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vlova lutheri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7초

LED의 파장 및 광도, 공기주입이 Pavlova lutheri와 Phaeodactylum tricornutum의 최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 Wavelength, Light Intensity and Air Flow Ration on Optimal Growth of Pavlova lutheri and Phaeodactylum tricornutum)

  • 최보람;김동수;이태윤
    • KSBB Journal
    • /
    • 제28권3호
    • /
    • pp.170-17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optimum condition of Pavlova lutheri and Phaeodactylum tricornutum. Detailed studies were carried out on the effects of various wavelengths of light-emitting diodes (LEDs), light intensities and air flow rations. For the Pa. lutheri, cell growth rates and maximum cell concentrations were similar regardless of wavelengths and air flow rates. Among the different light intensities, cell concentration increased when light intensity of red LED increased. For Ph. tricornutum, red LED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light source, and light intensity of 3,100 Lux resulted in the most effective for the cultivation of Ph. tricornutum. Different air flow rates were tested to overcome shading effects due to denser cell concentration in the solution. Aeration of 0.8 vvm was determined to be the optimum aeration rate for the cultivation of Ph. tricornutum. Especially, five and two times greater cell concentrations of Pa. lutheri and Ph. tricornutum, respectively, were observed when air was applied.

고온기 배양에 적합한 Isochrysis와 Pavlova 종의 선정 (Selection of Isochrysis and Pavlova Species for Mass Culture in High Temperature Season)

  • 양성진;허성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43-350
    • /
    • 2012
  • Even though the microalgal species of Isochrysis and Pavlova are widely used as live food in bivalve hatcheries, they are difficult to culture in mass during the summer seas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species or strains of Isochrysis and Pavlova to produce good growth and high contents of fatty acids at temperatures over $30^{\circ}C$. Four species of Isochrysis (I. galbana KMMCC12, I. galbana KMMCC214, I. aff. galbana, and Isochrysis sp.) and four of Pavlova (P. lutheri, P. gyrans, P. viridis, and Pavlova sp.) were cultured at $25^{\circ}C$, $29^{\circ}C$, and $33^{\circ}C$, and then analyzed for specific growth rate and fatty acid composition. Microalgae were cultured in f/2 medium at 23 psu and continuous light of $80{\mu}mol$ photons $m^{-2}s^{-1}$. For the I. galbana, growth rates were highest at $29^{\circ}C$ and decreased at $33^{\circ}C$ to the level observed at $25^{\circ}C$. I. galbana (KMMCC12) and Isochrysis sp. cultured at $29^{\circ}C$ and $33^{\circ}C$, respectively, exhibited the highest growth rates of all Isochrysis species. In terms of fatty acids, I. galbana (KMMCC12) contained higher contents of PUFA and n-3 HUFA at $33^{\circ}C$ than did Isochrysis sp. For species of Pavlova, growth rates of P. gyrans and P. viridis at $29^{\circ}C$ and $33^{\circ}C$,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Pavlova species. In particular, P. viridis grew as well at $33^{\circ}C$ as it did at $29^{\circ}C$. However, P. lutheri and Pavlova sp. did not grow at $33^{\circ}C$. In terms of fatty acids, P. viridis cultured at $33^{\circ}C$ also exhibited higher contents of PUFA and n-3 HUFA, as compared to P. gyra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 galbana (KMMCC12) and P. viridis are suitable species for mass culture during the high temperature season.

북쪽말똥성게, Strongylocentrotus intermedius 유생에 대한 3종 규조류의 먹이효과 (Evaluation of Three Species of Diatoms for Rearing Larvae of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intermedius)

