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 loss

검색결과 793건 처리시간 0.039초

A SPATIAL PREDICTION THEORY FOR LONG-TERM FADING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S

  • Yoo, Seong-Mo
    • ETRI Journal
    • /
    • 제15권3_4호
    • /
    • pp.27-34
    • /
    • 1994
  • There have been traditional approaches to model radio propagation path loss mechanism both theoretically ad empirically. Theoretical approach is simple to explain and effective in certain cases. Empirical approach accommodates the terrain configuration and distance between base station and mobile unit along the propagation path only. In other words, it does not accommodate natural terrain configuration over a specific area.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atial prediction technique for the mobile radio propagation path loss accommodating complete natural terrain configuration over a specific area. Statistical uncertainty analysis is also considered.

  • PDF

서울 및 대전지역에서의 전계강도와 경로손실 분석 (Analysis of Field Strength and Path Loss in Seoul and Daejeon Area)

  • 송기홍;정인명;김종호;양기곤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4권2호
    • /
    • pp.4-10
    • /
    • 1993
  • 이동통신에서, 전파경로는 이동국의 위치변동때문에 시간 및 공간에 따라 변한다. 전파경로 손실은 주 파수와 거리뿐만 아니라 안테나 높이, 지형구조와 인위적 환경에 따라 탄라지브로 이동 전파신호의 전파 경로손실을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본 고에서는 대전 및 서울 지역에서 전계강도를 측정하여 단구간 중앙치,500m 거리별 평균치 및 표준 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로손실 특성이 예측모텔과 유사하였으며, 특히 단구간 중앙치 는 기지국 안테나 높이, 지형구조와 인위적 환경에 의존하며, 표준편차는 2-1OdBuV사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실내 환경에서 다층 퍼셉트론 모델과 전파 전파 특성파라미터를 이용한 무선 근거리통신망의 최적 셀 설계 (Optimum Cell Design using MLP Model and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 Parameters for Wireless LAN in Indoor Radio Environments)

  • 김광윤;문용규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5호
    • /
    • pp.547-556
    • /
    • 2002
  • 본 논문은 MLP 모델과 전파 특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실내환경에서 무선근거리통신망에 대한 전파 경로 손실 예측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100mW의 송신출력과 2.4GHz의 주파수를 갖는 무선근거리통신망에 대한 실내 경로손실을 예측하고 측정된 값과 비교하였다. 비교된 측정값과 예측값 사이의 차이는 다양한 경로손실 요인들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제안된 전파 경로 손실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실내환경에서의 AP 위치를 선정함으로써 최적 셀 설계를 수행하였다.

  • PDF

Analysis of V2V Broadcast Performance Limit for WAVE Communication Systems Using Two-Ray Path Loss Model

  • Song, Yoo-Seung;Choi, Hyun-Kyun
    • ETRI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213-221
    • /
    • 2017
  • The advent of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WAVE) technology has improved the intelligence of transportation systems and enabled generic traffic problems to be solved automatically. Based on the IEEE 802.11p standard for vehicle-to-anything (V2X) communications, WAVE provides wireless links with latencies less than 100 ms to vehicles operating at speeds up to 200 km/h. To date, most research has been based on field test results. In contrast, this paper presents a numerical analysis of the V2X broadcast throughput limit using a path loss model. First, the maximum throughput and minimum delay limit were obtained from the MAC frame format of IEEE 802.11p. Second, the packet error probability was derived for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nd fading channel conditions. Finally, the maximum throughput limit of the system was derived from the packet error rate using a two-ray path loss model for a typical highway topology. The throughput was analyzed for each data rate, which allowed the performance at the different data rates to be compared. The analysis method can be easily applied to different topologies by substituting an appropriate target path loss model.

시간영역에서 수직 다이폴의 전파경로손실 특성 해석 (Characteristic Analysis on Radio Propagation Path Loss Characteristics of Vertical Electric Dipole in Time Domain)

  • 홍익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558-156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시간영역에서 완전도체 접지평면 위 수직 전기 다이폴에서 방사되는 전자기해석을 통해 전파의 거리에 따른 전파경로손실을 해석하였다. 자유공간에서 수직 전기 다이폴의 해석은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본 논문에서는 특히 접지면 위 수직 다이폴을 기지국으로 가정한 전파경로손실특성을 시간영역에서 해석하였으며 접지면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근접장의 위치변화와 모바일에서 수신되는 과도응답을 관찰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지표면 레이더 및 신호처리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Multi-Hop Wireless Networks by Selec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 Kim, Tae-Hoon;Tipper, David;Krishnamurthy, Prashant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3권1호
    • /
    • pp.7-14
    • /
    • 2015
  • In a multi-hop wireless network, connectivity is determined by the link that is established by the receiving signal strength computed by subtracting the path loss from the transmission power. Two path loss models are commonly used in research, namely two-ray ground and shadow fading, which determine the receiving signal strength and affect the link quality. Link quality is one of the key factors that affect network performance. In general, network performance improves with better link quality in a wireless network. In this study, we measure the network connectivity and performance in a shadow fading path loss model, and our observation shows that both are severely degraded in this path loss model. To improve network performance, we propose power control schemes utilizing link quality to identify the set of nodes required to adjust the transmission power in order to improve the network throughput in both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multi-hop wireless networks. Numerical studies to evaluate the proposed schemes are presented and compared.

