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Effects

검색결과 633건 처리시간 0.028초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Effects of Individual Psychology and Family Variables on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 안수영;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3-176
    • /
    • 2009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또래관계의 양상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개인심리 및 가족요인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친구관계의 질, 또래괴롭힘, 자아존중감, 우울,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감독, 부부갈등의 척도를 구성하여, 서울시내 11개의 지역교육청에서 각각 한 개의 남녀공학 중학교를 선정하고, 2, 3학년 학생 1,4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1,397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또래관계 즉, 친구관계의 질과 또래괴롭힙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친구관계의 질은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높게 나타났고, 또래괴롭힘에는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보다 더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개인심리요인과 가족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먼저 남자 청소년의 친구관계의 질에는 부모의 감독, 자아존중감, 부모의 양육태도, 부부갈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 청소년의 친구관계의 질에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의 또래괴롭힘에는 우울, 자아존중감, 부부갈등,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감독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 청소년의 또래괴롭힘에는 우울,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부모의 감독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 :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Mother's Play Belief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 The Medi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 강주연;이진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53-46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에서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J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만 4~5세 유아 160명과 그 어머니 160명을 선정하였고,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 또래 유능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 놀이신념의 하위요인 중 '놀이지지' 신념과 유아의 놀이성, 또래 유능성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 놀이신념의 하위요인 중 '학습중심' 신념과 유아의 놀이성,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놀이지지' 신념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에서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놀이성이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놀이지지' 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을 높이고 이로 인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정적인 영향력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정 누리과정의 실효성을 위하여 부모와 지역사회의 협조를 강조하고 있는 바, 본 논문에서는 어머니의 놀이에 대한 신념이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추후 부모를 대상으로 한 놀이에 대한 인식전환 및 놀이참여 방법 등 놀이관련 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주변인의 영향에 따른 근로자의 음주 동기 및 음주 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tivation for Alcohol Use and Drinking Behavior of Employees by Social Pressure)

  • 김희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7-204
    • /
    • 2007
  • Purpose: This paper is to analyze motivation and behavior of alcohol use of employees, and effects of social pressure on alcohol use of employee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with 341 employees in Industrial Complex.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6, 2007 to July 11, 2007.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through Frequency, ANOVA, One-way ANOVA test. Result: Social motivation showed the highest mean among motivation of alcohol use, man showed higher mean than woman on confirmity motivation and affirmation motivation. Dangerous alcohol use showed the highest mean among behavior of alcohol use, man showed higher mean than woman on behavior of alcohol use. Effects of peer showed higher mean than effects of family, generally the more high effects of peer is, the more higher confirmity motivation, dangerous and dependent alcohol use showed. Conclusion: Therefore, to decrease alcohol use of employees must be prepared an alternatives to change drinking culture and recognition, and developed for working man and individual workplaces.

  • PDF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동료지지가 유방암 생존자의 건강행위와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Utilizing Smartphone Application Peer Support on Health Behavior and Body Mass Index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 박가은;이해정;김현열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50-561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utilizing Smartphone Application Peer Support (SAPS) on health behavior and body mass index (BMI) among overweight or obese breast cancer survivors (BC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non-synchronized design was utilized and 36 participants (experimental group 14, control group 22) were recruited from August 2017 to September 2018. Participants were 40~65 years old, overweight or obese, had completed primary cancer treatment within the 12 months prior to the study, and had not done regular exercise during the last 6 months. The 3-month SAPS consisted of exercise and diet education (once p/2 weeks), peer support (once p/week), and self-monitoring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5 times p/week). All participants underwent assessments at baseline, right after SAPS, and at 3 months after SAPS.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At the completion of SA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in motivation for exercise (t=-3.24, p=.005), physical activity (t=-4.15, p<.001), total calorie intake (t=3.42, p=.002), calories from fat (t=-3.01, p=.005), intake of vegetables (t=-2.83, p=.008), and BMI (t=5.21, p<.001). Significant differences in BMI (t=4.13, p<.001) remained up to 3 months after SAPS comple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as shown between groups in self-efficacy for exercise, either immediately after or 3 months after SAPS. Conclusion: The SAPS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motivation for exercise, health behavior, and BMI of BCS. However, special efforts are required to encourage participants to complete the intervention and maintain long-term effects for future trials.

