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ogenicity test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韓國)에서의 벼 잎집무늬마름병 발생변동(發生變動)에 관(關)한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Ecological Studies on the Transition of Sheath Blight of Rice in Korea)

  • 유승헌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283-316
    • /
    • 1977
  • 한국(韓國)에 있어서 벼 잎집무늬마름병(病)의 발생변동(發生變動), 병원균(病原菌)의 배양적(培養的) 특성(特性)과 병원성(病原性), 발병환경(發病環境), 재배법(栽培法)과 발병관계(發病關係), 품종(品種)의 저항성(抵抗性) 등(等)에 관(關)하여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韓國)에 있어서 벼 잎집무늬마름병(病)의 발생면적(發生面積)은 다비재배(多肥栽培), 조기조식재배(早期早植栽培) 및 통일계품종(統一系品種)의 확대보급등(擴大普及等)으로 인(因)하여 매년(每年) 증가(增加)되었고 특(特)히 1971년(年)부터 전국적(全國的)으로 급격(急激)히 발생면적(發生面積)이 증가(增加)되어서 1976년(年)에는 전체수도재배면적(全體水稻栽培面積)의 약 65.2%에서 본병(本病)이 발생(發生)하였다. 2. 우리나라에 분포(分布)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균(病菌)의 배양적(培養的) 성질(性質) 및 병원성(病原性)에는 많은 변이(變異)가 있었으며 병원균(病原菌)의 생육최적(生育最適) 온도(溫度)도 $25^{\circ}C$에서 $30^{\circ}C$사이로 균주간(菌株間)에 차이(差異)가 있었다. 한편 병원균(病原菌)의 배양적(培養的) 성질(性質)과 병원성(病原性)에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없었다. 3. 잎집무늬마름병균(病菌)의 PDA배지상(培地上)에서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은 채집지(採集地)의 기온(氣溫)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었다. 즉 채집지(採集地)의 기온(氣溫)이 높은 지역(地域)의 균주(菌株)들은 기온(氣溫)이 낮은 지역(地域)의 균주(菌株)들에 비(比)해 $35^{\circ}C$ PDA배지(培地)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였고 반대로 $12^{\circ}C$ PDA배지상(培地上)에서는 기온(氣溫)이 낮은 지역(地域)에서 채집(採集)한 균주(菌株)들이 기온(氣溫)이 높은 지역(地域)에서 채집(採集)한 균주(菌株)들 보다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였다. 4. 잎집무늬마름병균(病菌)을 접종(接種)한 수도엽(水稻葉)으로부터 얻은 Pectin polygalacturonase 및 Cellulase의 역가(力價)는 접종(接種)3일(日)째에 최대(最大)였고 Pectin methylestrase의 역가(力價)는 접종(接種) 4일(日)째에 최대(最大)였으며 병원성(病原性)이 강(强)한 균주(菌株)에서는 Pectin methylestrase의 활성(活性)이 높은 경향(傾向)이었고 병원성(病原性)이 약한 균주(菌株)에서는 Pectin methylestrase의 활성(活性)이 낮은 경향(傾向)이었으나 다른 효소(酵素)들은 병원성(病原性)과 관계(關係)가 없었다. 5. 배지(培地)에 형성(形成)된 균핵(菌核)을 건조처리(乾燥處理)하였을 경우(境遇)의 저온저항성(低溫抵抗性)은 매우 강(强)하여 $-20^{\circ}C$에서도 발아력(發芽力)을 상실(喪失)치 않았으나 습윤처리(濕潤處理) 하였을 경우(境遇)에는 저항성(抵抗性)이 매우 약(弱)하여 $-5^{\circ}C$에서도 발아력(發芽力)을 상실(喪失)하였다. 포장(圃場)에서 월동(越冬)한 균핵(菌核)의 발아율(發芽率)도 답토양(沓土壤)의 건습(乾濕)에 따라 18%~70%의 차이(差異)를 나타내며 담수상태(湛水狀態)에서 월동(越冬)한 균핵(菌核)은 건조(乾燥)한 토양(土壤)에서 월동(越冬)한 균핵(菌核)보다 발아율(發芽率)이 낮았다. 6. 잡초(雜草)에 대(對)한 기생성(寄生性)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벗풀(Sagittaria trifolia L.), 물달개비(Monochoria vaginalis Presl), 여뀌(Polygonum hydropiper L.). 피(Echinochloa crusgalli P. Beauv), 한련초(Eclipta prostrata L.), 강아지풀(Septaria viridis P. Beauv.), 좀바랭이(Digitaria sangvinalis Scapoli) 등(等)에서 잎집무늬마름병반(病斑)이 형성(形成)되었다. 7. 질소배비구(窒素倍肥區)에서는 잎집무늬마름병(病)의 피해(被害)가 증가(增加)하였고 가리배비구(加里倍肥區)에서는 감소(減少)하였으나 규산시용구(硅酸施用區)에서는 피해감소(被害減少)의 효과(效果)가 없었다. 규산시용구(硅酸施用區)에서는 도체내(稻體內)의 질소함량(窒素含量)과 전분함량(澱粉含量)이 다같이 감소(減少)하였다. 8. 생육전기(生育前期)의 이병경율(罹病莖率)은 밀식구(密植區)가 높았으나 생육후기(生育後期)에는 소식구(疎植區)의 1주당(株當) 분얼수(分蘖數)가 많아 이병경율(罹病莖率) 및 피해도(被害度)가 높아졌으며 주당(株當) 1본식(本植)한 구(區)에서는 피해(被害)가 적었다. 9. 잎집무늬마름병(病)에 대(對)한 수도(水稻) 품종(品種)의 피해도차이(被害度差異)는 출수일수(出穗日數)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었다. 즉 출수일수(出穗日數)와 피해도(被害度)와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6월(月)13일(日) 이앙(移秧)한 구(區)에서는 r=-0.707이었고 6월(月) 25일(日) 이앙(移秧)한 구(區)에서는 r=-0.496으로 비교적 높은 상관(相關)을 나타내어 출수(出穗)가 빠른 것이 피해(被害)가 크고 낮은 것이 피해(被害)가 적은 경향(傾向)이었다. 또한 본병(本病)은 분얼(分蘖)이 많은 품종(品種)일수록 피해(被害)가 심(甚)하였다. 10. 생육전기(生育前期)의 이병경율(罹病莖率)은 출수후(出穗後)의 피해도(被害度)와 상관(相關)이 없었으나 생육후기(生育後期)의 이병경율(罹病莖率)은 피해도(被害度)와 상관(相關)이 높았다.

