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sword Recovery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GPU-Accelerated Password Cracking of PDF Files

  • Kim, Keon-Woo;Lee, Sang-Su;Hong, Do-Won;Ryou, Jae-Cheo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11호
    • /
    • pp.2235-2253
    • /
    • 2011
  • Digital document file such as Adobe Acrobat or MS-Office is encrypted by its own ciphering algorithm with a user password. When this password is not known to a user or a forensic inspector, it is necessary to recover the password to open the encrypted file. Password cracking by brute-force search is a perfect approach to discover the password but a time consuming process.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of speeding up password recovery on Graphic Processing Unit (GPU) using a 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 (CUDA). PDF files are chosen as a password cracking target, and the Abode Acrobat password recovery algorithm is examin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gives high performance at low cost, with a cluster of GPU nodes significantly speeding up the password recovery by exploiting a number of computing nodes. Password cracking performance is increased linearly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computing nodes and GPUs.

복구 가능한 패스워드 기반 키 분배 프로토콜 (Recoverable Password Based Key Exchange Protocol)

  • 손기욱;최영철;박상준;원동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97-10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복구할 수 있는 패스워드 기반 키 분배 방식(RPKEP)을 제안하고자 한다. RPKEP는 패스워드 사용자, 사용자와 비밀 키 정보를 공유하는 서버, 사용자의 패스워드 복구를 도와주는 패스워드 복구 에이전트(PRA : Recovery Agency)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방식은 패스워드 기반 키 분배 방식의 안전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는 오프라인 사전 공격(off-line dictionary attack)에 대해 안전하고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비밀 정보가 노출되어도 사용자의 안전성은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스워드 복구 과정에서 D. Chaum의 은닉 서명(Blind Signature) 방식을 응용하여 사용자의 패스워드 복구를 도와주는 PRA 조차 사용자 패스워드에 대한 어떤 정보도 알 수 없도록 하였다.

허니암호의 메시지 복구보안 기능을 위한 암호패딩 문제점 분석 (The Analysis of Cipher Padding Problem for Message Recovery Security Function of Honey Encryption)

  • 지창환;윤지원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6호
    • /
    • pp.637-642
    • /
    • 2017
  • 허니암호(HE:Honey Encryption)는 기존의 패스워드 기반 암호(PBE:Password Based Encryption)의 무차별 대입 공격(Brute Force Attack)에 대한 취약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이다. 잘못된 키를 입력해도 그럴듯한 평문을 출력함으로써 공격자가 엔트로피가 작은 비밀키를 대상으로 무차별 대입공격을 시도하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메시지 복구 보안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HE에 암호화 패딩(Padding)이 필요한 암호(Cipher)를 적용하면 기존의 PBE방식보다 큰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블록암호(AES-128) 및 스트림암호(A5/1)를 적용하여 복호문 빈도분석 실험을 통해 패딩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HE의 안전한 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PDF 버전 1.4-1.6의 CUDA GPU 환경에서 암호 해독 최적 구현 (PDF Version 1.4-1.6 Password Cracking in CUDA GPU Environment)

  • 김현준;엄시우;서화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2호
    • /
    • pp.69-76
    • /
    • 2023
  • 매년 수십만 개의 암호를 분실하거나 잊어버리면서 합법적인 소유자나 권한을 부여받은 법 집행 담당자가 필요한 정보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암호를 되찾기 위해 암호 해독(Password Cracking)이 사용된다. 암호 해독에 CPU 대신 GPU를 사용하면 복구 과정에서 필요한 많은 양의 계산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PDF 1.4 -1.6 버전의 암호 해독에 중점을 두고 CUDA를 사용하여 GPU에서 최적화한다. MD5 알고리즘의 불필요 연산 제거, RC4 알고리즘의 32비트 워드 통합 구현, 공유메모리 사용의 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성능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블록, 스레드 수 탐색을 위해 오토튠 기법을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RTX 3060, RTX 3090 환경에서 블록 크기 65,536, 스레드 크기 96에서 31,460 kp/s(kilo passwords per second), 66,351 kp/s의 처리량을 보였으며, 기존 최고 처리량을 보여주는 해시캣의 처리량보다 각각 22.5%, 15.2%를 향상시켰다.

DID를 사용한 인증서 암호 복구 (A Design of Certificate Password Recovery Using Decentralized Identifier)

  • 김형욱;김상진;김태진;유형근
    • 벤처혁신연구
    • /
    • 제2권2호
    • /
    • pp.21-29
    • /
    • 2019
  • 한국에서 흔히 사용하는 공인인증서 기술에서 사용자들은 그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했을때 항상 다시 설정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분산저장을 위한 블록체인과 PKI, DID를 활용하여 안전한 공인인증서 암호 복구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DID는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블록 ID를 보호하기 위한 스키마이다. PKI에서 사용되는 개인키를 사용자의 생체인식, 예를 들어 지문으로 하여 복잡한 개인키를 기억하는 것을 완벽히 대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현재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FIDO 인증 기술을 기반으로 블록 내부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거쳐 공격자가 데이터를 탈취하는 위험성을 최소화 한다.

