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tern unit

검색결과 1,079건 처리시간 0.033초

자돈의 일중 체온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Body Temperature of Piglets in a Day)

  • 이원현;정왕용;이상철;이상락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1-94
    • /
    • 2012
  • 본 실험에서는 자돈을 대상으로 비정상 체온의 판정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활용할 정상상황에서의 표피 (귀, 목, 머리) 및 심부 체온의 database를 구축하였다. 평균체중 46kg의 자돈 5두를 공시하여 $22.5{\pm}2.0^{\circ}C$로 설정된 이유 자돈사에 설치한 개별 케이지에 2주간 적응시킨 후, 귀, 목 및 머리의 피부온도와 심부 (피하지방) 체온, 그리고 돈사내 온도를 1 mm k-type 열전대와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Austin, Texas, USA)의 장치 (cDAQ-9174, NI-9214, 9214TB)를 이용하여 1분 간격으로 17일간 연속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체온 data는 24시간 단위로 통합하여 매 시간대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했다. 모든 측정 site의 하루 중 체온의 변화는 오전 6시에 가장 낮은 값으로 나타났으며 이후 점점 증가하다가 14시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그 후 익일 오전 6시까지 서서히 떨어졌다. 이런 변화 pattern은 외부온도의 변화와 일치하였다. 심부의 체온은 $35{\sim}39^{\circ}C$의 범위로 변화가 적은 반면에 목과 머리는 각각 $32{\sim}36^{\circ}C$, $30{\sim}36^{\circ}C$이고, 귀는 $29{\sim}36^{\circ}C$로 변화 폭이 컸다. 귀의 경우 가장 낮은 값은 자돈의 활동이 가장 적은 새벽시간이었으며, 새벽시간대를 제외한다면 귀, 목, 머리의 체온은 대체적으로 같은 범위의 온도 값을, 심부는 체온의 가장 근접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축적된 자돈의 표피 (귀, 목, 머리)와 심부 체온의 databse는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를 이용한 동물의 비정상 체온의 전자적 감지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방선균 Streptomyces chibaensis J-59 Xylanase의 정제 및 자일로 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s)의 생산 (Production of Xylooligo-Saccharides and Purification of Extracellular Xylanase from Streptomyces chibaensis J-59)

  • 주길재;이인구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4권
    • /
    • pp.111-122
    • /
    • 1996
  • Streptomyces chibaensis J-59 xylanase는 CSL 배지(1% corn steep liquor, 0.15% glucose, 0.1% $MgSO_4{\cdot}7H_2O$, pH 7.0)에서 1% xylan을 효소생산 유도물질로 첨가하였을 경우에 생산(0.83 unit/ml) 되었으나, xylose를 비롯한 각 종 탄소원을 포함하는 배지에서는 효소가 생산되지 않았다. S. chibaensis로 부터 생산된 세포외 xylanase를 $(NH_4)_2SO_4$ 분획침전, DEAE-Sephadex A-50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G-200 gel filtration 과정으로 약 29%의 수율로 20배 정제하였다. 정제한 xylanase는 SDS-PAGE 및 Sephadex G-200 gel filtraion에서 분자량이 모두 25,000 Da으로 나타나 monomenc enzyme으로 확인되었다. 금속이온에 대한 영향은 $Fe^{3+}$, $Hg^{2+}$, $Cu^{2+}$, sodium dodecyl sulfate, N-bromosuccinide 등에서는 아주 강한 저해를 받았고, $Mn^{2+}$, $Zn^{2+}$에서는 약간의 저해를 받았다. 반면에 $Mg^{2+}$는 효소활성을 증가시켰다. Xylanase에 의한 xylooligo 당의 생산양상을 TLC로 조사한 결과 xylobiose, xylotriose 및 xylotetrose가 주 생산물이었으며, 반응 1시간 이후부터 소량의 xylose가 생성되었다. 따라서 본 효소는 전형적인 endotype xylanase로 확인되었으며 새로운 기능성식품인 자일로 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s)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경사지 밭토양에서 강우량과 토성에 따른 물 유출 양상 및 수관피복인자 구명 (Characteristics of Soil Water Runoff and Canopy Cover Subfactor in Sloped Land with Different Soil Texture)

