level within the nursing unit was attentive different from desire of the rotation, that is, the work group cohesiveness level of nurses wanting rot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group not desiring it.

  • PDF

영재와 평재의 자기조절 전략에 미치는 요인: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Self-regulated Strategies: On Autonomy Support and Beliefs of Intelligence Ability of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 신민;안도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877-892
    • /
    • 2014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취 수준에 따라 세 집단(영재, 고성취 평재, 저성취 평재)으로 나누어 지각한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조절 전략 사용에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이들 변인 중 어떠한 특성이 자기조절 전략 사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집대상은 경기도 지역 영재학교 1개교, 고성취 평재와, 저성취 평재집단으로 분류한 일반 고등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자율성 지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조절 전략을 측정한 결과, 성취 수준과 또래로부터의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항상성 신념 및 자기조절 전략 중 부적응적 자기조절 요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 요인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성취 수준과 지적 능력에 대한 항상성 신념 및 자기조절 전략 중 부적응적 자기조절 요인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성취 수준에 따른 학생들의 자율성 지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조절 전략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또래로부터의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항상성 신념을 제외한 모든 하위 변인들에서 성취 수준이 높은 영재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자율성 지지를 제공하고,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 가능성 신념을 높여주는 것이 더 적극적인 자기조절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간호대학생의 진로동기, 유머감각, 문제해결능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eer Motivation, Humor Sense, and Problem-Solving Ability on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 최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09-116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동기, 유머감각, 문제해결능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 Y시의 간호대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0월 22일부터 10월 31일까지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정신건강은 평균 2.19±0.77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는 성별(F=2.219, p=.027), 학년(F=7.142, p<.001), 용돈(F=5.055, p=.007), 학교 성적(F=4.322, p=.014), 동료와의 관계(F=23.561, p<.001), 건강상태(F=21.555,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정신건강은 진로동기(r=-.443, p<.001), 유머감각(r=-.400, p<.001), 문제해결능력(r=-.465, p<.001)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β=-.121, p=.033), 용돈(β=.123, p=.028), 동료와의 관계(β=.165, p=.004), 유머감각(β=-.168, p=.012), 문제해결능력(β=-.186, p=.006)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3.6%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일반적 특성, 자신을 조절할 수 있는 심리적 요인, 학습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기술적인 요인을 확인하는 반복연구를 통해 정신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부모역할 만족도 및 배우자의 부모역할 지지와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자녀양육 행동 간의 관계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in Relation to the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Satisfaction as a Parent and Spousal Support in Parenting)

  • 이진선;정문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85-9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satisfaction as a parent, spousal support in parenting and their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The subjects were 321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their mothers. A revised version of the Mother-Father Peer Scale (MFPS; Epstein, 1983) was used to assess the mothers' child experiences. To measure parental satisfaction, the Parent Satisfaction Scale (PSS; Duke, Rose, & Halverson, 1997) was revised and used. A modified version of the Teamwork of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PAI; Abidin, 1988) was used to assess spousal support in parent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Child-rearing Behaviors Questionaire (Park, 1995) was used to assess the mothers' child-rearing practic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others who received a greater degree of independence encouragement and acceptance from their fathers tended to show more warmth/acceptance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than those who received a lesser degree of independence encouragement and acceptance from their fathers. Mothers who received a greater degree of independence encouragement from their own mothers tended to show more warmth/acceptance of their children but less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and rejection/restriction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when compared to those who received a lesser degree of independence encouragement from their own mothers. The mothers who received a greater degree of acceptance from their own mothers tended to show more warmth/acceptance of their children but less rejection/restriction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when compared to those who received a lesser degree of acceptance from their own mothers. 2) Mothers who had a greater degree of satisfaction as a parent tended to show more warmth/acceptance but less rejection/restriction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than those who had a lesser degree of satisfaction in parenting. 3) Mothers who received a greater degree of spousal support in parenting showed more warmth/acceptance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than those who received a lesser degree of spousal support.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 실천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성찰 연구 -참여실행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f Social Workers' Reflections on the Supportive Practice for Community Welfare Center Single Parent Self-Help Groups based on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 양혜원;최정숙;김희수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2호
    • /
    • pp.103-139
    • /
    • 2018
  •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 실천방안 모색을 위한 참여실행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사회복지사들이 참여실행연구과정에서 성찰한 내용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참여실행연구에는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 실천의 어려움을 공유한 사회복지사와 교수자 9명이 참여했고, 10회기의 연구모임을 통해 동료 수퍼비전을 비롯한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사회복지사들이 소속된 기관의 4개 자조집단 실천에대한 계획-실행-성찰-재계획을 반복하는 순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현장에 밀착된 다양한 실천방안이 도출되었는데, 그 중 핵심은 사회복지사의 인식이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실행연구에서의 성찰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인식이 변화된 것에 주목하고, 연구모임 녹취록 등 참여실행연구에서 생성된 자료를 활용하여 성찰의 구체적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조집단에 적합한 실천이 미흡했음을 깨닫고 고민함', '회원-사회복지사 관계에 대한 변화된 관점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사 역할을 다시 알아감', '당사자 주도 실천의 가능성을 확인함',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을 더 세밀하게 이해함',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의 발전을 새롭게 인식함' 등 5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을 중심으로 역량강화 실천과 성찰?반성적 실천에 대해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