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vement thickness design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7초

잔디주차장 시공을 위한 잔디블록 활용방안 (Practical Use of Vegetated Porous Pavement for the Construction of Grass Parking Lot)

  • 한승호;강진형;최준수;양근모;윤용한;구태익;김원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011-1015
    • /
    • 2009
  • The vegetated porous pavement can be installed as an alternative way to replace the traditional pavement, which contributes less to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in the urban area. This study aims to an investigation based on the shadow and pressure of the vehicle system, where the turfgrass get grown and the green block get constructed on the grassy parking lot. This study might achieve these conclusions, in the case of use 'green block' makes grass parking lot, plant a kind of 'zenith' and takes sod thickness 40 mm are more efficient for turfgrass growth in the early times. In the case of parking over 8 hours in a day, after 5 weeks turfgrass growth would come into reduce. So over 4 hours parking and after 9 weeks, we need consider to setting up green block in grassy parking lot. The grassy ground would get pressured by the vehicles' load and it would bring into some damage due to the load after 3 weeks. So we should put the grass's growth root point under the designed a top of 'green block' level. When the vehicle amounts and parking density is in a low level, it could b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

도시 근린 공원내 조경 포장면의 손상 정도에 관한 연구 -덕진(전주), 중앙(청주), 도산(서울) 공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amage level of Pavement For The Landscape Urban Community Parks - In case of Dukjin, Choongang, and Dosan Park -)

  • 신병철;권상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96-108
    • /
    • 1996
  • This study aimed at choosing the urban community parks such as D Kjin, Chungang, Dosan Park as the target place for this study, and at analyzing the damage level of the pavement surfaces focusing on the spaces and the materials. We devided the damage level within $1.5\times$1.5m grid int the grade from one to five points, and made use of the method of giving marks to get hold of the damage level of the pavement surfaces. Especially we took and analyze Duncan test for the spaces suffering severe damage. The result is as follows : 1. The damage of unenenness turned out to be a most excessive damage in the damage level according to the pavement materials in case of D kjin, and Chunggnag Park. Especially the concrete blocks proved to be the exessive damage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pavement materials, and the demolitional damage of the damage types to the most severe damage. The corner damage turned relatively out to be a heavy damage in case of Dosan Park in Seoul. 2. In the event of the damage level of pavement surfaces according to the spaces, the space which was made the more use of and which was the more concentrated, turned out to be the degree of the more excessive damage. 3. We took the Duncan test to verify the deference of the damage type between the spaces and the pavement materials of the target places for survey. The result of verification was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damage type between the corner and block damage itself in case of the enterance area and the square of D kjin Park in Ch nju, and that the damage level of the pavement materials proved to be the more execssive damage than that of the spaces. The corner damage of Chungang Park in Hj ngju, showed the same result as D kjin Park in Ch nju and the uneveness didn't have any difference of damage type in all spaces. In case of Dosan in Seoul, the damage of crevice, demolition, and pumping didn't have any difference of damage type and the damage of the cross area was the most high. In conclusion, we proposed that we should get hold of whether the cause of pavement damage is caused by the defect of materials of by the construction problem including the foundation, or the unsuitableness of the method for using the pavement materials, and also that we should take a sensus of the user type and should decide a suitable design load and the necessary thickness of the pavement materials. In this study, not only we aimed at the external damage of the materials, but we tried to propose rather reasonable and developed construction method by studying the material experiment, the foundation state, and the type of using the spaces and materials, and by examining into the fundamental damaged cause.

  • PDF

포스트텐션 콘크리트 포장의 시험시공 (Experimental Construction of Post-Tensioned Concrete Pavement)

  • 김동호;이현호;배종오;김기헌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135-136
    • /
    • 2009
  • 국내에서 처음으로 포스트텐션 콘크리트 포장의 시험시공이 2008년 10월 13일 수행되었다. 슬래브의 길이가 120m이며, 두께는 15cm의 폭 8.2m로 시공되었다. 본 시험시공을 통하여 포스트텐션 콘크리트포장(PTCP) 공법의 설계와 해석, 시공 등을 경험하였고 많은 실험데이터가 수집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였다.