  • 이채성;백국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17-326
    • /
    • 1995
  • 북쪽말똥성게 유생기의 먹이효과를 알기 위하여 Chaetoceros calritrans, Pavlova lutheri 및 Isochrysis galbana의 3개 단독구와 이를 혼합 공급한(Chaetoceros + Pavlova, Pavlova + Isochrysis + Isochrysis + Chaetoceros) 3개 시험구 등 총 6개의 시험구에 대한 성장도, 생존율 및 발육 단계별 소요일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먹이 종류에 따른 유생의 성장은 8완기까지 Isochrysis+Chaetoceros의 혼합구, Isochrysis의 단독구 및 Chaetoceros의 단독구가 각각 $735{\mu}m$, $718{\mu}m$$701{\mu}m$로 성장이 좋았으며 Pavlova의 단독구는 642{\mu}m$로 저조하였다. 먹이 종류별 일간성장을에 있어서 유생초기(6완기) 에는 Isochrysis, 8완 초기부터는 Chaetoceros의 먹이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율에 있어서는 Chaetoceros의 단독구, Isochrysis+Chaetoceros의 혼합구, Isochrysis의 단독구 및 Pavlova의 단독구가 각각 $37.2\%,\;35.0\%,\;32.4\%,\;및\;18.4\%$로 나타났다. 북쪽말똥성게의 유생발육 단계별 소요일수에 있어 6완기 까지는 먹이종류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으나, 8완 후기까지의 소요일수는 Chaetoceros의 단독구가 24일째로 가장 빨랐고 Isochrysis의 단독구는 27일, Pavlova의 단독구 및 혼합구는 $30\~33$일이 소요되었다.

  • PDF

이매패류 먹이생물로 이용되는 미세조류 4종의 적정 배양환경조건 (Optimum Culture Condition on Four Species of Microalgae used as Live Food for Seedling Production of Bivalve)

  • 민병희;허성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5-41
    • /
    • 2015
  • 실험에 사용된 미세조류는 이매패류 종묘생산시 유생과 치패의 먹이생물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Chaetoceros simplex, Tetraselmis tetrathele 등 4종을 선정하였으며, 배양환경으로 수온 (20, 25, 30, $35^{\circ}C$), 염분 (20, 25, 30, 33 psu) 그리고 조도 (60, 100, $140{\mu}mol\;m^{-2}s^{-1}$) 를 서로 달리하여 4종의 미세조류에 대한 성장을 조사하였다. I. galbana의 성장은 수온 $20^{\circ}C$ 보다 $25^{\circ}C$에서 빠른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수온 $25^{\circ}C$일 때 일간 성장률은 염분 33 psu에서 0.413으로 가장 높았고, 20 psu에서 0.36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 < 0.05). 25 psu에서 일간 성장률은 0.383으로 30 psu 보다 낮게 나타났고, 20 psu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P < 0.05). 이와 같은 수온과 염분에 따른 미세조류의 성장률은 종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P. lutheri, T. tetrathele에서도 I. galbana의 성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C. simplex의 성장은 수온 $25^{\circ}C$ 보다 $30^{\circ}C$에서 빠른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수온 $30^{\circ}C$에서 일간 성장률은 배양 10일째 염분 33 psu에서 0.428로 가장 높았고, 20 psu에서 0.38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 < 0.05). 그리고 서로 다른 조도에서 배양한 미세조류 4종의 성장은 $100{\mu}mol\;m^{-2}s^{-1}$ 보다 $140{\mu}mol\;m^{-2}s^{-1}$의 조도에서 가장 빠른 성장을 나타내었다 (P < 0.05).

Growth Charateristics of Five Microalgal Species Isolated from Jeju Island and Four Microalgal stock Strans in Hatchery

