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iatric Care Unit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31초

어머니의 노래 들려주기 중재가 저출생체중아의 생리적 반응과 행동상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Intervention - Mother's Song' on Physical Response and Behavioral State of Low-Birth Weight Infant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박지선;홍경자;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98-206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저출생체중아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노래 들려주기 중재'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서울 시내에 소재하는 일개 대학병원의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대상자를 임의표출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로 총 48명의 영아중 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어머니의 노래 들려주기 중재를 제공받은 저출생체중아는 활력징후의 생리적 반응인 심박동수, 호흡수와 산소포화도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행동상태 점수는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즉, 노래 들려주기 중재를 제공받은 저출생체중아는 행동상태가 안정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오랜 기간 치료를 받아야 하는 저출생체중아를 위한 긍정적인 청각자극으로서 어머니의 노래 들려주기 중재를 활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중재를 통해 재원기간 동안 저출생체중아의 돌봄에 어머니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아와 부모 사이의 이른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동간호실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ontact Investigation for Twins With Congenital Tuberculosi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Myung Hwan Yoo;Kyoung Sim Kim;Yong Wook Kim;Eun Young Kim;Young Kim;Hae In Jang;Hyoung Min Cho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3호
    • /
    • pp.141-146
    • /
    • 2022
  • 목적: 선천 결핵은 비특이적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진단이 지연되는 경우가 흔하다. 진단이 지연되면 함께 입원하고 있는 신생아와 의료 종사자에게 결핵이 전파될 가능성은 높아진다. 미숙아로 태어나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해 있던 쌍둥이들이 출생 후 63일, 입원 후 48일째에 선천 결핵으로 뒤늦게 진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쌍둥이들과 입원 기간 중 함께 접촉했던 신생아 및 의료 종사자들에게 결핵의 전파 여부를 조사하였다. 방법: 선천 결핵으로 진단된 쌍둥이와 접촉한 의료 종사자 24명과 신생아 35명을 대상으로 결핵 접촉자 검진을 실시하였다. 결과: 쌍둥이들과 접촉한 신생아 35명 중에서 Bacille Calmette-Guérin 백신 접종을 받았던 신생아 중 2명은 투베르 쿨린 피부 검사 결과 양성 반응을 보였다. 24명의 의료 종사자 중 4명은 쌍둥이와 접촉하기 이전에 이미 인터페론-감마 방출 분석(interferon-gamma release assay, IGRA) 검사 결과가 양성이었다. 이들을 제외하고 나머지 20명을 대상으로 IGRA 검사를 시행하였고 모두 음성이었다. 쌍둥이와 접촉한 모든 의료 종사자와 신생아들은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정상이었다. 결론: 선천 결핵이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발생되었을 때 드물지만 결핵의 전파가 가능하므로 접촉한 신생아, 가족 및 의료종사자에 대한 결핵 접촉자 검진은 반드시 필요하다.

Source Investigation and Control of Ralstonia mannitolilytica Bacteremia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Case Report

  • Dabin Kim;Min Hye Kim;Seul Gi Park;Sujin Choi;Chan Jae Lee;Young Hwa Jung;Chang Won Choi;Myoung-Jin Shin;Kyoung-Ho Song;Eu Suk Kim;Jeong Su Park;Hong Bin Kim;Hyunju Lee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1호
    • /
    • pp.33-38
    • /
    • 2023
  • Ralstonia mannitolilytica는 다양한 종류의 상수도에 퍼져 있는 그람 음성세균으로써 병원체로는 흔하지 않지만 골수염, 수막염, 균혈증, 패혈증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기회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저자들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발생한 R. mannitolilytica bacteremia 단일사례를보고한다. 재태주수 38주 6일에 2,770 g으로출생한환아는대혈관전위, 심실중격결손, 폐동맥협착이 있어 신생아 중환자실로 입실해 프로스타글란딘E1을 투약 받았으며, 생후 7일부터 간헐적으로 발열이 있어 감염을 배제한 후 체온을 낮추기 위해 가습기를 사용하였다. 생후 34일에 39.2℃의 고열이 있어 시행한 혈액배양 검사에서 R. mannitolilytica가 동정되었다. 이전에 R. mannitolilytica가 기관에서 검출된 적이 없었을뿐더러 항생제 치료에도 균혈증이 지속되어 환경 조사 및 의료기기에 대한 감시 배양를 시행하였다. 환아에게 사용한 가습기에서 R. mannitolilytica가 동정되었고, 가습기 사용을 중단한 후로 균혈증, 발열이 호전되었다. 이 증례는 새로운 또는 흔하지 않은 감염이 있을 경우 감염원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중요함과 적절한 항생제 치료에도 반응이 없을 경우 환경조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단일 3차 의료기관 집중치료실에서 발생한 다약제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의 4례 (Four Children with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or baumanii Infections in the Intensive Care Units of a University Hospital)

