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9초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중학교 수학교육에서 보조학습 선택 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the Process of Selecting Assisted-Learning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 허재은;김홍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21
    • /
    • 2014
  •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관점에서 중학생들의 수학 보조학습 선택, 유지, 변경 과정과 그 효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이 합리적인 공부 방법을 선택하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보조학습 선택, 유지, 변경 과정과 수업참여 적극성, 보조학습 성과로서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첫째, 본인의 학습 과정과 보조학습이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판단하고 합리적 근거로 보조학습을 선택, 유지, 변경하였다. 둘째, 수업참여 적극성이 높고 내재적 동기에 의한 적극적 행동이 많았다. 셋째, 보조학습이 자신의 수학학습에 미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느끼고 본인의 공부 방법에 확신이 있어 수학적 흥미와 자신감이 향상되었다고 느꼈다.

  • PDF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 학년, 성별, 학교 소재지에 따른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영향 미치는 학교와 사회 환경적 측면의 요인 탐색 (Exploring factors in terms of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 that affect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attitude on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student's academic level, grade, gender, and school location)

  • 정혜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1호
    • /
    • pp.151-17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학교 수학 수업, 학교 수학 평가, 수학 교과서, 수학 사교육, 진학과 진로, 사회 분위기의 측면에서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학년과 전공, 학업성취도, 성별, 학교 소재지에 따른 고등학생 1,0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해 SPSS ver 29.0을 이용한 기술통계량, t 검정과 ANOVA,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생 전체적으로 진학과 진로 및 학교 수학 수업이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성별에 따라 정의적 태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생 변수에 따라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영향 미치는 각 요인의 세부항목에 대한 학생 반응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 개선을 위해 수학 수업 방식의 다양화, 수학 교과서 개선, 수학 사교육에의 올바른 참여, 진학과 진로에서 수학의 활용성 및 사회에서 수학의 중요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 개선, 부모의 정서적 지지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초저출산은 지속될 것인가? (Is Lowest-Low Fertility going to Continue in Korea?)

  • 정성호
    • 한국인구학
    • /
    • 제33권2호
    • /
    • pp.113-136
    • /
    • 2010
  • 초저출산에 관한 논의는 장래 인구추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초저출산 추세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이 가능하다. 첫째, 초저출산 경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인가 혹은 가까운 장래에 사라질 일시적인 현상인가 하는 질문이다. 둘째, 현재의 초저출산은 가장 낮은 수준에 이르렀는지 혹은 앞으로도 더욱 감소할 것인지에 관한 질문이다. 셋째, 초저출산 현상은 세계적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는지 혹은 남부 및 동부 유럽과 같은 지역에 한정되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이러한 질문들과 연계된 이슈들은 장래의 인구학적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앞에서 제기한 질문들에 대한 답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초저출산 추세는 일시적인 추세가 아니라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혼인연령과 출산력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 역시 초저출산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한다. 둘째, 초저출산의 수준에 관한 것으로 앞으로 출산수준이 더 낮아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최근 초저출산을 가져온 다양한 요인들이 개선되지 않거나 초저출산 추이를 막기 위한 정책이 미흡하면 현재보다 더 낮은 출산 수준이 나타날 가능성은 높기 때문이다. 셋째, 유럽의 경우와 다르게 한국, 타이완, 홍콩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초저출산이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아마도 자녀양육 및 교육에 대한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높은 교육비 부담과 육아부담을 줄이는 정책적 고려 없이 출산율이 회복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난망 하다는 지적에 주목해야 한다.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Patterns in Relation to Weight Statu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Nairobi County, Kenya

  • Mwangi, James;Njogu, Eunice;Kiplamai, Festus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5권5호
    • /
    • pp.1-10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patterns of university students in Nairobi County and compared to their weight status. The study was a cross-sectional analytical design with a sample of 260 undergraduate students randomly selected from two private and two public universities.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gather information from students. Students weight and height measurements were also obtain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2.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53.5% of the students met the recommended levels of moderate physical activity and 18.8% of the students met the recommended levels of vigorous physical activity. Majority of the students consumed fast foods sweetened beverages and pastries most times in a week. The study also showed that 31.2% of the students were overweight and 6.2% were obese. The study reveals that most students did not achieve the recommended levels of vigorous physical activity and showed some poor dietary patterns. Findings show clear evidence of high prevalence of overweight among university students but focus should be on fitness rather than fatness.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good dietary practices within university environments.

문화재지킴이 정책의 협력적 거버넌스 운영 체계 연구 (A Study on Collaborative Governance: Focusing on the Cultural Heritage Guardians)

