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검색결과 2,333건 처리시간 0.031초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인기도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Popularity in Children)

  • 한성희
    • 아동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1-91
    • /
    • 1988
  • The present research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opularity and examined popularity variables for the prediction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children, 40 boys and 40 girls at age 5.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measured by the children's teachers with the use of the Social Competence Scale (Kohn & Rossman, 1972). Children's popularity and unpopularity were obtained from the subjects with the use of Moore's (1973) Sociometric Status Test. Teacher's estimate of the popularity of children was obtained with the use of Connolly & Doyle's (1981) Teacher Rankings of Popularity.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opularity (children's popularity, children's unpopularity, teacher's popularity). Teacher's estimate of child's popularity was the best variable with which to predict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econd best variable was children's popularity as measured by Moore's Sociometric Test.

  • PDF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A Pilot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the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 신지은;김경미;장문영;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2-54
    • /
    • 2020
  • 목적 :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Children; SPS-C)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로써, 도구의 결과 해석을 위한 표준점수를 제시하고 단축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SSP)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부산·경남 지역 소재의 일반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다니고 있는 일반 아동 만 3~5세 337명을 대상으로 표준점수와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도구는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와 단축감각프로파일(SSP)을 사용하였다.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의 표준점수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평균-1 표준편차, 평균-2 표준편차를 확인하였고,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와 단축감각프로파일(SSP)간의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다. 결과 : 아동감각처리척도의 총점에 대한 표준점수를 확인한 결과, 총점이 115~150점일 때 '정상', 105~114점일 때 '문제 가능성', 50~104점일 때 '확실한 문제'로 선별할 수 있다.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와 단축감각프로파일(SSP)간의 피어슨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총점 간의 상관계수는 .755로 강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아동감각처리척도(SPS-C)의 임상적 사용을 위해 결과 해석을 위한 표준점수를 제시하였고, 다른 평가도구와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여 만3~5세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기에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학령기 아동의 인터넷 중독과 가정환경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을 중심으로 - (Relationships among School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Family Environment and School Adjustment)

  • 김지영;류현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98-205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chool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and to explicit the relationship among the internet addiction, family environment and school adjustment.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40 students from 5th and 6th year children of five elementary schools in G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SAS program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χ² -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In the degree of the internet addiction were 10.0% of addiction group, 58.0% of intermediate group, and 32.0% of nonaddiction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environment score(F=25.09, p=.0001) and school adjustment score(F=34.46, p=.0001) regarding internet addiction degree. The relationship among internet addiction score, family environment score and school adjustment score revealed a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r=-0.32, p=.0001, r=-0.35, p=.0001).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 score and school adjustment score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r=0.52, p=.0001). Conclusion: The degree of school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has been found to be very high and correlated to the family environment and school adjustment. Therefor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 PDF

장기요양서비스 노인 주 부양가족의 가족부담감, 가족지지, 우울, 만족도 평가 (Relationship between Family Burden,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aregiver)

  • 이주영;김영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48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of family burden,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satisfaction among caregivers of the elderly.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were 126 caregivers of 5 elderly residing in institutionalized nursing homes in Seoul and Kyunggi. The research tool of this stud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on family burden,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satisfa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3 to April 30, 2008, and analyzed by C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the SPSS/WIN 14.0 program.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r=.65, p=.001) was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nd satisfaction (r=.68, p=.001) was perceived.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ere Family Support, which explained 38.2% of the variance of Satisfaction of Elderly Caregiver.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should develop programs and policie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aregivers for their family support. In conclusion, the study was done to give suggestions to improve caregiver satisfaction of the aged and to serve as a basis for policy strategies by examining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nursing facilities.

  • PDF

어머니의 신생아에 대한 지각,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 및 양육태도 (A Study on the Mothers Perception, Caring-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s Own Newborn Infants)

  • 강경아;김신정;손은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0권3호
    • /
    • pp.311-320
    • /
    • 2004
  •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erception of her own newborn, her caring-confidence level, and her child-rearing attitude; and to provide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nursing education programs on maternal newborn care. Method: Explorativ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159 married mothers of newborns from November 2003 to March 2004.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0.0 by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The mean scores of the mother's perception of her own newborn, her caring- confidence level, and her child-rearing attitude were .26, 3.13, and 3.43 respective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erception of her own newborn and her child-rearing attitud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caring-confidence level and her child-rearing attitude. Score of caring-confid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helper and history of delivery. Conclusion: Availability of helper and history of delivery significantly affected mothers caring-confidence. This in turn, along with mothers perception of her own newborn, enhance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Thus, an effective education for mothers should include these factors.

