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 Dependency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9초

광학분야에서 학생 개념의 상황 의존성: 시각과 거울상을 중심으로 (Context-dependency of Students' Conceptions in Optics: Focused on Vision & Mirror Image)

  • 권경필;방소윤;이성묵;이경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06-414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7학년 학생들의 빛의 이동경로에 대한 개념의 상황의존성을 물체의 관찰, 물체의 거울상 관찰, 거울에 비친 자신의 얼굴상 관찰이라는 세 가지 서로 다른 상황에서 연구하였다. 면담을 통해 각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였으며, 세 가지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설명을 바탕으로 학생들을 네 그룹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은 다시 개념특성에 따라 2-3개의 하위집단으로 나누었으며, 각 하위집단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1) 그룹 1의 학생들의 개념은 각 상황에 따라 변화하였다; (2) 그룹 2의 학생들은 C1 상황에선 과학적 개념을 나타냈지만 C2 상황에선 시선개념이나 상에 대한 오개념을 나타냈다; (3) 그룹 3의 학생들은 얼굴의 거울상에 대한 강한 오개념 때문에 과학적 개념을 포기하였다. 제언 부분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빛 단원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LFSR을 이용한 패턴분류기의 생성 (Generation of Pattern Classifier using LFSRs)

  • 권숙희;조성진;최언숙;김한두;김나령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673-679
    • /
    • 2014
  • 패턴분류기 설계의 중요한 조건은 데이터 처리량이 크고 저장 공간은 작고 낮은 가격대로 구현하는 것이다. Maji 등에 의해 제안된 MACA 기반의 패턴분류기는 DV와 DS를 사용하여 복잡도를 $O(n^3)$에서 O(n)으로 줄였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으로 시간과 공간의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해 LFSR 기반 패턴 분류기를 생성하고 0-기본경로를 이용하여 DV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생성한 패턴분류기의 DV와 끌개에 대해 살펴본다. n-비트 DS=(11 ${\cdots}$ 11)를 m개의 $DV_i$로 분할할 수 있고 다양한 패턴분류기를 생성할 수 있다.

효율적 데이터 의존성 분석을 이용한 바이너리 기반 Null Pointer Dereference 취약점 탐지 도구 (Efficient Null Pointer Dereference Vulnerability Detection by Data Dependency Analysis on Binary)

  • 김문회;오희국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253-266
    • /
    • 2023
  • 널 포인터 역참조 (Null Pointer Dereference) 취약점은 정상적인 메모리 주소를 저장한 포인터가 아닌 널 포인터를 참조할 때 발생하는 취약점이다. 그러므로, 서비스거부공격 (Denial-of-service)와 같은 공격에 악용되어 큰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식별하고 제거해야 할 중요한 취약점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기호실행과 같은 정적분석을 통해 취약점을 탐지하는 방법을 많이 제안하였다. 그러나 커널과 같은 복잡도가 높은 대형 프로그램을 검사할 때는 경로폭발 (path explosion)과 제약조건(constraint solver) 때문에 효율성이 제한되며 주어진 시간 내에 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또는 대형 프로그램 중 일부 함수들 혹은 라이브러리 함수를 탐지할 때 전체 프로그램의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완전한 분석을 수행하지 못해 정확도가 높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스코드가 없는 대규모 프로그램에서 특정한 일부 기능 검사 할 때 빠르고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한 가벼운 취약점 탐지도구를 연구개발 하였다. 변수나 포인터를 기호로 표시하고 프로그램 실행을 에뮬레이션하여, 각 실행경로에서 데이터 의존성(data dependency) 분석과 휴리스틱 방법으로 널 포인터 역참조 취약점을 탐지한다. 기존 bap_toolkit과 실험하여 비교하였을 때 오탐율이 8% 높지만, 존재하는 취약점을 모두 탐지해냈다.

융복합시대 부모의 긍정적양육태도와 부정적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in the Time of Converge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or Attachment)

  • 김광숙;신경실;이훈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39-1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시대에서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양육태도와 부정적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있어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 초4 패널 6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본 연구에 적합한 1,823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애착 및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대한 경로분석 모형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또래애착을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이 확인되었다.

Multiple Path Based Vehicle Routing in Dynamic and Stochastic Transportation Networks

  • Park, Dong-joo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2000년도 제37회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25-47
    • /
    • 2000
  • In route guidance systems fastest-path routing has typically been adopted because of its simplicity. However, empirical studies on route choice behavior have shown that drivers use numerous criteria in choosing a rout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utationally efficient algorithms for identifying a manageable subset of the nondominated (i.e. Pareto optimal) paths for real-time vehicle routing which reflect the drivers' preferences and route choice behaviors. We propose two pruning algorithms that reduce the search area based on a context-dependent linear utility function and thus reduce the computation time. The basic notion of the proposed approach is that ⅰ) enumerating all nondominated paths is computationally too expensive, ⅱ) obtaining a stable mathematical representation of the drivers' utility function is theoretically difficult and impractical, and ⅲ) obtaining optimal path given a nonlinear utility function is a NP-hard problem. Consequently, a heuristic two-stage strategy which identifies multiple routes and then select the near-optimal path may be effective and practical. As the first stage, we utilize the relaxation based pruning technique based on an entropy model to recognize and discard most of the nondominated paths that do not reflect the drivers' preference and/or the context-dependency of the preference. In addition, to make sure that paths identified are dissimilar in terms of links used, the number of shared links between routes is limited. We test the proposed algorithms in a large real-life traffic network and show that the algorithms reduce CPU time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ventional multi-criteria shortest path algorithms while the attributes of the routes identified reflect drivers' preferences and generic route choice behaviors well.