  • PDF

Diversity of VC and incidence of hypovirulence-associated ds-RNAs in the chestnut blight fungus Cryphonectria parasitica in Korea

  • Byeongjin Cha;Jinyoung Lim;Ju, Young-Jik;Kim, Dae-Hyuk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23-23
    • /
    • 2003
  • Chestnut blight, caused by Cryphonectria parasitica, is the most destructive disease of American and European chestnut trees. A total of 672 C prasitica was isolated from blight lesion on chestnut twigs, which were collected from major chestnut plantations all over Korea in 1999. Isolation rates were over 30% in Kyunggj-, Kyongnam-, and Chonnam-do. The highest isolation rate was 37.4% and recorded in Kyongnam-do. On the other hand, Chonbuk-do had the lowest isolation rate as 13.5%. In grouping of C parasitica by colony shape and color, yellow colony with irregular margin were the most dominant colony type with a frequency of 65.2%. When the 672 isolates were inoculated on the chestnut twigs, 380 isolates (56.5%) caused lesions larger than the standard virulent isolate EP155-2, while 158 isolates (23.4%) caused smaller lesions than the standard hypovirulent isolate UEP-1. In Bavendamm test that determines phenol oxidase activity, 97.1% of all the isolates resulted the same or darker discoloration than EP155-2, and only 12.2% resulted the same or lighter discoloration than UEP-1. In the vegetative compatibility (VC) tests, total 670 isolates were divided into 121 VC groups (VCGs). Kyongnam-, Chonnam-, and Chungnam-do, the three principal chestnut plantation area, had 49, 33, and 27 VCGs, respectively. Among the VCGs, the biggest VCG, KR-VC104, was composed of 164 isolates and the second biggest VCG had 62 isolates. But, 64 of 121 VCGs consisted of sole member. More than 65.8% of KR-VC104, was isolated from the three provinces, Kyongnam-, Kangwon-, and Chungbuk-do. In KR-VC104, 62.8%, 59.1%, and 85.9% of the isolates looked like virulent in colony type, pathogenicity test, and Bavendamm test. In ds-RNA detection tests using cellulose chromatography, 77 of total 650 isolates were ds-RNA positive and detected ds-RNA segments were approximately 12kb, 3kb, 2.7kb, 2kb, and 1.8kb in size. Among the 77 isolates, 46 isolates had 12kb and 25 isolates had 12kb and 2.7kb. Other 6 Isolates had small ds-RNA segments. Kyongnam-, Chonnam-, and Chungnam-do had 43, 16, and 5 ds-RNA positive isolates, respectively. Among the 121 VCGs, only 29 VCGs had ds-RNA positive isolates.(중략)