  • PDF

AASHTO 설계법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체의 피로파괴준식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Failure Criterion for Asphalt Concrete Pavement Based on AASHTO Design Guide)

  • 김수일;이광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59-65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고속도로의 표준단면들을 포함한 포장구조 해석모델을 사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체의 피로파괴 기준식을 개발하였다. 해석 대상 모델은 쇄석 및 아스팔트 안정처리 기층을 갖는 2430개의 4충 포장구조로 하였으며, 각 모델의 물성을 공용성 한계를 PSI=2.5로 한 AASHTO 설계식과 다층 탄성해석 프로그램인 SINELA에 적용, 포장체의 통과예상 교통량과 아스팔트 콘크리트층 하단에서의 최대 인장 변형률과의 관계를 회귀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부터, 신뢰도 50%와 95% 수준의 파괴기준식을 제안하였다. 타 연구결과와 비교한 결과 신뢰도 95% 수준의 파괴기준식은 균열의 발생을 공용성 한계로 보는 기존의 피로 파괴기준식과 같은 정도의 교통량을 추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뢰도 수준에 따른 파괴기준식을 신뢰도 50%, 수준의 파괴기준식으로부터 간접 추정할 수 있는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 PDF

하중변환 알고리듬을 적용한 줄눈 콘크리트 포장해석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tructure Analysis Program for Jointed Concrete Pavement Applying Load Discretization Algorithm)

  • 윤태영;김지원;조윤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11
    • /
    • 2003
  • 최근 국내에서는 국내 여건을 고려한 설계법을 개발함과 동시에 이미 공용중에 있는 도로 포장의 성능향상을 위한 $\ulcorner$한국형 포장 설계법 개발과 성능개선 연구$\lrcorner$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ulcorner$하중변환 알고리듬을 적용한 줄눈콘크리트 포장 해석 프로그램$\lrcorner$은 이러한 연구의 세부분야인 콘크리트 포장 설계법 개발분야의 연구 결과로서 기본 프로그램 부분과 하중변환 부분으로 구분되어 구성되며, 기본 프로그램 부분에서는 판/쉘 요소, 스프링 요소 보 요소를 이용하여 줄눈 콘크리트 포장의 콘크리트 슬래브, 하부층, 다웰바를 모사한다. 하중변환 부분에서는 기존의 연속체 요소에 대한 하중변환 알고리듬을 수정/적용하여 요소망에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하중 조건을 해석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중변환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해석을 수행하는 등분포 하중 이외에, 집중하중. 온도하중, 자중 등을 고려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민감도 분석 결과 하중크기 및 위치와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가 포장의 거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Westergaard 계산식, ILLISLAB과 유사한 결과이다.

  • PDF

동상방지층의 구조적 평가를 위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Model for Structural Evaluation of Anti-Freezing Layer)

  • 이문섭;허태영;박희문;김부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5-32
    • /
    • 2012
  • 현재 도로포장 설계법에 따르면, 동상방지층의 두께는 지역별 온도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동결깊이에 의해 결정되며 동상방지층의 지지력은 설계에서 고려되지 않고 있다. 동상방지층을 도로포장체에서 구조층으로 고려할 경우에는 기존 도로포장층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다 경제적인 도로 포장단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상방지층의 지지력을 평가하기 위한 통계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동상방지층의 구조적 역할을 규명하고 동상방지층 구조적 평가 모형 개발을 위하여 2m 이하 저성토부, 절토부 및 절성경계부 등을 구분하여 포장 하부층에서 Falling Weight Deflectormeter(FWD) 시험을 계절별로 수행하였다. 본 시험은 동방방지층의 유무에 따른 지지력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동방방지층이 있는 구간과 없는 구간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본 시험결과, 동상방지층이 설치된 구간에서의 FWD 처짐량이 동상방지층 미설치 구간에 비해 0.4~82.6% 작게 측정되어 동상방지층이 포장체에서 지지력을 검증하였다. 다양한 FWD 처짐지수와 동상방지층 두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보조기층 파손지수의 차이값(${\Delta}BDI$)과 동상방지층 두께와의 상관도가 가장 높았다. 본 논문에서는 ${\Delta}BDI$값을 선형혼합효과 모형에 적용하여 동상방지층을 구조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얇은 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의 거동 평가 (Behavior Analysis of Ultra-Thin Whitetopping in Field)

  • 강장환;장진연;구한모;조윤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25-36
    • /
    • 2004
  • 국내 고속국도 및 일반국도의 약40%, 98%가 아스팔트 포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스팔트 포장의 주요 파손 형태는 러팅(rutting) 및 균열이다. 파손이 심한 아스팔트 포장에 공용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UTW(Ultra-Thin Whitetopping, 이하 중 신 콘)가 국내 도로의 유지보수 공법으로 적용될 수 있는가를 판단하였다. 본 논문은 경기도 폐도에 시험 시공된 중 신 콘 포장에서의 정적하중재하실험을 통하여 교통하중 및 환경하중 조건에 따른 중 신 콘의 거동 분석 결과이다. 콘크리트 두께를 50, 100, 150mm로 하여 두께에 따른 거동을 분석한 결과, 콘크리트 두께가 50mm일 때 콘크리트 하부에서 발생하는 인장 변형률이 급격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계절별 실험을 통해 포장 온도가 중 신 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중재하위치에 따른 거동분석 결과에서는 슬래브 중앙부와 줄눈부에서 약 25cm 떨어진 지점부터 하중이 재하될 때 중앙부와 줄눈부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고 이 때, 최대 인장 변형률의 75%까지 변형률이 발생함에 따라 줄눈간격 결정에 주의를 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포장가속시험기를 이용한 장수명 아스팔프포장의 공용성 평가 연구 (Performance Evaluation of perpetual Asphalt Pavements Using an Accelerated Pavement Tester)