  • 이경석;이규민;윤회수;정사준;차성호;천희경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97-102
    • /
    • 2011
  • Acinetobactor baumanii 는 기회 감염균으로 carbapenem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MDRAB와 같은 내성균으로 출현하고 있다. 저자들은 경희의료원에서 carbapenem을 투약받지 않았더라도 집중치료실에 장기간 입원하여 기관삽관과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거나 침습적인 수술을 받아 도관을 유지하는 환아에서 MDRAB가 동정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arbapenem을 사용하지 않았더라도 장기간 집중치료실에 입원할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들에게 원내전파를 통한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내감염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기에 이상의 증례를 통하여 보고한다.

아동병동 간호사의 병원감염 표준주의에 대한 인지도와 이행도 (Study on Pediatric Nurses' Attitudes and Compliance with Hospital Infection Standard Precautions)

  • 신혜연;김경희;김기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4호
    • /
    • pp.238-246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diatric nurses' attitudes to,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in the prevention of hospital infections by enhancing their practice of standard precaution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6 nurses who worked in pediatric nursing departments of a general medical institution in Seoul. The questionnaire was a modification of Kim (2008) and consisted of 18 questions about hand wash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harps, linen and patient care equipment.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15.0 WIN. Results: Mean scores for attitudes to standard precautions and for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were 4.43 (${\pm}0.83$) and 4.22 (${\pm}0.44$) respectively.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3.368, p=.001). The nurses'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ge (F=8.705, p<.001), total clinical experience (F=9.426, p<.001), current department experience (F=6.555, p<.001), and education experience (t=0.616, p<.04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s to,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r=.156, p=.02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y on infection control and standard precautions for pediatric nurses are needed. Also these results should contribute to baseline data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clinical policy on infection control.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in pediatric patients with myotonic dystrophy type 1

  • Kim, Hyeong Jung;Na, Ji-Hoon;Lee, Young-Mock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2권2호
    • /
    • pp.55-61
    • /
    • 2019
  • Purpose: Myotonic dystrophy, also known as dystrophia myotonica (DM), is an autosomal dominant disorder with 2 genetically distinct forms. DM type 1 (DM1) is the more common form and is caused by abnormal expansion of cytosine/thymine/guanine (CTG) repeats in the DM protein kinase (DMPK ) gene. Our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age of onset is correlated with CTG repeat length in a population of pediatric patients with DM1. Methods: We retrospectively identified 30 pediatric patients with DM1 that underwent DMPK testing, of which the clinical data of 17 was sufficient. The cohort was divided into 2 subgroups based on the clinical phenotype (congenital-onset vs. late-onset) and number of CTG repeats (<1,000 vs. ${\geq}1,000$). Results: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ge of onset and CTG repeat length in our pediatric patient population. Based on clinical subgrouping, we found that the congenital-onset subgroup was statistically different with respect to several variables, including prematurity, rate of admission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eed for respiratory support at birth, hypotonia, dysphagia, ventilator dependence, and functional status on last visit, compared to the late-onset subgroup. Based on genetic subgrouping, we found a single variable (poor feeding in neonate) tha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large CTG subgroup than that in the small CTG subgroup. Conclusion: Clinical variables exhibi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ubgroups should be focused on prognosis and designing tailored management approaches for the patients; our findings will contribute to achieve this important goal for treating patients with DM1.

소아환자에서의 A군 사슬알균 혈류감염: 단일기관 연구 (Group A Streptococcal Bacteremia in Pediatric Patients: A Single-Center Study)

  • 김동섭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2호
    • /
    • pp.83-89
    • /
    • 2020
  • 목적: A군 사슬알균은 소아 환자들에 있어서 흔한 감염원으로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인다. 급성편도염이나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이 흔하며 상당한 이환율과 사망률을 동반하는 혈류감염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소아 A군 사슬알균 혈류감염 환자들의 임상양상과 치료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단일기관의 후향적 연구로, 200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A군 사슬알균 혈류감염으로 입원치료 받은 18세 이하 소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균혈증 발생시 임상양상, 기저질환, 중환자실 치료 여부, 그리고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19명에서 A군 사슬알균 혈류감염이 확인되었다. 10명(53%)이 남자였으며 연령의 중앙값은 7.4세였다(범위, 0.3-17.4세). 14명(74%)의 환자들이 만성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5명(26%)은 면역저하(백혈병 및 만성신질환) 환자였다. 8명(42%)이 림프낭종, 혈관종, 정맥 기형 등 림프관 및 혈관 기형이 있었으며 그 중 7명은 발열과 병변부 국소 염증소견이 있었다. 3명(16%)의 환자들에게 폐렴이 발생했고 이 중 2명은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았다. 환자들의 30일째 사망률은 6% (1/19)였으며 해당 환자는 균혈증을 동반한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모든 검출된 A군 사슬알균은 페니실린에 감수성을 보였다. 15균주(79%)는 에리스로마이신과 클린다마이신에 감수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A군 사슬알균 혈류감염이 발생한 소아 환자들의 임상양상을 분석하였다. A군 사슬알균은 소아에 있어 균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감염의 원인균으로 고려가 필요하다.

