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Relation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2초

교정치료 후 나타나는 재발 경향에 대한 정량적 평가와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연구 (Quantitative evaluation and affecting factors of post-treatment relapse tendency)

  • 손우성;차경석;정동화;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54-163
    • /
    • 2011
  • 본 연구는 교합 상태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 objective grading system (ABO-OGS)을 이용하여 교정치료 후 나타나는 재발 경향을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부산대학교, 경희대학교와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서 포괄적 교정치료를 받은 환자 중 치료종료 후 2년 이상의 유지기간을 갖는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초진 시(T1)의 peer assessment rating (PAR) index, 치료 후(T2)와 유지 후(T3) 시기의 ABO-OGS를 측정하여 T2와 T3 간의 변화 양상을 각 항목별로 측정하였고, 나이, 성별, Angle 분류, 발치 여부, 유지기간, 초진 시의 상태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2 시기와 비교하여 T3 시기에 ABO-OGS의 7개 항목 중 치아 배열(alignment)은 악화되었으며, 교합 접촉(occlusal contact)과 치간 접촉(interproximal contact)은 개선되었고, 나머지 4개의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유의한 회귀모형은 치아 배열(alignment), 교합 관계(occlusal relationship), 수평피개(overjet), 치간 접촉(interproximal contact) 항목이었으나, 회귀 모형들의 설명력이 낮았으며, 연령, 성별, Angle 분류, 발치 여부, 유지기간, 초진시의 상태(initial PAR index, T1)는 T2 시기와 T3 시기의 ABO-OGS 변화량을 설명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PAR 지수를 이용한 교정치료 결과의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orthodontic treatment outcomes and post-treatment changes by the PAR index)

  • 정수봉;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3-401
    • /
    • 2001
  • 교정치료의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에는 두부방사선계측이나 석고모형을 이용하는 방법등이 있다. 교합지수는 석고 모형을 이용한 평가방법 중 하나로, 교합 상태를 하나의 수치로 표현하기 때문에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계측이 객관적이며 교정치료의 결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표준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는 PAR지수를 이용하여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교정과에서 시행되는 교정치료의 결과를 평가하고, 교정치료 증례들의 교정치료 전과 추적 관찰기의 교합 변화를 평가하며, 교정치료 전후의 결과가 치료 전 증례의 Angle 분류와 상관성이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영구치열기에 교정치료를 시작하여 고정식 교정장치로 치료하였고, 교정장치를 제거한 후 최소 24개월이 경과한 I급 부정교합 9 증례, II급 1류 부정교합 8 증례, III급 부정교합 8 증례 등 총 25 증례의 교정치료 전, 교정치료 종료 시, 추적 관찰기의 석고모형을 대상으로 PAR (Peer Assessment Rating) 지수를 이용한 교정치료의 결과 및 재발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교정치료 종료 시 평균 85.05%의 가중된 PAR 점수의 개선을 보였으며, 이는 'high standard of treatment'에 해당된다. 2. 추적 관찰기에는 교정치료 전과 비교하여 평균 75.40%의 가중된 PAR점수 개선을 보였으며 교정치료 종료 시와 비교하여 추적 관찰 기간동안 9.65%의 가중된 PAR 점수의 증가가 있었다. 3. 교정치료 전 Angle 분류와 치료 전후의 PAR 지수 변화량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 PDF

수업에 대한 동료교사의 협의가 과학교사의 수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er Discussion about Classroom Practices on Science Teachers' Teaching)

  • 성숙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7-123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들이 함께 서로의 수업 동영상을 관찰하고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동료교사의 협의가 어떤 내용으로 이루어지는지 또한 그들의 과학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에 근무하는 세명의 과학교사가 1년 동안 1회의 예비모임과 5회의 본 모임을 가졌으며, 각 교사가 5차시씩의 수업을 녹화하여 총 15차시의 수업 동영상을 함께 모여 관찰하고 서로의 수업에 대해 반성적으로 협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모든 논의 내용을 녹음하였으며, 15차시의 수업 동영상과 6회의 협의는 전사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교사의 반성적 논의과정에서는 교수전략과 내용측면에 대한 협의뿐 아니라 교육과정 조직과 교수목표와 관련된 부분이 폭넓게 논의되고 있었다. 동영상 자료를 통해 수업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수업전략 측면의 변화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목표와 관련된 교육과정 조직 측면의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관찰과 동료교사와의 협의 과정을 통하여 교사는 수업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실현가능한 대안을 고민하게 되었으나, 이것이 실천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이를 직접 적용해보는 경험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동료교사의 수업관찰과 반성적 논의를 통한 수업개선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알게 되었으며, 이러한 방법이 학교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 필요한 방안들을 찾을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수업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많은 교사들에게 수업개선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 가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Exploration o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Adolescent Runaway)