  • 송서규;이정훈;이현종;황의윤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1-1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아스팔트 포장에 비해 설계수명을 2배 이상 증대시켜 보수주기를 증진하고 보수비용 및 사용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수명 아스팔트 포장에 대한 포장가속시험 (APT)을 수행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장수명 포장용 고강성기층 혼합물에 대한 기초적인 물성시험을 수행하였다. 포장의 지지력을 비교하고 피로 및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반 및 고강성 기층으로 구성된 총 4개의 시험단면을 건설하였다. 또한 일반 및 고강성 단면은 각각 얇은 단면과 두꺼운 단면으로 구성되었다. 다양한 교통하중에 대한 아스팔트 기층하단의 인장변형률을 측정하였으며 시험결과 고강성 단면의 인장변형이 일반단면에 비해 적게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층 단면이 얇은 포장단면에 대한 APT 시험결과 윤하중이 180,000회 재하될 때까지 균열은 발생하지 않았다. 기층단면이 두꺼운 포장에 대해 윤하중 90,000회 재하시 일반단면은 5.3mm, 고강성 단면은 3m의 소성변형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고강성 혼합물은 소성변형 및 피로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장수명 포장용 기층재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양한 구조해석 결과 일반 혼합물 대신 고강성 혼합물을 사용할 경우 포장의 하중지지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아스팔트층의 단면두께를 최소 5cm 이상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자전거도로용 롤러 전압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 방안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Methods of Roller Compacted Concrete Pavement for Bike Roads)

  • 이창호;김영규;김재규;박철우;이승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03-114
    • /
    • 2011
  •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절약과 $CO_2$ 발생량의 절감을 위해 자전거의 이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발맞추어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긴 연장의 신설 자전거도로 건설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 신설 자전거도로의 효과적인 건설을 위해 시멘트 수화 반응뿐만 아니라 골재 맞물림에 의해 높은 구조적 성능을 발현하고 간단한 시공절차와 적은 건설비용을 지닌 롤러 전압 콘크리트 포장을 도입하기 위해 적정 배합에 대한 강도 및 내구성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실내 연구를 통해 도출된 배합은 현장다짐에 따라 발현되는 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얇은 단면, 낮은 강도 등 일반 도로 포장과 요구되는 성능이 상이한 자전거도로의 적정 성능 및 공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공 방안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배합 및 다짐 조건에 대한 시험시공을 실시하여 코어 물성 검토, 육안관찰, 혼합물의 함수비, 다짐률, 전압률, 미끄럼저항성 및 평탄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전거도로 적용을 위한 롤러 전압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방안을 제시하였다.

투수성 아스팔트 포장에 대한 우려와 실제: 구조적 적합성, 홍수 완화 그리고 비점오염 저감 (Worries and Reality Regarding Porous Asphalt Pavements: Structural Integrity, Flood Mitigation and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 유인균;이수형;한대석;이상혁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4호
    • /
    • pp.272-278
    • /
    • 2016
  • 투수성 포장은 도시에서 불투수면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대표적인 저영향개발 (Low-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의 하나이다. 도시의 도로가 투수성 포장으로 바뀐다면 도시의 불투수면이 약 절반으로 줄어들고, 더 나가 지붕으로부터의 강수 유출까지 수용할 수 있다면 도로는 도시 물 순환 문제의 원인자에서 해결자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경험과 인식의 부족으로 투수성 포장을 적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도로 포장을 설계, 시공 및 관리하는 도로 기술자는 전통적으로 포장 구조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피하려 하고, 수자원 전문가는 투수성 포장의 도시홍수 저감효과에 대해서 의문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다양한 연구 결과를 검토하여 투수성 포장에 대한 역사와 최신 기술을 분석하였다. 최신의 투수성 포장 기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투수성 포장은 기존의 방법대로 설계해도 노상 약화와 동결 융해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가 없다. 둘째, 투수성 포장의 저수층 두께의 조절로 도시수문 설계에 직접 반영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다른 비점오염 처리시설에 비하여 수질처리 효과가 떨어지지 않는다. 특히 투수성 포장은 겨울철 제설제 사용을 저감하여 보다 친환경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