  • PDF

Probabilistic study of the influence of ground motion variables on response spectra

  • Yazdani, Azad;Takada, Tsuyosh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39권6호
    • /
    • pp.877-893
    • /
    • 2011
  • Response spectra of earthquake ground motions are important in the earthquake-resistant design and reliability analysis of structures. The formulation of the response spectrum in the frequency domain efficiently computes and evaluates the stochastic response spectrum. Th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excitation can be described using different functional forms. The shapes of the calculated response spectra of the excitation show strong magnitude and site dependency, but weak distance dependency. In this paper, to compare the effect of the earthquake ground motion variables, the contribution of these sources of variability to the response spectrum's uncertainty is calculated by using a stochastic analysis.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earthquake source factors and soil condition variables are the main sources of uncertainty in the response spectra, while path variables, such as distance, anelastic attenuation and upper crust attenuation, have relatively little effect. The presented formulation of dynamic structural response in frequency domain based only on th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excitation can provide an important basis for the structural analysis in some location that lacks strong motion records.

도시형 자기부상열차용 부상 전자석의 3차원 해석 (3-dimensional Analysis of a Lift-Magnet for MAGLEV)

  • 박승찬;이원민;강병관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1-336
    • /
    • 2008
  • Magnetic path direction in the back-iron of a linear induction motor(LIM) is perpendicular to that of the lift-magnet of the MAGLEV which is recently developing in KOREA. In general the back-iron is isolated magnetically in conventional rail in order to eliminate the thrust dependency of the LIM on the lift force. However the magnetic isolation causes some increase i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cost. So a unit-type rail system is considered, which the magnetic circuit of the back-iron is sharing that of the lift-magnet. In this paper 3-dimensional analysis for the lift-magnet is carried out using finite element method. As a result, a new shape of the unit-type rail is presented to reduce the magnetic dependency between thrust force and lift force. Also the distribution of magnetic flux density vectors and current-lift force characteristics are presented.

  • PDF

Adaptive Attention Annotation Model: Optimizing the Prediction Path through Dependency Fusion

  • Wang, Fangxin;Liu, Jie;Zhang, Shuwu;Zhang, Guixuan;Zheng, Yang;Li, Xiaoqian;Liang, Wei;Li, Yuej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9호
    • /
    • pp.4665-4683
    • /
    • 2019
  • Previous methods build image annotation model by leveraging three basic dependencies: relations between image and label (image/label), between images (image/image) and between labels (label/label). Even though plenty of researches show that multiple dependencies can work jointly to improve annotation performance, different dependencies actually do not "work jointly" in their diagram, whose performance is largely depending on the result predicted by image/label section. To address this problem, we propose the adaptive attention annotation model (AAAM) to associate these dependencies with the prediction path, which is composed of a series of labels (tags) in the order they are detected. In particular, we optimize the prediction path by detecting the relevant labels from the easy-to-detect to the hard-to-detect, which are found using Binary Cross-Entropy (BCE) and Triplet Margin (TM) losses, respectively. Besides, in order to capture the inforamtion of each label, instead of explicitly extracting regional featutres, we propose the self-attention machanism to implicitly enhance the relevant region and restrain those irrelevant. To validate the effective of the model, we conduct experiments on three well-known public datasets, COCO 2014, IAPR TC-12 and NUSWIDE, and achieve better performance than the state-of-the-art methods.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 김선희;백진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477-487
    • /
    • 2018
  • 본 연구는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진로정체성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 조사의 초4 패널 6차년도(2015) 자료를 이용하였고, 조사당시 본 연구에 적합한 중3 재학생 1,823명을 대상으로 변수간의 위계적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또래애착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진로정체성은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스마트폰 의존도는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청소년의 진로정체성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스마트폰 의존도를 완화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흡연중학생의 니코틴 의존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Nicotine Dependency of Smok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 채정화;최연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09-2116
    • /
    • 2015
  • 본 연구는 흡연중학생의 니코틴 의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요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관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금연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D시의 흡연중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3일부터 7월 26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흡연강화요인, 사회적 환경요인, 자기효능감과 충동성은 니코틴 의존에 대해 직접효과 뿐 아니라 간접효과도 나타났다. 따라서 흡연중학생을 위한 금연 프로그램 개발에 흡연강화요인, 사회적 환경요인, 자기효능감, 그리고 충동성 중재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