  • Lee, Joon-Baek
    • ALGAE
    • /
    • 제17권2호
    • /
    • pp.117-125
    • /
    • 2002
  • Five microalgal species isolated from the Jeju coast and four microalgal stock strains in hatchery were cultu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adapation to extreme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alinity, water temperatue, adn nutrients. In case of salinity variation, Nitzschia sp. of Bacillariophyceae, Isochrysis galbana of Haptophyceae and Tetraselmis gracilis of Prasinophyceae showed optimum growth at the low salinity of 20 and 25 psu. Amphora coffeaeformis and Chetoceros simplex of Bacillariophyceae, and Pavlova lutheri of Haptophyceae adapted well at the relatively high salinities of 30 and 35 psu. However Phaeodactylum tricornutum of Bacillariophyceae and Chlorella sp. of Chlorophyceae showed euryhaline property In case of water temperature variation, most of all the species studied wer inhibited at 10℃. C. simplex, Nitzschia sp., p. tricornutum, Chlorella sp. and T. gracilis grew well at above 20℃. A. coffeaeformis, I. galbana and P. lutheri adapted also at the high temperature of 30℃. Each microalgal strain showed different growth rates and its maximum biomass. Generally microalgal populations from the Jeju coast grow well in relatively high salinity and high water temperature. Their growth were inhibited at low water temperature, but not likely affected at low salinity.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microalgal populations could not be affected by abnormally low salinity phenomena, which have happened occasionally around the west Jeju coast in summer and have led macrobenthic animals to mass mortality.

사육환경과 먹이종류에 따른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 유생의 성장과 생존 (Effects of Rearing Condition and Species of Microalgae on Growth and Survival of Larvae of the Sunray Surf Clam, Mactra chinensis)

  • 민병희;신효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3-310
    • /
    • 2010
  • 개량조개의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유생사육의 최적 사육환경과 먹이생물의 종류에 따른 유생의 성장 및 생존을 조사하였다. 수온에 따른 유생의 성장은 $18^{\circ}C$에서 $33^{\circ}C$까지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23^{\circ}C$ 이상에서는 사육 14일째 $230{\mu}m$ 이상 성장하였으나 $18^{\circ}C$에서는 $151.1{\mu}m$로 성장이 부진하였다. 염분별 유생사육 시 염분 30 psu에서 일간 성장은 $11.3{\mu}m$로 가장 빨랐고, 생존율도 65.8%로 가장 높았다. 개량조개 유생은 사육수 1 ml 당 10개체 이하의 밀도에서는 성장과 생존율이 양호하였으나 20개체 이상에서는 다소 성장이 늦어 유생의 사육밀도는 1 ml 당 10개체 이하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개량조개 유생의 빠른 성장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유생사육 최적 조건은 수온 $23^{\circ}C$, 염분 30-35 psu, 유생 수용밀도 1-10 개체/ml이었다. 유생사육 시 먹이생물은 미세조류 4종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Isochrysis sp. (green), Chlorella ellipsoidea] 을 혼합 공급한 실험구에서 빠른 성장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며, 먹이생물을 단일종만을 공급시 I. galbana와 Isochrysis sp. (green) 실험구에서 빠른 성장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었다. 따라서 개량조개 유생의 적정먹이는 I. galbana와 Isochrysis sp. (green)를 포함한 2종 이상을 혼합 공급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Estimation of Antibacterial Properties of Chlorophyta, Rhodophyta and Haptophyta Microalgae Species