Field-Measurement-Based Received Power Analysis for Directional Beamforming Millimeter-Wave Systems: Effects of Beamwidth and Beam Misalignment

  • Lee, Juyul;Kim, Myung-Don;Park, Jae-Joon;Chong, Young Jun
    • ETRI Journal
    • /
    • 제40권1호
    • /
    • pp.26-38
    • /
    • 2018
  • To overcome considerable path loss in millimeter-wave propagation, high-gain directional beamforming is considered to be a key enabling technology for outdoor 5G mobile networks. Associated with beamforming, this paper investigates propagation power loss characteristics in two aspects. The first is beamwidth effects. Owing to the multipath receiving nature of mobile environments, it is expected that a narrower beamwidth antenna will capture fewer multipath signals, while increasing directivity gain. If we normalize the directivity gain, this narrow-beamwidth reception incurs an additional power loss compared to omnidirectional-antenna power reception. With measurement data collected in an urban area at 28 GHz and 38 GHz, we illustrate the amount of these additional propagation losses as a function of the half-power beamwidth. Secondly, we investigate power losses due to steering beam misalignment, as well as the measurement data. The results show that a small angle misalignment can cause a large power loss. Considering that most standard documents provide omnidirectional antenna path loss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mmWave mobile system designs.

곡선형 지하철 터널환경에서 전파 특성의 측정과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Curved Subway Tunnel Environments)

  • 정회동;박노준;강영진;송문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8A호
    • /
    • pp.950-961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최근 무선 통신 환경으로 증가하고 있는 지하철 터널 환경에서의 전파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측정은 지하철 터널에서 2.45㎓와 5.8㎓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측정을 위해 사용된 터널의 길이는 LOS(line of sight: LOS)가 175m이고, NLOS(non line of sight: NLOS)가 270m이다. 지하철 터널은 곡선형이며, 그 단면은 마제형(horseshoe type)이다. 측정 시스템은 협대역 시스템과 광대역 시스템을 이용한다. 협대역 시스템은 경로손실(path loss: PL) 측정을 위해 사용되고 광대역 시스템은 전력지연프로파일(power delay profile: PDP) 측정을 위해 사용된다. 특히, 광대역 시스템은 슬라이딩 코릴레이션 기법을 기반으로 80MHz 칩율과 1023길이의 PN 시퀀스 발생기로 구성하였다. 안테나 빔 형태에 따른 전파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무지향성 안테나와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였다. 경로손실은 터널 환경의 순수한 경로손실만을 나타내었다. 지연 프로파일은 평균초과지연(Mean Exess Delay)와 RMS 지연확산(RMS delay spread)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채널 분석 (Channel Analysis of Wireless Sensor Networks)

  • 정경권;최우승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79-186
    • /
    • 2008
  •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응용범위가 늘어남에 따라 정확한 무선 채널의 정보를 필요로 한다. 실내 또는 실외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경우 페이딩에 의한 다중 경로 전파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 2.4 GHz 채널에 대한 log-normal path loss 모델링을 살펴본다.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1에서 30m까지 변화시키면서 수신 신호 강도 변화를 측정하고, 채널의 감쇄지수와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계산한 모델의 패킷 수신율을 이용하여 무선 센서 채널을 연결 영역과 차단 영역으로 정의하고,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를 통해서 무선 채널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실내에서의 연결 영역은 24m, 실외에서의 연결 영역은 14m로 측정되었다.

  • PDF

남해 실해역 시험 기반 수중음향채널 경로손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h Loss of Underwater Acoustic Channel Based on At-sea Experiment at the South Sea of Korea)

  • 김민상;이태석;조용호;임태호;고학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405-411
    • /
    • 2020
  • 최근 수중 자원개발, 재난 감시 및 국방에 관련하여 수중 통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무선통신 시스템 설계에서 경로손실은 주어진 통신 링크에 대한 수신 전력 레벨을 계산하여 통신 신뢰성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링크 예산을 도출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이다. 수중음향채널은 각 해역에 따라 수온, 수심, 파고, 조류, 탁도 등에 의해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며, 각 해역별 수중음향채널의 경로손실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수중음향 통신 시스템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전 세계의 여러 연구기관에서는 다양한 해역에서 수중음향채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는 아직까지 수중음향채널의 경로손실에 대한 연구결과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해 거제도 천해역의 실해역 측정을 통해 경로손실을 추정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경로손실 수식에 남해의 환경정보를 적용하여 도출한 결과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