Solving the Discrete Logarithm Problem for Ephemeral Keys in Chang and Chang Password Key Exchange Protocol

  • Padmavathy, R.;Bhagvati, Chakravarthy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6권3호
    • /
    • pp.335-346
    • /
    • 2010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difficulty of solving the mathematical problem, namely the DLP (Discrete Logarithm Problem) for ephemeral keys. The DLP is the basis for many public key cryptosystems. The ephemeral keys are used in such systems to ensure security. The DLP defined on a prime field $Z^*_p of random prime is considered in the present study.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solve the DLP is the ICM (Index Calculus Method). In the present study, an efficient way of computing the DLP for ephemeral keys by using a new variant of the ICM when the factors of p-1 are known and small is proposed. The ICM has two steps, a pre-computation and an individual logarithm computation. The pre-computation step is to compute the logarithms of a subset of a group and the individual logarithm step is to find the DLP using the precomputed logarithms. Since the ephemeral keys are dynamic and change for every session, once the logarithms of a subset of a group are known, the DLP for the ephemeral key can be obtained using the individual logarithm step. Therefore, an efficient way of solving the individual logarithm step based on the newly proposed precomputation method is presented and the performance is analyzed using a comprehensive set of experiments. The ephemeral keys are also solved by using other methods, which are efficient on random primes, such as the Pohlig-Hellman method, the Van Oorschot method and the traditional individual logarithm step.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newly proposed individual logarithm step of the ICM. Also, the DLP of ephemeral keys used in a popular password key exchange protocol known as Chang and Chang are computed and reported to launch key recovery attack.

삭제된 공인인증서의 복구 및 개인키 암호화 패스워드의 검출 (The Recovery of the Deleted Certificate and the Detection of the Private-Key Encryption Password)

  • 최윤성;이영교;이윤호;박상준;양형규;김승주;원동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1-55
    • /
    • 2007
  • 공인인증서는 온라인 금융거래와 증권거래 등에서 사용자의 신원 확인을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의 공개키는 공인인증서에 저장되며, 이 공개키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개인키는 보안을 위해 사용자가 설정하는 패스워드로 암호화되어 개인키 저장 파일에 저장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인인증서 관리 소프트웨어에서 정상적으로 삭제된 공인인증서와 개인키 저장 파일이 포렌식 툴을 이용하면 얼마든지 복구가 가능하다는 점을 밝힌다. 그리고 복구된 공인인증서와 개인키 저장 파일을 이용하여 오프라인에서 개인키 암호화 패스워드를 밝혀낼 수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에 따른 대응책을 제시한다.

웹기반의 패스워드 해독 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web-based password recovery system)

  • 이상수;은성경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C)
    • /
    • pp.263-265
    • /
    • 2012
  •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장비로부터 범죄와 관련된 디지털 정보를 발견하거나 복구해내는 디지털 포렌식 기술은 컴퓨터 공학 기술뿐만 아니라 암호학과 같은 다양한 자연과학적 분야들이 적용되는 분야이다. 특히, 용의자가 암호화한 파일을 복호화하거나, 암호화에 사용한 패스워드를 발견해내는 기술은 수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포렌식 수사관들의 의존도가 높은 기술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대부분은 직접적인 복호화보다 패스워드를 유추하거나 발견해내는 기술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패스워드 검사작업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소개하고 이를 웹기반의 분산처리 방식을 통해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의 설계 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On/Off-Line 환경에서의 안전한 보안USB 비밀번호 복구방법 (The Secure Password Recovery Scheme at Secure USB System of On/Off-Line Enviroment)

  • 이선호;이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77-678
    • /
    • 2009
  • USB메모리의 분실 및 도난을 통하여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증가함에 따라 보안USB 솔루션이 개발되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USB 솔루션은 비밀번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제공 하고 있어 비밀번호 분실 시 보안영역에 접근할 수 없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보안USB 솔루션에서 서버를 이용한 비밀번호 백업/복구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이 또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클라이언트에서 비밀번호를 변경 시 변경된 비밀번호가 서버에 동기화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Off-Line 환경에서 변경된 비밀번호를 USB메모리에 안전하게 저장한 뒤 On-Line 환경으로 변경 시 변경된 비밀번호를 서버와 동기화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암호화된 파일의 비밀번호 복구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n Password Recovery of Encrypted Files)

  • 윤세영;김현지;서화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18-221
    • /
    • 2024
  • IT 기술과 매체의 발전으로 자료의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디지털 증거는 현대의 범죄 수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증거들이 암호화되어 있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수사관은 수사 과정에서 직접 암호화를 해제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당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암호화된 파일의 비밀번호를 복구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암호 연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활용하여 복구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안 또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밀번호 복구 도구들을 분석하고, 높은 사용률을 보이는 문서들의 비밀번호를 복구하는 기존 연구들과 함께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