  • Imran Bashir, Khawaja Muhammad;Lee, Jae-Hyeon;Petermann, Maike Julia;Shah, Abid Ali;Jeong, Su-Jin;Kim, Moo-Sang;Park, Nam-Gyu;Cho, Man-G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25-233
    • /
    • 2018
  • In this exploratory study, eight types of microalgae from different phyla (Chlamydomonas reinhardtii, Chlorella species, Haematococcus pluvialis, Porphyridium purpureum, Porphyridium cruentum, Isochrysis species, Isochrysis galbana, and Pavlova lutheri) were tested for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eight target pathogenic bacterial strains. The agar well diffusion method and broth micro dilution assay were conducted to estim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Microalgae cell-free supernatants, exopolysaccharides (EPS), water, and organic solvent extracts were used for inhibition analysis. EPS extracted from P. lutheri showed activity against Bacillus subtilis and Pseudomonas aeruginosa. Inhibition zone diameters of 14-20 mm were recorded on agar plates, while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in the broth micro dilution assay were $0.39-25mg\;ml^{-1}$. During this study, haptophyte microalgae, Isochrysis species, and P. lutheri extract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gainst most of the tested pathogenic bacterial strains, while most of the extracts were active against the important foodborne pathogen P. aeruginosa. This study showed promising results regarding important microalgae phyla, which will further aid research related to extracts and exploitation of bioactive metabolic compounds in the food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미세조류 3종의 먹이에 따른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유생과 부착치패의 성장과 생존 (Effect of Three Microalgal Species on Growth and Survival of Larvae and Spat of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 민병희;김병학;권오남;박흠기;허성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93-303
    • /
    • 2012
  • I. galbana, P. lutheri 및 C. simplex 3종을 먹이로 공급하며,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피조개 유생과 부착치패의 성장과 생존율 등을 비교하였다. 서로 다른 미세조류 3종을 단일 또는 혼합하여 먹이로 공급한 피조개 유생의 성장은 혼합 공급구에서 가장 빠르게 나타내었고, 단일 공급구 중에서 C. simplex 공급구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다. 또 유생의 생존율은 혼합 공급구에서 $27.4{\pm}5.3%$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고, 단일 공급구 중에서 C. simplex 공급구에서 $14.5{\pm}2.3%$로 가장 높았다. I. galbana, P. lutheri, C. simplex 3종을 단일 또는 동일비율로 혼합한 미세조류의 지방산 조성은 EPA의 경우 C. simplex에서만 $25.9{\pm}0.64%$로 나타났고, 다불포화지방산(PUFA)과 n-3 HUFA 함량은 C. simplex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이들 미세조류를 먹이로 공급한 피조개 부착치패의 경우 C. simplex 공급구에서 포화지방산과 AA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와 같은 C. simplex의 지방산 조성이 피조개 유생과 부착치패의 성장과 생존율의 원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단일종으로는 C. simplex가 가장 적합하나 3종을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이 더 좋은 먹이효율을 유도할 수 있다.

6종의 미세조류 추출물의 탈모예방 및 두피 개선 효과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Six Species of Microalgae Extracts on Hair Loss Prevention and Scalp Improvement)

  • 정민화;이수선;김현아;황혜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45-350
    • /
    • 2018
  •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6종의 미세조류 ; Phaeodacylum tricrnutum (PT), Chaetoceros gracilis (CG), Nanochloris oculata (NO), Pavlova lutheri (PL), Chlorella ellipsoidae (CE), and Scendedemus obliquus (SO)를 이용하여 탈모 예방 및 두피 개선효과를 살펴보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는 SO, CG, ST9 순으로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H 소거능 실험 결과, CG (6.6~42.1%), ST9 (26.0~44.0%), SO (7.8~44.3%)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보였다. 그외에도 세포증식실험에서는, SO가 인간표피세포주인 HaCaT 세포 증식을 촉진시켰으며, CG와 SO가 모유두세포주인 HFDPC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5-alpha reductase 저해능 실험결과, PT, CG, SO가 유의적으로 효소활성을 저해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 사용한 6종의 미세조류들 중, 항산화활성, 세포증식 효과, 5-alpha reductase 저해능을 보인 몇가지 조류들이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을 위한 제품개발에 좋은 원료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 자원조성을 위한 양식생물학적 연구 I. 난발생과 유생사육 (Biological Studies on Aquaculture for Resources Enhancement of Protothaca jedoensis I. Egg Development and Larva Reared)

  • 윤호섭;김정;최상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60-266
    • /
    • 2005
  • 살조개의 안정적인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온별 난발생, 먹이생물, 밀도에 따른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살조개의 발생가능 수은은 $15{\~}30^{\circ}C$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D형 유생에 이른시간은 $15^{\circ}C$에서 $30^{\circ}C$까지 각각 39.7, 31.2, 26.8, 26.2시간이 소요되었다 수온별 유생사육에서는 $30^{\circ}C$에서 성장과 생존율이 가장 양호하였다. 사육밀도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은 4${\~}$6 ind./ml의 밀도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먹이생물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은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Chaetoceros calcitrans를 혼합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먹이생물농도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은 $1{\times}10^4$ cells/ml에서 $218{\mu}m$$45\%$로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