  • PDF

Biological control of Lettuce Sclerotinia rot using Bacillus mojanvinensis Pro-EB 15 strain.

  • Bak, Joung-Woo;Kim, Hyun-Ju;Park, Jong-Young;Lee, Kwang-Youll;Gang, Jun-Ho;Lee, Jin-Woo;Jung, Soon-Je;Moon, Byung-Ju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02.2-103
    • /
    • 2003
  • This studies were investigated the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by Sclerotinia Sclerotiorum at the lettuce field in Uiryeong-Gun, Gyeongsangnam-Do and were isolated the most effective microorganism for the biological control to the pathogen, S. sclerotiorum YR-1 strain from diseased soil and lettuce leaves. For the pathogenicity test, the most suitable inoculmn density of YR-1 strain was selected as the mycelial suspension of 40m1 showing disease incidence of 80%, and the symptom showed as same as at the fields, the leaves and stem had rotten and developed white downy mycelial at the diseased lesion on the leaves and stems, and produced black and irregular sclerotinia. On the PDA dual test, about 300 isolates were examined the antifungal activity to the pathogen, YR-1 strain, and among them, A-2, A-7, and RH-4 strain were selected most effective antagonistic bacteria. At pots test, the control value of A-7 strain showed the highest value as 85% which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others in a growth chamber. For the promotion of control effect, the selected 3 isolates were spayed on the lettuce leaves as a sole and/or mixed treatments in a growth chamber, the mixed treatment of A-7 and RH-4 strain showing the control value of 90% was most effective than that of sole treatment with A-7 or RH-4 strain showing the control value of 80%, respectively and mixed treatment with A-2 and A-7 strain and A-2, A-7 and RH-4 strain. In addition, 3 bacteria re-isolated from diseased soils, and all of the selected 6 isolates investigated the control effect at pots in a growth chamber, According to the results, A-7 and Pro-EB 15 strain showed the control value of 91.0% and 90.1% respectively, and they were selected most effectual antagonistic bacteria to control lettuce sclerotinia rot and identified as the Bacillus mojanuinensis by 16s RNA analysi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biological control using by B. mojanvinensis to the lettuce Sclerotinia rot.

  • PDF

Zoysiagrass에 Waitea circinata에 의한 Waitea Ring Patch 발생 (First Report of Waitea Ring Patch caused by Waitea circinata on Zoysiagrass)

  • 김경덕;홍성철;장공만;한무호;피재호;박대섭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78-381
    • /
    • 2014
  • Zoysiagrass는 대표적인 난지형 잔디로 Curvularia leaf spot, Large patch, Rhizoctonia blight, Spring dead spot, 그리고 Dollar spot 등의 다양한 병에 직면해 있으며 최근에는 많은 병원균들의 복합 감염에 의한 잔디병 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 패취형태의 병반을 가진 zoysiagrass 엽조직으로 부터 Rhizoctonia 속과 유사한 곰팡이를 분리하였다. 리보소옴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Waitea circinata 균주들과 98%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고, Koch's 법칙에 따라 zoysiagrass에서 병원성을 확인하여 이 병의 주 원인균은 Waitea circinata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병은 zoysiagrass에서 Waitea circinata에 의해 최초로 국내에서 발생한 병으로 사료되며, 기본 병명과 동일하게 Waitea ring patch로 사용하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벼 흰빛잎마름병 병원세균의 계대배양에 병원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rial Transfer on the Virulence of Xanthomonas oryzae)

