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estrian Model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4초

보행자모델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건강검진센터 행위자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gent Efficiency Evaluation of Health Examination Centers Using Pedestrian Model Simulation)

  • 윤소희;권현주;김석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99-512
    • /
    • 2018
  • The application of analytical techniques for the rational determination of problems arising from management science and corporate management. In a way that is the opposite of the repair plan that can predict accurate results is increasing utilization of the complex-based analysis methodolog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pplication of physical space and the methodological utilization of the pedestrian model analysis that applied the simulation to the Health Checkup Center.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analysis and measurement for empirical research has confirmed that the efficiency assessment through the pedestrian model simulation can lead to an objective evaluation. Second, it seems to be able to reduce the queue through a change in the number of services of the low-pressure and the hearing laboratory, the recovery room with a high proportion of male disturbances and relatively long use time. The third, the spatial density analysis and the time required to reduce the density change in comparative analysis, and the spatial layout changes, the increase in the capacity of 80 people, approximately 16 minutes to shorten the process duration.

보행교통류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한 보행편의성 지표의 개발 및 분석 (Assessment of Pedestrian Comfort Levels Based on the Microscopic Features of Pedestrian Traffic Flow)

  • 이주용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99-509
    • /
    • 2016
  • 보행교통류의 통행은 다른 교통수단과 비교하여 더 미시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정해진 차선의 구분 없이 통행하므로 2차원적인 움직임을 보일 수 있으며, 자유로운 방향전환 능력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보행교통류의 편의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보행교통류의 미시적인 특성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만일 보행자만의 행태를 반영하여 편의성을 평가할 수 있다면 보행교통류의 통행 특성을 더 원활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행교통류의 특성을 반영하여 편의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들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로이탈도, 속도의 변화 크기, 그리고 충돌 횟수라는 세 편의성 지표를 통해 보행교통류의 편의성을 평가할 수 있음을 보였다. 각각의 지표들은 보행교통류의 고유한 통행 특성을 해석할 수 있으면서도, 교통류율의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함수 형태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교통유율이나 속도와 더불어서 LOS를 판단할 수 있는 보조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호교차로 횡단보도 보행량 추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Crosswalk Pedestrian Volume at Signalized Intersection)

  • 하태준;김정현;박제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1-134
    • /
    • 2003
  • 횡단보도의 안전성과 교통 소통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횡단보도 보행자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보행자사고 예측모형이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나, 기존의 예측모형에서는 횡단보도 보행자사고의 당사자에 해당하는 보행량이라는 변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보행량과 관련한 자료가 구축되어 있지 않고. 보행량 추정방법 역시 없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준년도 신호교차로 주변의 토지이용특성과 횡단보도 보행량을 조사하여 횡단보도 보행유출입량 추정모형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추정된 횡단보도 보행유출입량을 중력모형의 마찰계수와 구역간 조정계수, 그리고 대각횡단 보행비율을 적용하여 횡단보도 보행경로별로 보행량을 분포시킴으로서 목표년도(보행자사고 발생 시점 또는 장래)의 횡단보도 보행량 추정방법을 제시하였다.

한국인 표준체형을 고려한 보행자 더미 개발 (Development of Pedestrian Dummies with Korean Anthropometric Data)

  • 신동한;김광훈;손권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23-524
    • /
    • 2006
  • It is necessary to have a model that describes the anthropometry of the crash victim with a sufficient accuracy Koreans, however, do not have their own pedestrian dummies to be used in pedestrian collision tests. They have to use European and American dummies for their safety analysis. In this study scaled pedestrian dummies were constructed by using MADYMO. The dummies represent Korean average males and females aged from 25 to 29. The scaled Korean dummies and MADYMO human models were used to obtain and compare the pedestrian dynamic behaviors and injury criteria during the impact events.

  • PDF

Space Syntax Theory를 반영한 덩굴망기반 확률적 보행네트워크 배정기법 (A Vine-Based Stochastic Loading Technique in Pedestrian Networks Considering Space Syntax Theory)

  • 김종형;이미영;남두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1-79
    • /
    • 2016
  • 도시부 보행네트워크의 보행성 평가를 위해서 Space Syntax Theory(공간구문론)을 반영한 보행모형 구축이 요구된다. 공간구문론은 통합도를 도출하여 보행로의 중심성에 대한 정량적 평가지료를 제공한다. 보행모형은 이동성, 편리성, 안전성의 보행지표로서 보행성을 나타내는 정량적 판단근거를 제시한다. 그러나 보행네트워크에서 공간구문론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회전지체 반영을 위한 네트워크구축기법의 검토가 요구된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제안된 나무기반 Dial 알고리즘은 회전지체 반영을 위하여 네트워크확장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덩굴망기반 Dial 알고리즘과 공간구문론의 통합방안을 제시하였다. 덩굴망기반 Dial 알고리즘은 인접링크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회전지체를 포함하는 3단계 수행과정을 수행하므로 네트워크확장의 우회가 가능하다. 따라서 공간구문론의 축노드와 축노드가 만나는 시각교차점에서 회전지체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네트워크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시각거리와 물리거리를 일치시키는 측면에서 덩굴망기반 Dial 알고리즘이 활용이 필요하다. 도시부도로와 같이 보행이 복잡한 권역의 평가를 위해서 활용이 가능함을 향후 연구로 제시하였다. 특히 사례연구를 통해서 제안된 기법의 수행과정을 도출하였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 발생한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특성 (Neighborhoo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ffecting Pedestrian-Vehicle Crashes in School Zones)