  • 한상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273-29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가출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들의 문제행동 개입 과정과 양상을 분석함과 동시에 가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을 통해 가출의 의미와 원인, 최근 조사결과에 근거한 실태와 특징 등을 분석하고, 청소년 시기에 가출을 야기하는 위험요인(risk factors)이 무엇이며, 그리고 이들 위험요인에도 불구하고 가출로 인한 문제행동을 완충 또는 중재하는 보호요인(protective factors)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그 결과 먼저, 청소년 가출에 대해 이를 더 이상 청소년 개인의 문제로만 인식하지 않고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해야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부적절한 가정환경과 부모의 강압적인 양육행동, 부정적인 또래압력과 입시 스트레스 등이 가출의 주요 위험요인이라면 이들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 또는 중재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적극적 대처전략, 부모의 감시 및 통제, 자기 존중감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가출의 예방은 물론이고 가출 청소년들의 적응유연성(resilience)을 향상시킴으로써 비행 및 재 가출을 차단할 수 있는 처치 가능성을 높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서울시내(市內) 여중고생(女中高生)의 화장품(化粧品) 소비실태(消費實態) 조사연구(調査硏究) (A Study on the Consuming Condition of Cosmetics of Femal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 조규화;전보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4권3호
    • /
    • pp.141-15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to adolescents' cosmetic culture by investigating and analysing the choices made by female students who have been becoming principle consumers of cosmetics these days. Firstly,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concepts of N generation, and then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powers of female students were reviewed. And this study also included questionnaire surveys of 500 femal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Data were processed using a SPSS$^+$ program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and the $X^2$-test. The major findings run as follows: Female students have the effects of spreading their words quickly and abilities of making a decision what to buy. And they accept consuming behaviors itself as a part of cultural lives. Therefore, industries have acknowledged them as new principal consumers with a powerful influence in the market. They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active consumer as emotional generation who has distinct personalities and prefer fashion trends, changes and innovations. They show conformities with their peer groups and they also want to identify themselves with characters or stars. The cosmetic behaviors of female students relat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to grades, majors, school groups and places of residence. Female students have a lot of interest and knowledge about cosmetics. And they use various cosmetic product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age for using make-up for the first time has been becoming younger more and more. Recently, female adolescents tend to use face powder, lip gloss, mascara and eye shadow. It is assumed that cosmetic purchases of female students can be considered as an impulsive aspects. However, before purchases, the proportion of students having any particular cosmetic brand in mind previously has been increasing. They take into consideration skin safety, the quality of product and color, when purchasing cosmetic products.

  • PDF

연령, 성별, 사회측정적지위에 따른 아동의 자기능력지각과 부모의 책임지각 (Perceived competence of Children and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Parents Based on Age, Sex, Sociometric Status)

  • 이진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225-24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difference based on age, sex, sociometric ststus for perceived competence of children and difference about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degree of parents of these children. the content of study as follows. 1. How is the difference about perceived competence of children based on age, sex, sociometric status. 2. How is the difference about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children based on age, sex, sociometric status. 3.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mother.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hildren and their parents of 126 persons of the third grade, sixth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the second grade of S middle school, the second grade of S girls' middle school which are located in Pusan city. This study used a peer nomination among sociometric assesment method as sociolity assessment means,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of Harter(1985) as perceived competence assessment means of children and used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which amends fits for parents. the collected data are managed by SPSS/PC+ program. We analyze three-way ANOVA to verify study question No, one, two, analyze t-verification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s to verify study question No. three.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in investigating difference about perceived compretence of children based on age, sex, sociometric status, we can see that children perceive high, self-ability for low ages. Also, boys than girls, popular children than rejected children, neglected children perceive high self-ability. Second, in investigating difference about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children based on age, sex, sociometric status, we can see that mother perceive responsibilities in learning sphere, exercise sphere, the whole self-value sphere and father perceive responsibility only in social sphere. Third, in investigating 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father and mother, this shows that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father and mother is not showed ane have (+) interrelation of r=.46(P<.001) between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father and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mother.