  • 이순구;이태호;최용철;조용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3-76
    • /
    • 1979
  • 벼 흰빛잎마름병균, Xanthomonas oryzae의 채집균주중에서 가장 병원성이 큰 2균주를 선발하여 각각 10대까지 계대배양하였다. 계대배양한 모든 세균을 "밀양23호", "유신", "통일"의 분얼기묘에 접종한 결과, 1) 병원성이 큰 III군균주(IN7721)가 작은 1군균주 (KB7785)보다 계대배양으로 인해 더 많은 감퇴를 나타내었다. 2) 품종의 저항성에 따라 병원성 감퇴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병원성이 작은 균주(I군, KB7785)는 저항성 품종에서, 병원성이 큰 균주(III군, JN7721)는 이병성품종에서 각각 병원성감퇴가 더 컸다. 3) I군균주(KB7785)가 "통일" 품종의 분얼기 묘에 III군균주(JN7721)와 비슷한 정도로 침입할 수 있었다. 4) 10대까지의 계대배양 도중에 콜로니 형태가 다른 변이균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소엽풍란 흰비단병 (Sclerotium blight of Neofinetia falcata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한경숙;이성찬;한유경;김수;김동휘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320-322
    • /
    • 2010
  • 2010년 2월 경기도 용인시 소엽풍란 재배농가에서 뿌리와 벌브가 심하게 마르고 식물체 전체가 말라죽는 증상이 나타났다. 마른 뿌리와 수태표면에 흰색 곰팡이 균사와 함께 뚜렷한 둥근 형태의 적갈색 균핵이 관찰되었다. 균학적 특징으로 균사는 $25{\sim}30^{\circ}C$에서 가장 활발한 생장을 보였으며, 균핵은 갈색의 둥근형태로 직경은 1~3 mm였다. 병원성 검정결과 발병이 초기부터 빠른 강한 병원성을 보였다. 균학적 특성 조사 결과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으로 동정하였으며 본 병을 소엽풍란 흰비단병으로 명명하였다.

다제내성(多劑耐性)을 지닌 균주에 감염된 상처에서 Nanocrystalline Silver(Acticoat®) 드레싱의 효용 (Effectiveness of Nanocrystalline Silver(Acticoat®) Dressing at Wound Infected by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 정태광;양호직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691-696
    • /
    • 2007
  • Purpose: The emergency of multi-drug resistant stains of bacteria represents a challenge in the field of plastic surgery. Especially, MRSA(methy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have strong pathogenicity as well as multi-drug resistance so that they have become a lot more problematic strains. This study has been planned to reduce the bacterial burden by applying $Acticoat^{(R)}$(Smith & Nephew Healthcare, Hull, England)dressing into the chronic wounds infected by multi-drug resistant strains and to facilitate their healing. Methods: Nanocrystalline silver dressings($Acticoat^{(R)}$) were applied to chronic wound infected by MRSA or Pseudomonas aeruginosa.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were smeared over a slide glass using sterilized cotton swabs and gram stains were performed directly before and after applying $Acticoat^{(R)}$ dressings at 1, 24, 48 and 72 hours. The gram-stained slides were observ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magnified 1000 times(${\times}1000$). The bacterial counts of the control group(0 hour)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experimental groups(1, 24, 48, and 72 hour). Paired T-test was used to assess a statistical significance. MRSA was cultured in two BAPs(blood agar plate) and two MacConkey plates with streak plate method. None were interventions on one culture plate, while on the other culture plate, $Acticoat^{(R)}$ was placed in a square shape and cultured for 72 hours at $37^{\circ}C$, then plates were examined. Pseudomonas aeruginosa was cultured in the same manner as MRSA. Results: There are the large amount of declination of bacterial count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Acticoat^{(R)}$ dressing. The bacteria grew in culture plate without specific intervention, but no bacteria grew in culture plate with applying of $Acticoat^{(R)}$ dressing. Conclusion: We believe that $Acticoat^{(R)}$ dressing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of treating chronic wounds which are infected by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미나리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the Collar Rot of Water Cress (Oenanthe javanicav)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강수웅;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2-74
    • /
    • 2001
  • 2000년 9월 상순경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밭 미나리 재배포장에서 미나리 흰비단병(Sclerotium rolfsii)이 대발생하였다. 이 병의 병징은 미나리 줄기 절단부가 갈색으로 변하고 물러져 썩으며 그 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밀생하고, 병발부위에 작은 갈색의 둥근 균핵을 형성하며 지제부 부근의 토양 표면에도 형성되었다. 균사의 폭은 $4.1{\sim}10.3{\mu}m$이고, 균사 생육적온은 $30^{\circ}C$에서 90.0 mm로 가장 잘 자랐으며 $5^{\circ}C$$45^{\circ}C$에서는 자라지 않았다. PDA 배지상에는 $20^{\circ}C$에서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총의 색깔은 흰색이며 clamp connection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균핵의 모양은 구형이며 크기는 $1.0{\sim}6.3{\times}10{\sim}5.2mm$ (평균 $2.4{\sim}2.2mm$)이었다. 이 병원균을 Sclerotium rolfsii로 동정하였고, 미나리 흰비단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 PDF