  • 이현행;하상건;허승오;정강호;박찬원;김계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31-135
    • /
    • 2007
  • 우리나라 밭토양은 70% 이상이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침식에 의한 토양유실이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성 간 강우량 및 강우강도에 따른 토양유실량과 유출수량을 비교함으로써 토성 및 강우형태에 따른 물흐름 양상을 파악하고,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에서 수관피복인자(Canopy cover subfactor)를 산출하여 토양유실을 방지하는데 이용하고자 하였다. 시험은 2005년 5월부터 10월까지 고추, 배추, 감자, 콩이 식재되고 15%의 경사도를 가진 라이시미터에서 실시되었고 강 우량과 강우강도, 토양 유실량과 유출수량, 강우량과 토성에 따라 유출량과의 관계를 보았다. 강우량에 따른 유출수량은 모두 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으나 토성에 따라 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른 유출수의 상대적인 증가비율은 다소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추가 식재된 상태에서 토성별 강우량 단위 증가에 따른 유출수의 증가비율은 양토에서 0.44로 가장 높았고 식양토, 사양토는 0.41 mm, 0.13 mm 이었다. 유출발생 최소강우량도 사양토가 23.53 mm로 가장 높았으며 양토는 10.35 mm, 식양토는 5.46 mm 순으로 나타내었다. 고추의 수관피복인자는 사양토에서 0.425, 양토는 0.459, 식양토는 0.478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산출된 토성별 강우량에 따른 유출수량과 수관피복인자는 토양 유실량을 평가하여 저감 대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GIS와 행정 자료를 이용한 산림전용지의 공간분포 및 탄소배출량 분석 - 강원도 원주시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and Estimation of Carbon Emissions in Deforestation Using GIS and Administrative Data)

  • 박진우;이정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466-475
    • /
    • 2011
  • 본 연구는 산림전용정보와 GIS 정보를 상호 이용하여 산림전용지의 공간특성 분석과 함께 탄소배출량 파악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최근 9년간(2000년부터 2008년까지) 산림에서 비산림으로 전용된 면적은 약 649 ha로, 연간 약 72 ha의 산림전용이 발생하였다. 행정구역 단위별 면적대비 전용발생률을 보면, 원주시는 약 0.74%로, 강원도 전용발생률보다는 0.34% 높게 나타났으나, 전국 전용발생률보다는 약 0.06%낮게 나타났다. 한편, 산림전용 목적별 형태는 행정구역 단위와 상관없이 유사하게 발생하였으며, 주거지, 기타 토지, 농경지, 초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전용은 기존 주택 및 건물로부터의 접근성이 도로로부터의 접근성보다 근접한 곳에서 발생하였으며, 300 m 기준으로는 약 1.2배정도 높게 발생하였다. 전체 산림전용발생의 70%는 0.5 ha미만의 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91%는 1 ha미만의 지역에서 발생하였다. 산림전용에 따른 총 탄소배출량은 약 23,424 tC이며, 연평균 2,603 tC로 나타났다. ha당 탄소배출량은 36.1 tC/ha로 나타났다. GIS에 의한 전용지의 공간특성을 파악함에 따라 Post-2012에 대비 온실가스 통계검증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The effect of multi-strain probiotics as feed additives on performance, immunity, expression of nutrient transporter genes and gut morphometry in broiler chickens

  • Biswas, Avishek;Dev, Kapil;Tyagi, Pramod K;Mandal, Asitbara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호
    • /
    • pp.64-74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multi-strain probiotic (MSP) (Bacillus coagulans Unique IS2 + Bacillus subtillis UBBS14 + Saccharomyces boulardii Unique 28) on performance, gut morphology and expression of nutrient transporter related genes in broiler chickens. Methods: A total of 256 (4×8×8) day-old CARIBRO Vishal commercial broiler chicks of uniform body weight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four treatments with 8 replicates each and having eight chicks in each replicate. Four dietary treatments were T1 (negative control-basal diet), T2 (positive control-antibiotic bacitracin methylene disalicylate at 20 mg/kg diet), T3 (MSP at 107 colony-forming unit [CFU]/g feed), and T4 (MSP at 108 CFU/g feed). Results: During 3 to 6 weeks and 0 to 6 weeks, the body weight gain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in T3 and T4 groups. The feed intake significantly (p<0.05) reduced from T1 to T3 during 0 to 3 weeks and the feed conversion ratio also significantly (p<0.05) improved in T3 and T4 during 0 to 6 weeks. The humoral and cell mediated immune response and the weight of immune organs were also significantly (p<0.05) improved in T3 and T4. However, significant (p<0.05) dietary effects were observed on intestinal histo-morphometry of ileum in T3 followed by T4 and T2. At 14 d post hatch, the relative gene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 (GLUT5), sodium-dependent glucose transporter (SGLT1) and peptide transporter (PepT1) showed a significant (p<0.05) up-regulating pattern in T2, T3, and T4. Whereas, at 21 d post hatch, the gene expression of SGLT1 and PepT1 was significantly (p<0.05) downregulated in MSP supplemented treatments T3 and T4. Conclusion: The supplementation of MSP at 107 CFU/g diet showed significant effects with improved performance, immune response, gut morphology and expression of nutrient transporter genes. Thus, the MSP could be a suitable alternative to antibiotic growth promoters in chicken diets.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공간적 계층구조 기반 도시쇠퇴 패턴 분석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Urban Decline Patterns Based on Spatial Hierarchy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 Focusing on Ulsan Metropolitan City)