  • PDF

성인 남성의 혈청 테스토스테론 농도와 전립선 특이항원의 관계에 대한 통합적 고찰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s of Serum Testosterone and Prostate-specific Antigen in Healthy Men: An Integrative Review)

  • 안경주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2권2호
    • /
    • pp.71-80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primary research explor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levels of serum testosterone and the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in healthy men without prostate diseases. Methods: An integrative review was conducted using the Whittemore & Knafle (2005) framework. The keywords, 'testosterone & prostate-specific antigen', 'testosterone & PSA' and 'healthy men' were used to search peer-reviewed publications in six databases. Among 1,959 searched articles, eleven articles were selected after excluding articles that do not meet inclusion criteria. Literature quality was moderate (Level 3).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nine articles that healthy adult men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testosterone and the PSA. Conversely, two articles presented that the serum PSA correlate positively with the testosterone. In particular, it is inferred that the effect of the serum testosterone and the PSA secreted into a 24-hour circadian rhythm with different amplitudes and slopes would have had great influence. However, it does not consider the factors affecting the testosterone and the PSA, such as race, liver disease, and BMI, so there is insufficient empirical data to clearly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stosterone and the PSA. Conclus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testosterone and the PSA in healthy adult men is in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 circadian rhythm of the testosterone and the PSA secretion. It is that a large-scale study including various influencing factors using new biochemical indicators such as pro PSA be conducted in the future.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부모됨의 동기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parent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

  • 마지순;박정환;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00-206
    • /
    • 2011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한 어머니 및 아버지 애착과 부모됨의 동기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W대학교의 부모-자녀관계론을 수강하는 대학생 223명이다. 연구도구는 부모애착(IPPA)와 부모됨의 동기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들은 아버지에 대한 애착보다는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부모됨의 동기는 전체적으로 평균보다 높았지만 성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들의 어머니와 아버지 애착은 부모됨의 동기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특히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애착 중 의사소통과 신뢰감 애착이 높을수록 부모됨의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 부모교육은 대학생들의 부모됨의 동기를 높이기 위해 부모애착을 형성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미래의 부모가 되었을 때 자녀와 애착을 잘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Diabetes Mellitus Reduces Prostate Cancer Risk - No Function of Age at Diagnosis or Duration of Disease

  • Xu, Hua;Mao, Shan-Hua;Ding, Guan-Xiong;Ding, Qiang;Jiang, Hao-W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호
    • /
    • pp.441-447
    • /
    • 2013
  • Background: Prior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diabetes mellitus (DM) and prostate cancer risk have reported controversial findings. We examined this association by conducting a detailed meta-analysis of the peer-reviewed literature. Methods: A comprehensive search for articles of MEDLINE and EMBASE databases and bibliographies of retrieved articles published up to November, 2012 was performed. Method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the trials was based on the Newcastle-Ottawa Scaleq and the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ATA 12.0. Dose-response regression was conducted with SPSS 19.0. Results: We included 29 studies in the meta-analysis (13 case-control studies, 16 cohort studies), and found an inverse association between DM and prostate cancer (relative risk (RR) 0.84, 95% confidence interval (CI), 0.78-0.91). An inverse association was also observed in non-Asian populations (RR 0.81, 95% CI 0.76-0.87) and population-based studies (RR 0.80, 95% CI 0.77-0.91).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of the association between prostate cancer risk and the duration of DM (p=0.338), and risk seemed not related with the age of DM diagnosi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DM and prostate cancer, but without links to duration of disease or age of diagnosis.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s Career Maturity)

  • 조연희;이주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1호
    • /
    • pp.61-74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hild's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order to achieve our goals, the present study 1) analysed the differences in th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child, child's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child's sex, and 2) examin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child's career maturity on school adjustment. A total of 430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Gwangju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achievement child-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child's sex. Boys perceived their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as more achievement-oriented than girls. Second, child's career maturit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child and their school adjustment. Specifical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career maturity were found in all of the relations between sub-factors of child-rearing attitude(affection, autonomy, achievement, and rationality), and child's career maturi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utonomy and peer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n that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have both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child's school adjustment and child's career maturity are all very important factors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verse career programs to improve child's career matu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