Pestalotia diospyri에 의한 생육중의 단감 잎마름병과 저장중 과일 부패병 (Leaf Blight of Sweet Persimmon Tree in the Field and Fruit Rot in the Storage Caused by Pestalotia diospyri)

  • 권진혁;안광환;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0-133
    • /
    • 2004
  • Pestalotia diospyri에 의한 단감 잎마름병은 감 생육중 잎에 주로 발생하나, 간혹 저장 및 시장 유통중 과실에도 발생을 한다. 병징은 잎에 원형, 다각형 또는 부정형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테두리는 검은색이고 가장자리는 적갈색으로 변한다. 병반 뒷면에 검은색의 소립점 형성된다. 저장 및 시장 유통중 과실에 발생할 경우는 과실 꽃받침 부분에서 흰색의 균사가 형성되며 심할 경우 과실전체에 흰색 균사로 덮인다. 균충의 색깔은 흰색을 띠고 배지표면에 물방울 모양의 검은색의 분생포자퇴를 많이 형성한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도란형 또는 방추형이고, 크기가 $16{\sim}22{\times}6{\sim}8\;{\mu}m$이었다. 부속사는 윗부분에 $2{\sim}3$개가 달려있고 크기는 $9{\sim}18\;{\mu}m$이었다. 균사 생육적온은 $30^{\circ}C$였다.

Penicillium corylophilum에 의한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푸른곰팡이병의 발생 (Occurrence of Bluish Green Mold of Pleurotus eryngii by Penicillium corylophilum)

  • 조우식;류영현;김승한;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12-414
    • /
    • 1999
  • 최근 국내 큰느타리버섯 재배농가가 증가하면서 병해의 발생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 버섯의 자실체에 발생하는 푸른곰팡이 병반으로부터 Penicillium sp.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고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Penicillium sp.균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생포자는 타원형이고 크기는 $2.3{\sim}3.4{\times}2.6{\sim}3.2\;{\mu}m$였다. 분생자병은 균사로부터 one-stage branch 모양을 형성하고, metulae는 $2{\sim}4$개로 크기가 $10{\sim}l8{\times}2.5{\sim}3.0\;{\mu}m$이며, phialides는 플라스크상이고 크기가 $9{\sim}13{\times}2.2{\sim}2.8\;{\mu}m$였다. Czapek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25^{\circ}C$에서 7일에 균총이 21 mm 성장했으며, 균총의 색은 회녹색이었다. 이상과 같은 형태 및 배양적 특징으로 공시균을 Penicillium corylophilum로 동정하였고 이균을 상처접종하였던바 $6{\sim}7$일만에 재배농가에서와 동일한 증상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