유아의 기질, 부모의 양육방식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Parenting Style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Peer Interactions)

  • 이미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191-2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 부모의 양육방식,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의 5차년도(2012) 데이터 중 996명의 4세 유아 자료를 t 검증, 일원변량분석,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 중 사회성과 활동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적을수록 놀이방해를 많이 하였다. 둘째, 유아의 사회성기질이 강할수록 교사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할수록 놀이상호작용이 많이 나타났다. 여아는 어머니가 통제적 양육을 많이 할수록 놀이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 셋째, 유아의 정서성기질이 강할수록, 사회성기질이 약할수록 교사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적을수록 놀이단절을 많이 하였다. 남아는 아버지가 사회적 양육을 적게 할수록 놀이단절을 많이 하였다. 넷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그 다음 유아기질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의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 부모, 친구,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박은주;심우엽
    • 초등상담연구
    • /
    • 제4권1호
    • /
    • pp.285-310
    • /
    • 2005
  •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sinceitisthebasisofthefuture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topic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Is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fferent depending up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2) Is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fferent depending upon the peer relationship? (3) Is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fferent depending upo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school? (4) Is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fferent depending upon the grade, and sex? 460 students were sampled in Kangwon-do, and 400 were used in the final data analyses, excluding 60 due to the incomplete answering. Parent-child relationship inventory, peer relationship inventory, teacher-child relationship scale, and school adjustment scale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0.1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just themselves to the school better when parent-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re good. Second, teacher-child relationship has the most important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and peer relationship,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equentially. Third, 4th graders adjust to the school better than the 6th, 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terms of school adjustm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 were as below: First, teachers need to underst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s depend upon their human relationships especially up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Second, teachers need to understand students have more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the school when they grow older. Third, teachers have to keep the children positive peer relationship,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which are important in children's adjusting to the school. Fourth, future researches need nation-wide sampling and more systematized research design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 PDF

학교분위기가 중학생의 또래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hool Climate on Peer Victimization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김은영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26호
    • /
    • pp.87-111
    • /
    • 2008
  • 본 연구는 중학생의 또래폭력피해 실태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진행되지 않은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분위기의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고 그 상대적인 영향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서울지역에 있는 11개의 중학교를 편의표집 하여 선정된 중학생들이며 최종적으로 1,204부의 설문조사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피어슨의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중학생의 또래폭력피해 행위 중 언어폭력의 피해행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단계로 구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 모델보다 2단계 모델에서는 설명 변량이 19.6% 증가하였다. 또래폭력 피해 행위에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beta}=.130$), 학교건물의 유지보수(${\beta}=.067$), 교내환경의 안전성(${\beta}=.331$)의 변수들과 통제변수 중 성별과 경제력이 유의미한 변수였으며 전체모델의 23.0%를 설명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학교분위기를 개선시키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타심과 자기통제에 의한 또래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Verifying Moderated Mediation of Peer Relations Mediated by Altruism and Self-Regulation)

  • 허미정;노미화;최연실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9-4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mong adolescents, and to verify moderated mediation of peer relations mediated by altruism and self-regulation. Method: The study referred to the 2015 Annual Report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More precisely, report on the fourth year research process of the study cohort comprising 2,091 subjects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Overal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program and specifically, moderated mediation were verified by using SPSS Macro, as suggested by Preacher, etc. (2008). Results: As a result, firstly, the peer relation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mong adolescents. Secondly, altruism and self-regulation ha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betwee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 among adolescent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esteem a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by mediation of peer relations among adolescents and altruism and self-regulation agent is applied positive adjustment to further promote the peer relations and increas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Through these study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청소년의 부모친밀도, 부모감독, 또래압력, TV술광고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olescents' parental intimacy, parental supervision, peer pressure, and TV alcohol advertising on drinking)

  • 주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363-375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친밀도, 부모감독, 또래압력, TV 술광고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G시 8개 중학교 1~3학년 602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1일부터 5월 28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음주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또래압력, TV술광고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은 음주행위 정도를 14.4% 설명하였다. 둘째, 부모친밀도는 또래압력과 TV술광고를 통한 음주행위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감독은 TV술광고를 통한 음주행위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다중집단 조절효과에서 부모감독과 또래압력, 부모감독과 TV술광고의 경로계수가 집단간 차이가 있어 부분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음주행위를 줄이기 위해 또래압력으로부터 대처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과 건강한 음주문화를 유도할 수 있는 TV 술광고, 부모와 자녀 관계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 등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아동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사이버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검증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in Children)

  • 김상우;임소라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91-104
    • /
    • 202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eer attachment serves as a positive emotional resource for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In addition, we aim to present alternative programs to reduce school violence and promote positive peer attachment among children. Design: We utilized data from the 13th year(2020)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or this stud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by surveyors, and the total number of cases was 1,357. Results: First,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were confirmed. Second, it can be inferred that children with isolation in peer relationships may ultimately be more vulnerable to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as their interactions in cyberspace may also be undermined, highlighting the potential impact of social relationships on cyber violence victimization. Third, it can be observed that children with high levels of peer attachment are emotionally stable, even when exposed to school violence and cyberviolence victimization, which may enable them to regulate the degree of victimization they experience. Conclusion: School violence experience and cyber violence experience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in this relationship, positive peer attachment is a positive resource. Therefore,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in preventing and overcoming school violence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solutions based on this understa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