  • 박선영;정지연;유현우;정현우;이지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71-585
    • /
    • 2021
  • 도시의 쇠퇴를 판단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쇠퇴도시의 일반적인 특성을 활용하여 보편적인 수준에서의 도시쇠퇴를 분석하였다. 하지만 도시의 쇠퇴는 특정 도시의 고유한 특성에 기반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야한다. 또한 도시쇠퇴는 미세 공간에서 발생하고 확산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작은 단위의 공간을 연속적으로 분석해야한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도시쇠퇴 측정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울산광역시의 도시쇠퇴를 시간적·공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적 특성을 모델에 반영하기 위하여 전국 평균대비 울산광역시의 지표값을 계산하여 이를 가중치에 반영한다. 또한 행정동 단위로 도시쇠퇴를 분석한 후 보다 작은 단위 공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간적 계층구조를 활용해 집계구 단위로 도시쇠퇴를 분석한다. 모델을 활용하여 산출된 지수와 울산광역시의 사회현상을 연관지어 도시쇠퇴 패턴을 분석한 결과 도시쇠퇴가 군집을 이루며 시간이 흐를수록 인접지역으로 확산하는 형태를 보였다. 또한 신도심의 발생, 도시재생사업 등 도시 외적인 요소가 도시쇠퇴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도시쇠퇴측정모델을 통해 도시의 쇠퇴와 심각도를 파악함으로써 도시재생사업 필요지역의 우선순위를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행중이거나 완료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를 검정할 수 있다.

Small CNN-RNN Engraft Model Study for Sequence Pattern Extraction in Protein Function Prediction Problems

  • Lee, Jeung Min;Lee, 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49-59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2020년 기준 단백질 서열을 이용한 기능과 구조 예측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딥러닝 모델인 CNN과 LSTM/GRU 모델을 동일한 조건 하에 비교 평가한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효소 기능 예측 모델인 PSCREM을 설계하였다. CNN 합성곱 시 누락되는 세부 패턴을 보존하기 위하여 서열 진화정보를 이용하였으며 중첩 RNN을 통해 기능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아미노산 간의 관계 정보를 추출하고 특징 맵 제작에 참조하였다. 사용된 RNN 계열의 알고리즘은 LSTM과 GRU로 보통 stacked RNN 기법으로 100 units 이상 2~3회 쌓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논문에서는 10, 20 unit으로 구성한 뒤 중첩시켜서 특징 맵 제작에 사용하였다. 모델에 들어가는 데이터는 단백질 서열 데이터로 PSSM profile로 가공한 뒤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효소 번호 첫 번째 자리를 예측하는 문제에 대해 86.4%의 정확도를 나타냄을 입증하였고, 효소 번호 3번째 자리까지 예측 정확도 84.4%의 성능을 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PSCREM은 Overlapped RNN을 통해 단백질 기능에 관련된 고유 패턴을 더 잘 파악하며 Overlapped RNN은 단백질 기능 및 구조 예측 추출 분야에 새로운 방법론으로서 제안된다.

Development of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OPs), Standardization, TLC and HPTLC Fingerprinting of a Polyherbal Unani Formulation

