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Differentiated impacts of SNSs on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in Korea

  • Hwang, Dukyun;Paek, Mi Y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8권3호
    • /
    • pp.1-11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different SN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have different impacts on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in Korea. At least in Korea, SNS a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community, blog, micro-blog, profile-based service and instant message service), and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is specified by three types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on-line civic engagement). Using Nielsen KoreanClick's web-based survey data, our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SNS which are more open and focused on information sharing contribute more to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 프로그램 만족도, 사회적 자본에 관한 구조적 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Relations among Adult learners' Participatory Motivation, Program Satisfaction, and Social Capital)

  • 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354-361
    • /
    • 2018
  • 이 연구는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 프로그램 만족도,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에서 프로그램 만족도 변인이 어떻게 매개역할을 하는지 역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 425명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는 사회적 자본에 정(+)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는 프로그램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셋째, 프로그램 만족도는 사회적 자본에 정(+)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넷째, 참여동기와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에서 프로그램 만족도는 부분매개 하였으며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의 향상을 위해서 참여동기를 끌어올리는 방안뿐 아니라 평생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만족도를 통해서 더 향상될 수 있는 만큼 학습자가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제도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생교육현장에서 성인학습자의 사회적 자본을 높이기 위한 방안과 평생교육기관의 역할을 제언하였다.

개인의 사회적 관계가 디지털 기기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적 자본 관점 (Effect of Social Relation on Digital Device Usage: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 구윤모;오주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1권3호
    • /
    • pp.131-149
    • /
    • 2019
  •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보급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접근'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정보의 효과적인 '활용'과 능동적인 '생산', '공유'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가 중요한 것은 디지털 기술의 활용 행태가 개인의 인적, 물적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사회적 불평등 구조를 재생산하거나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가 두 가지 유형의 사회적 자본(결속형, 가교형)을 매개로 디지털 기기의 경제적 활용과 사회참여적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문리서치 업체를 통해 수집된 740건의 설문조사 데이터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개인의 사회적 관계가 수평적일수록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가교형 사회적 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의 사회적 관계는 두 가지 형태의 디지털 기기 활용(경제적, 사회참여적)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사회적 자본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교형 사회적 자본의 경우 두 가지 형태의 디지털 기기 활용 모두에 대해 매개효과가 존재했지만, 결속형 사회적 자본은 경제적 활용에 대해서만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에 대한 해석과 함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자본 형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Social Capital Construction through Social Media: Focused on college students)

  • 이병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97-107
    • /
    • 2016
  • 본 연구는 개방형 네트워킹 사이트라고 할 수 있는 페이스북과 카카오스토리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이용과 이용동기, 그리고 소셜미디어 신뢰를 중심으로 사회자본(연결적 사회자본과 결속적 사회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IBM SPSS 21 프로그램과 IBM AMOS 21 프로그램을 적용,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모형을 기반으로 한 경로분석 등을 수행하여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와 연결적 사회자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셜미디어 이용과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중 즐거움/추억, 그리고 소셜미디어 신뢰가 연결적 사회자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미디어와 결속적 사회자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중 정보/교류, 소셜미디어 신뢰가 결속적 사회자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주도적 마을만들기의 동태적 측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ynamic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Projects in Korea)

  • 전대욱;김혜인;김건위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4권3호
    • /
    • pp.51-74
    • /
    • 2013
  • Recently, Community Rebuilding Projects (hereinafter CRPs) in Korea have been driven and motivated by community inhabitants by themselves, and highlight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overcome the limitation revealed normally in top-down projects of community vitalization by the Government. The CRPs encourage community-lead development because it happens to integrate multiple stakeholders and to help inhabitants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the CRPs by accumulating and enlarging social capital and network among inhabitants, and the social gain consequently raises the efficiency of public investment in revitalizing communities. In this study, the series of Causal Loop Diagrams (CLDs) is to be elaborated and the System-Thinking (ST) approach is to be presented to underst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residing in the above development process of rebuilding communities. The ST approach refers to the CLDs analyzing 19 remarkable Korean CRP cases, and leads to a conclusion including some of policy instruments to support the bottom-up CRPs in Korea. This study contributes a theore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the dynamic 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as well as empirical suggestions to respond to the issues of the CRPs in Korean local governments.

  • PDF

의사소통 행위로서의 조경계획 및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andscape Architecture Planning and Design as Communicative Action)

  • 김연금;이규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3-85
    • /
    • 2003
  • With more and more people paying attention to substantial democracy, participatory democracy is presented as a practical strategy and an index of Korean democracy. In this social and political atmosphere,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sign is essential. Nonetheless, the true meaning of “participation” is not used properly because many people do not understand it correctly, The concept of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s “the action or attempt of ordinary members of society for affecting on the result of decision making.” Based on this concept, participation is accomplished through conventional means and as a form of mobilization in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sist Most of the theories on public participation in landscape architecture are technical theorie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at planning and design of landscape architecture be understood as a communicative action that aims to enable stakeholders to reach a consensus through communication. This study offers the framework of theory to understand and practice planning and design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communicative action, after reviewing communicative action theory and communicative planning theory. Results suggest that communicative action theory should be accepted in landscape architecture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instrumental rationality -- the same way planning theory accepted this theory --and to join the culture of experts focusing on the artistic truth and the culture of life of the world. In addition, accepting communicative action theory enables the acquisition of the instrumental effect and social learning effect and the making of social capital. This study also suggested prerequisite for using the method. There should be change in the social institution and in individual action. In addition the method is composed of three steps: creating the atmosphere for communication; communicating, and; reaching a consensus among stakeholders. Finally, rais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theory presented in this study requires the accumulation of know-how through trial and error.