  • 고동원;박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79-189
    • /
    • 2019
  • 한국의 교통 패러다임이 차량 중심에서 보행 중심의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보행자 안전 및 보행환경 개선의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한국의 교통안전 수준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따라서 보행자 안전 및 보행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서 제공하는 2013-2015년 차대사람 교통사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린이 보호구역 주변 근린환경과 보행자 교통사고와의 연관성을 지리정보시스템(GIS)와 공간계량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로요인과 대중교통요인 모두 어린이 보호구역 내 보행자 교통사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토지이용요인의 경우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모두 보행자 교통사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용도혼합도의 경우에는 보행자 교통사고 저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발밀도가 높은 경우에도 어린이 보호구역 내 보행자 교통사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자 다리 하체 모형의 차량 충돌해석 (Impact Analysis of a Pedestrian Lower Legform Model)

  • 김진곤;박용국;김정윤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52-56
    • /
    • 2012
  • Recently, the pedestrian protection regulations of Europe and Japan are becoming more string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rotection because each regulation has different test conditions such as dummy, impact speed and so on. In this study, we construct a finite element model of pedestrian lower legform impactor prescribed in EEVC (European Experimental Vehicle Committee) W/G 10, and performed a impact analysis between the impactor and the front end module of vehicle. The simulations are carried out by using LS-DYNA3D, which is a well-known nonlinear dynamic simulation software.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various impact location show the impact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legform.

Social Pedestrian Group Detection Based on Spatiotemporal-oriented Energy for Crowd Video Understanding

  • Huang, Shaonian;Huang, Dongjun;Khuhroa, Mansoor Ahmed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8호
    • /
    • pp.3769-3789
    • /
    • 2018
  • Social pedestrian groups are the basic elements that constitute a crowd; therefore, detection of such groups is scientifically important for modeling social behavior, as well as practically useful for crowd video understanding. A social group refers to a cluster of members who tend to keep similar motion state for a sustained period of time. One of the main challenges of social group detection arises from the complex dynamic variations of crowd patterns. Therefore, most works model dynamic groups to analysis the crowd behavior, ignoring the existence of stationary groups in crowd scene. Howev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unified framework for detecting social pedestrian groups in crowd videos, including dynamic and stationary pedestrian groups, based on spatiotemporal-oriented energy measurements. Dynamic pedestrian groups are hierarchically clustered based on energy flow similarities and trajectory motion correlations between the atomic groups extracted from principal spatiotemporal-oriented energies. Furthermore,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static spatiotemporal-oriented energies is modeled to detect stationary pedestrian groups. Extensive experiments on challenging datasets demonstrate that our method can achieve superior results for social pedestrian group detection and crowd video classification.

보행 점유공간을 이용한 보행자도로 서비스수준 분석방법론 개선 연구 (An Improved LOS Analysis Method for Pedestrian Walkways Using Pedestrian Space)

  • 전성욱;손영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8-179
    • /
    • 2016
  • 본 연구는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산정방법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행점유공간을 주 척도로 하고 기존의 방법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양방향 보행류에 따른 상충개념을 도입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 시 보행상충 공간을 산정하였으며, 방향별 보행자 수에 따른 상충공간과 평균보행시간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시간흐름에 따른 유효보도면적을 산정하여 시공간개념의 보행 점유공간을 통해 서비스수준을 재조정하였다. 산출된 보행점유공간은 0.68상태에서 용량상태를 보이며 이때의 보행교통류율은 80인/분/m로 산정되었고 추가적으로 보행점유공간을 크기순으로 나열하여 기울기가 변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서비스수준을 분류하였다. 서비스 수준별 통계적 검증을 수행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모든 서비스수준 범주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상충을 고려한 보행사고 노출 추정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Pedestrian Accident Exposure Estimation Modelconsidering Walking Conflicts)

  • 장일준;권남주;안세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4-63
    • /
    • 2023
  • 보행 교통사고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보행 및 차량 통행량을 정확히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보행량은 차량 통행량에 비해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기존 연구는 직접 조사, 가구통행실태조사 등을 통해 추정하였지만 이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정확도가 떨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cctv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고로 발전할 수 있는 보행자-차량간 상충을 보행사고 노출로 정의하였다. 대구 동성로 일대의 40개 구간에 모바일 cctv를 설치한 후,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음이항 회귀분석을 통해 보행사고 노출을 추정한다. 분석 결과 보행사고 노출 변수들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인다. 분석 결과를 통해 보행사고 노출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잠재적으로 보행사고 발생할 수 있는 구간을 도출하는 것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