  • Naaz, Arjumand;Viquar, Uzma;Naikodi, Mohammad Abdul Rasheed;Siddiqui, Javed Inam;Zakir, Mohammad;Kazmi, Munawwar Husain;Minhajuddin, Ahmed
    • 셀메드
    • /
    • 제11권4호
    • /
    • pp.21.1-21.9
    • /
    • 2021
  • Background: Unani System of Medicine (USM) has its origin to Greece. To ensure and develop the quality, authenticity of Unani drugs, standardization on modern analytical parameter is essential requirement for drugs. Objectives: The aimed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 profile of "Qurṣ-e-Mafasil" by systematic study through authenticated ingredients, pharmacognostic identification followed by physicochemical, TLC, HPTLC fingerprinting analysis as per standard protocol. Material and Methods: In this study three batches of "Qurṣ-e-Mafasil" QM were prepared by standard method as per UPI had been followed by organoleptic properties of formulation such as appearance, color, odor, taste. Powder Microscopy and physicochem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such as Uniformity of weight, Friability, Disintegration time, hardness, LOD, ash vales and extractive values in like aqueous, alcohol & hexane. Further qualitative tests such as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and High-Performance Thin Layer Chromatography (HPTLC) studies were also carried out to develop fingerprint pattern of the alcoholic solvent extract of QM. Phytochemical screening was carried out in different solvent extracts such as alcoholic, aqueous and chloroform extracts to detect the presence phytoconstituents in the formulation QM. Heavy metals, Microbial Load Contamination and pesticidal residues were also determined. Results: Qurṣ-e-Mafasil showed tablet-like appearance, light brown colour, mild pungent odour and acrid taste. Uniformity of weight (mg), friability (rpm), and hardness (kg/cm) and disintegration time was ranged between (500 to 503), (0.0340 to 0.038), (8.40 to 8.67) and (4-5 minutes) respectively for the three batches. Loss in weight on drying at 105℃ was ranged between (8.3425 to 8.7346). Extracted values were calculated in distilled water ranged between (30.9091 to 31.4358), hexane (1.1419 to 1.4281), and alcohol (3.3352 to 3.3962). The ash values recorded were ranged between (3.7336 to 3.8378), and acid insoluble ash (0.5859 to 0.6112).

최적화된 확률 모델을 이용한 다양한 품질의 지문분류 (Various Quality Fingerprint Classification Using the Optimal Stochastic Models)

  • 정혜욱;이지형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43-151
    • /
    • 2010
  • 지문분류는 1:N 지문인식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단계로 지문의 매칭 시간 단축과 인식의 정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지문 각 클래스의 융선 패턴은 한 개 이상의 클래스와 중복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지문분류 작업은 어렵다. 또한 잡음을 많이 포함하거나 예외적인 입력 상태인 경우에도 분류 작업은 어려워진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품질의 지문을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지문의 방향특징을 이용해 확률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최적화 하여 지문분류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지문 융선을 픽셀단위로 탐색하여 방향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방향 값을 일정 픽셀 단위로 병합하여 지문의 방향특징을 추출한다. 추출된 방향 특징을 이용해 확률론적 정보추출 및 인식 방식인 마코프 모델을 이용하여 지문의 클래스별 마코프 모델을 생성한다. 생성된 클래스별 마코프 모델의 상태전이 행렬을 분석하여 클래스별 분류 모델의 가중치 항목을 결정하고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문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수치를 찾아낸다. 유전알고리즘에 의해 최적화된 분류모델에 다양한 품질의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여 실험해 본 결과 최적화 되기 전의 분류 모델에 비해 우수한 분류성능을 보였다. 또한 실험에 사용한 다양한 품질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본 결과 제안한 방법은 특이점 유, 무 및 상태에 독립적으로 예외적인 입력상황의 지문에 대해 효율적으로 지분분류를 수행했다.

한국과 독일의 비오톱지도화에 대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Biotope Mapping between Korea and Germany)

  • 최일기;안근영;이은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65-57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비오톱지도화가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실제적 계획수단으로 활용될 있도록 비오톱지도화의 출발지인 독일과의 비교를 통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한국의 전국 비오톱지도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설정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한국과 독일의 비오톱지도화 관련 문헌 및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국토 및 연방정부차원, 주정부차원, 도시 및 정주지차원에서 양국의 비오톱지도화에 대한 전반적 특성 및 경향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독일은 국토전역에 걸쳐 경관생태권역별로 차등 있는 자연 및 경관을 보호, 관리하기 위해서 경관생태유형도와 경관생가치등급도를 작성하였다. 한국은 생태자연도나 녹지자연도가 전국단위에서 자연환경보전을 위해 추진된 지도화로 들 수 있다. 둘째, 독일 주정부차원에서는 주로 자연지역과 그에 준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비오톱지도화가 실시되었고, 각주마다 비오톱 적색리스트가 작성된 반면, 한국의 경우 이에 준하는 도차원의 비오톱지도화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셋째, 독일의 도시 및 정주지역의 비오톱지도화는 대도시지역 뿐만 아니라 중 소도시와 농촌지역에서도 실시되었으나, 한국의 경우 대도시와 같이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비오톱 지도화가 전국토의 균형 있는 자연환경 및 비오톱 보호 관리를 위한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도시지역뿐만 아니라 자연지역 및 반자연지역의 비오톱지도화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국토전역에 적용할 수 있는 비오톱유형목록 및 비오톱적색리스트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