참여정부 지역혁신 및 혁신클러스터 정책 추진의 평가와 과제 (The Evaluation of Regional Innovation and Innovative Cluster Policies in Korea)

  • 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77-393
    • /
    • 2007
  • 국가균형발전과 지역혁신은 참여정부의 핵심 국정 과제의 하나로서 활발히 추진되어 왔다. 국가균형발전은 지역혁신을 통한 자립형 지방화 실현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그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지역의 내생적 산업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지역혁신체제 구축 및 클러스터 육성 정책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참여정부의 지역혁신 및 혁신클러스터 정책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정책 과제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참여정부 지역혁신 및 클러스터 정책의 문제점으로는 과거보다는 나아졌지만 여전히 하향식 정책 추진 방식이 중심이며, 정책의 중복과 정책 간 연계 미흡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예산 집행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또한 대형 토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하드웨어 중심 사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모든 지역에 동일한 정책적 잣대를 적용함으로써 지역 간 과열 경쟁은 물론이고 지역의 특성과 잠재성이 충분히 발휘될 수 없다는 점도 개선되어야 할 과제이다.

  • PDF

A Participation Income Project to Remove Marine Debris and its Possible Contribution to Creating a Marine Protected Area in Korea

  • Yong-Chang Jang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0-280
    • /
    • 2023
  • The creation of marine protected areas is an important aspect of marine ecosystem sustainability. However, South Korea has not achieved its Aichi Biodiversity Target to designate 10% of its sea as marine protected by 2020. Local residents have strong opposition to the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in South Korea; there has been little trust in the government since the 1970s, when residents felt that their property rights were being ignored in favor of creating national parks. Here, we present a case where creation of a marine protected area was led by residents of TongYeong City. The success of a participation income project to remove marine debris in the city seems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led to the designation of the marine protected area. The case of TongYeong City is compared with that of nearby Geoje City, where an ecologically important stream has not been designated as a wetland protection area, although a similar participation income project enrolled the city's residents. The comparison provides a tentative assessment of the conditions needed to increase trust among resid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if the projects are well-designed and well-managed, participation income projects to remove marine debris can be effective in building trust among stakeholders in potential marine protected areas.

Development of a Family Nursing Model for Prevention of Cancer and Other Noncommunicable Diseases through an Appreciative Inquiry

  • Jongudomkarn, Darunee;Macduff, Col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3호
    • /
    • pp.10367-10374
    • /
    • 2015
  • Background: Cancer and non-communicable diseases are a major issue not only for the developed but also developing countries. Public health and primary care nursing offer great potential for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these diseases through community and family-based approaches. Within Thailand there are related established educational curricula but less is known about how graduate practitioners enact ideas in practice and how these can influence policy at local levels. Aim: The aim of this inquiry was to develop family nursing practice in primary care settings in the Isaan region or Northeastern Thailand and to distill what worked well into a nursing model to guide practice. Materials and Methods: An appreciative inquiry approach involving analysis of written reports, focus group discussions and individual interviews was used to synthesize what worked well for fourteen family nurses involved in primary care delivery and to build the related model. Results: Three main strategies were seen to offer a basis for optimal care delivery, namely: enacting a participatory action approach mobilizing families' social capital; using family nursing process; and implementing action strategies within communities. These were distilled into a new conceptual model. Conclusions: The model has some features in common with related community partnership models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Europe Family Health Nurse model, but highlights practical strategies for family nursing enactment. The model offers a basis not only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family care to help prevent cancer and other diseases but also for education of nurses and health care providers working in communities. This articulation of what works in this culture also offers possible transference to different contexts internationally, with related potential to inform health and social care policies,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care models.

블로그 생산의 이윤화 기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fit Mechanisms’ in Blog Production)

  • 한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7권
    • /
    • pp.307-341
    • /
    • 2007
  • 이 연구는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뤄지는 블로그 생산이 결과적으로 가상공간의 이윤창출 메커니즘에 포섭되는 과정을 밝히고, 그 이면에 있는 이데올로기가 무엇인지 밝히려는 것이었다. 연구는 6개월여 동안 민속지학적 내용분석(ECA)과 참여관찰, 심층인터뷰 등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용자들의 참여가 집약된 블로그는 다양한 직간접 방법을 통해 자본화 도구로 사용되고 있었다. 하나는 포탈이 블로그를 꾸밀 수 있는 아이템을 판매해 수익을 남기는 직접적인 방법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기업을 중심으로 블로그 저자의 온라인 평판과 신뢰도를 구매해 이윤창출 메커니즘으로 활용하는 간접적인 방식이었다. 이러한 이윤화 메커니즘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면접자들이 이윤창출의 기제에 포섭돼 있으면서도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역으로 자신은 인터넷을 능동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었다. 연구 대상자들은 아이템을 구매해 블로그를 꾸미도록 하는 포탈의 전략을 적극적인 자기표현 방법의 하나라고 여기고 있었고, 기업이 주도하는 리뷰어마케팅이나 블로그 마케팅을 통해 광고도구로 전락하면서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믿고 있었다. 이와 같은 '능동적 참' 이데올로기가 가상공간의 이윤화를 지속시키는 강력한 기제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