  • PDF

부모 애착,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가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Parental Attachment, The Impact of Parental Involvement in Learning on a Child's Perception of The Future)

  • 정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161-16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 애착,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각 변인들이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아동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었다. 한국아동패널 12차년도(2019년)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변수간의 상관분석을 위해 Pearson's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에 관한 부모 애착,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의 설명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애착,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 아동의 미래 인식의 모든 잠재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미래에 대한 인식에 관한 설명력은 '모' 신뢰감, '가정' 기반 참여, '부' 신뢰감, '모' 의사소통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아동이 미래를 긍정적으로 인식 하는데 있어 부모의 신뢰와 온화하고 따스한 분위기의 가정 기반 학습 참여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치매환자를 돌보는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이 건강지각과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aring burden of Caregivers who manage Dementia patients on the Health perception and Somatic symptoms)

  • 김순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427-440
    • /
    • 2018
  • 본 연구는 치매환자를 돌보고 있는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을 알아보고, 케어부담감이 신체증상과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요양보호사 174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였다. 자료분석은 t-test 및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였으며, 사후분석은 Scheffe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케어부담감은 "중상", 신체증상은 "중간"수준으로 나타났고, 건강은 좋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주관적 안녕감은 낮게 나타났다. 케어부담감은 신체증상(r=.157, p<.05), 신체증상은 지각된 건강과 양의 상관관계(r=.220, p<.01)를 보였고, 신체증상과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요양보호사 근무동기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연구결과를 근거로 요양보호사의 근무지에 따른 케어 부담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해보는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반복연구를 수행해 볼 필요가 있겠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및 직무효능감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Resilience, and Occupational Self- Efficacy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김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69-276
    • /
    • 2018
  • 본 논문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 및 직무효능감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단면연구이다. 2016년 12월 15일부터 12월 22일 까지 240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한 후 최종 20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일반적인 특성, Rosenberg Self Esteem Scale(CD-RISC), 직무효능감 등을 포함하였고, 기술적인 통계, t-test, Anova 분석,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 및 직무효능감은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회복탄력성은 직무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치위생과 학생의 직무효능감 향상을 위해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 및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치위생과 교과과정 및 비교과과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소아 및 청소년에서 버섯 유두 개수로 산출한 설 미뢰 밀도와 식습관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Fungiform Papillae (Taste Bud) and Eating Behavio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최현;배선재;이상용;이은혜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fungiform papillae count, which represents the density of taste buds, is related to eating behavio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The authors measured fungiform papillae count, height, and weight of 50 healthy children aged from 2 to 15. To evaluate the severity of anorexia, parents of the subjects answered modified version of Korean Children's Eating Behaviour Questionnaire (K-CEBQ). Children with weight of less than 50th percentile were assigned to low-weight group, while the others to high-weight group. Pearson's correlation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fied K-CEBQ score and fungiform papillae count. Results Low-weight children scored $29.8{\pm}9.1$, while high-weight children scored $24.5{\pm}7.1$. (p<0.05) on modified K-CEBQ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odified K-CEBQ score and fungiform papillae count was 0.503 (p<0.05) in low-weight group, 0.260 in high-weight group, and 0.339 (p<0.05) in total.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rrelations between modified K-CEBQ score and percentile of weight, height, or BMI. Conclusions Severity of anorexia was correlated to the density of taste buds, especially in children who weighed less than average. The analysis on each single question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high taste bud density had poor appetite not because of their inadequate digestive function, but because of their fastidious eating habit. Further study should be focused on finding out which specific aspect of appetite is related to the taste bud density.

재가노인의 COVID-19에 대한 스트레스와 자기관리 효능감 (Stress and Self-Management Efficacy of COVID-19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 홍인숙;조옥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383-392
    • /
    • 2021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이 인지하는 COVID-19 스트레스와 자기관리 효능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노인의 감염병 관리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을 위해 시도되었다. 13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COVID-19 스트레스 및 자기관리 효능감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 스트레스는 직업, 교육정도,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관리 효능감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COVID-19 스트레스는 자기관리 효능감과 정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하부영역 중 예방 및 가정관리 영역에서 정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과를 통해 재가노인들의 적절한 COVID-19 스트레스는 예방 및 가정관리 효능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OVID-19 대유행이 지속됨에 따라 시기별 변화와 대상자의 범위를 확대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