일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소아 환자에서 발생한 원내감염의 양상 (Pattern of Hospital-Associated Infections in Children Admitt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a University Hospital)

  • 김수남;원종복;조혜정;은병욱;심소연;최덕영;선용한;조강호;손동우;차한;전인상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2호
    • /
    • pp.135-142
    • /
    • 2011
  • 목 적 : 집중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에서 MDR-HAI이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소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MDR-HAI의 발생률과 연관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본원 환자실에서 3일 이상 입원치료 하였던 135명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원내감염을 MDR-HAI과 non-MDR-HAI의 두 군으로 나누어 각각 임상적 특징과 여러 연관인자들을 비교하였다. 결 과: 39명의 환자에서 45례의 중환자실내 원내감염이 발생하였다. 원내감염의 발생률은 중환자실 재원 1,000일당 47.7이었다. 45례 원내감염 중 36례(80.0%)가 다제 내성균에 의한 감염이었다. A. baumannii는 MDR-HAI군에서 더 흔하게 검출되었다(54.5% vs. 8.3%; P=0.007). 중환자실 입원 적응증 중 내과적 질환, 인공 호흡기 치료, 도뇨관 삽입, 이전 광범위 항생제 사용은 MDR-HAI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회귀분석 결과 이전 광범위 항생제 사용만이 MDR-HAI의 독립적 위험인자였다. 결 론 : 중환자실내 원내감염의 발생률은 이전에 보고된 것보다 높았으며, 이전 광범위 항생제 사용이 MDR-HAI의 독립적 위험인자였다. 향후 중환자실에 입원한 소아 환자에게 발생한 MDR-HAI의 정확한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진료실의 외래환자마취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OUTPATIENT ANESTHESIA AT DENTAL CLINIC FOR DISABL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박창주;정준민;김현정;장기택;이상훈;염광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25
    • /
    • 2004
  • 치과적 장애인이란 치과진료 시 치과의사에게 자발적인 협조가 힘든 사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 치과병원 장애인진료실에서 치료받은 치과적 장애인 환자들의 임상진료 실태를 마취과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장애인 치과치료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1999년 1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진료실에 내원한 장애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총 89명의 환자들에게 93건의 치과진료가 시행되었다. 환자의 대다수는 정신지체였고 전신마취 하 보존치료를 받았다. 주로 마취유도제는 thiopental, 근이완제는 vecuronium을 이용하였으며 산소, 아산화질소, enflurane을 함께 흡입시켜 마취를 유지하였다. 총 마취지속시간과 회복실 체류시간은 각각 $164.4{\pm}57.2$ 분과 $106.2{\pm}50.5$ 분이었고 회복 과정에서 심각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외래환자마취에 기반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진료실의 치료방침에 따라 특별한 문제없이 성공적인 마취가 가능하였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증가하는 장애인 치과치료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시설과 인력을 갖춘 보다 맡은 외래환자마취 센터의 필요성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Parental concerns about their premature infants' health after discharge from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questionnaire survey for anticipated guidance in a neonatal follow-up clinic

  • Cho, Ji-Yun;Lee, Ju-Young;Youn, Young-Ah;Kim, Soon-Ju;Kim, So-Young;Sung, In-Ky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8호
    • /
    • pp.272-279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ppropriate nursing information guideline according to corrected age, after investigating parents' concerns about the growth, development, and diseases of their premature infants after discharge from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Methods: The parents of premature infants (birth weight, <2,500 g; gestational age, <37 weeks) who went to a neonatal follow-up clinic after NICU discharge at Seoul St. Mary's Hospital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9, were asked with regard to their concerns about their infant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physical examinations, including body measurements and neurodevelopmental status at 4, 8, 12, and 18 months of corrected age,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in 390 infants. Results: The most common parental concerns were developmental delay, poor growth, and feeding and nutritional problems. Parental concerns about developmental delay, growth failure in improvement in body weight and length, and overweightness were high in specificity but very low in sensitivity. After NICU discharge, 30% of premature infants experienced infectious diseases before 18 months of corrected age, the most common of which was respiratory tract infection. Conclusion: For guiding of premature infants in outpatient day clinics after NICU discharg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parents' highest concerns, to educate them about the possibilities of growth and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ir infants and to provide them with handouts containing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especially respiratory inf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