  • 장영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1호
    • /
    • pp.184-205
    • /
    • 2021
  • 사회 운영 및 공공 정책 관리의 새로운 개념과 원리로서 거버넌스가 중시되고 영향력도 점차 강화·확산되고 있다. 다양한 거버넌스 이론과 사례 분석 연구가 활성화되는 가운데 여러 거버넌스 개념을 포용하면서 참여와 타협을 넘어 상호의존성과 책임감을 높이고 최적화된 사회적 조정 양식을 혼합·활용하여 새로운 공공 가치를 창조하는 협력적 거버넌스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문화재 분야에서도 공공 정책 집행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 공공 서비스 확장성을 위해 거버넌스 관련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정부 역할론(촉진·중재·여건조성)에 주목하면서 문화재 분야 협력적 거버넌스의 운영 체계를 파악하고자 '문화재지킴이' 정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문화재 분야 거버넌스 정책의 흐름 속에서 문화재지킴이 정책의 도입과 전개 과정, 운영 방식 등을 통해 문화재지킴이 정책의 위상과 역할, 특징을 조명해보았고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에서 전반적인 참여 주체와 협력 구조, 협력 방식과 상호작용, 정책적 특징의 분석과 함께 문화재지킴이 정책의 파트너십 부문은 안셀·개쉬(Ansell & Gash) 모형의 분석틀로 활용하여 세부적인 협력 체계와 작동 방식을 확인하였다. 문화재지킴이 정책의 특징과 분석 결과를 보면 문화재 분야에서 민간 주도 또는 수평적 민관 협력의 협력적 거버넌스로 본격화된 정책적 대표성을 갖는 점, 민간 모델의 정책 도입과 연대 및 전담 조직과 전문 인력이 주요한 성공 요인으로 작용한 점, 그리고 모형 분석에서는 자원·지식의 불균형과 협력 선례 등이 참여 유인 증가의 배경이 되고 다자간 협력 지향의 개방성과 포괄성, 전담 조직의 공공 리더형 리더십과 참여기관의 오너십 확장, 협력 과정의 순서 재배열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정책 운영의 환경과 조직, 협력 방식에서 한계를 가져 협력 중심의 포괄적인 법률적 안정성 구축, 전담 조직의 전략적 개편, 중간 지원 조직의 역량 강화와 지원, 분야별로 개별적·다자간 협의체 운영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일부 지체장애인의 미치료 경험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untreated experiences among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

  • 유소연;김예순;홍현숙;천미경;모진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65-584
    • /
    • 2011
  • Objective: This study is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forms of untreated experiences in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 Method: The data collected from 461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 in community. Based on the Behavioral Model of Andersen,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factors are hypothesized to affect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s untreated experiences.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 Participation rates of untreated experiences were 26.7%. The significant factors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s untreated experiences are predisposing factors (gender, partner, and religion), enabling factors (income, private insurance, information of assistive device,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subjective discrimination), and need factors(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 screening and chronic disease). Also untreated experiences related to gender, 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 screening, and chronic disease factors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 recommend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care utilization, subjective health statue. Especially,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and program should be needed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y.

한국의 신빈곤현상과 탈빈곤정책에 관한 연구: 근로빈곤층(the working poor)의 실태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New Poverty and Change of Poverty Policy in Korea)

  • 김영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2호
    • /
    • pp.41-70
    • /
    • 2005
  •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구조변화에 따른 빈곤형태의 변화를 고찰하고 신빈곤층의 탈빈곤을 위한 정책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빈곤정책은 노령, 실업, 장애, 질병 등 노동능력 상실과 관련된 절대빈곤층에 초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경제위기 후 증가하는 빈곤의 특성은 노동시장 참여가 더 이상 탈빈곤의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 되었다. 본 연구는 근로빈민을 대상으로 경제위기이후 경제상황변화, 복지상황, 사회적 위험에 대한 경험 및 대응방식에 대해 경험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탈빈곤정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근로빈민층은 경제위기이후 실업, 소득감소 등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위험을 경험했으며 불안정한 고용상황, 취약한 복지상황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탈빈곤정책으로 소득안정정책, 직업훈련 및 기술교육정책, 적극적인 사회복지정책 등을 제시하였다.

  • PDF

패션디자인 CAD의 온라인 교육 방법 연구 -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텍스프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Online pedagogical strategies of a fashion design CAD course - Focused on Adobe Photoshop, Illustrator, and Texpro programs -)

  • 권상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5호
    • /
    • pp.717-73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online pedagogical strategies for a fashion design CAD course to enhance student learning and satisfaction. The study investigated student experience of online learning and compared online learning with a face-to-face learning experience. Student concentration, participation, perceptions of effectiveness of teaching, utilization of learning materials,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nline learning as well as advantages of face-to-face learning were also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Student concentration,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of effectiveness of teaching were greater for face-to-face learning with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 on individual practice. Students utilized video recording of synchronous online lectures more actively than PDF lecture notes. The advantages of face-to-face learning were plentiful communication and feedback and easy questioning process as well as high levels of understanding and concentration. Meanwhile, major disadvantages of online learning were the speed of the lecture, lower levels of understanding and concentration, limited peer interaction, and technical problems. Major advantages of online learning were flexibility and convenience, repetitive learning through videos, and instant communication and feedback. Students preferred a blended learning approach for the fashion design CAD course. For effective online learning, it is suggested that instructors frequently question and check student practice through screen share in a private online meeting room and engage activities that are demanding of student interaction. The video recording of synchronous online lectures is also suggested as a supplemental learning material for repetitive learning.

군진 한의학 근거 기반 구축을 위한 한의군의관 진료 현황 및 인식 조사 연구 (Survey of Korean Medicine Military Doctors for Establishing Clinical Evidence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in Military Medical Service)

  • 권오진;김은정;엄유식;박상민;김동수;박효주;김주희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73-85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and to analyze problems and demands to provide basic data on Korean medicine in military medical services. Methods: This survey was completed by 30 volunteer Korean medicine military doctors on service via a web-based questionnaire system.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medicine military doctors and consisted of general information on the subject,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environment, current status of Korean medicine care in each workplace, problems and needs, and related clinical evidence and education. Results: Korean medicine military doctors administered acupuncture treatment most frequently in clinical practice. The most common complaints were related to musculoskeletal diseases, which accounted for 86.5% of all diseases, including those of the respiratory, digestive, and nervous systems. Most of the problems in Korean medicine care were pointed out as being due to a lack of awareness of Korean medicine in the military. Many doctors were aware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linical evidence for Korean medicine in the military, and were also positive about the possibility of performing clinical research in the military, but the experience of actual participation in clinical research or related education was uncommon. Conclusions: Korean medicine military treatment differs from private medical care due to the specificity of each workplace and the military medical system.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n appropriate Korean medicine treatment model in the military suitable for these characteristics and strategic plans for clinical evidence.

국민건강증진사업 10년의 성과 (Achieve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in Korea)

  • 이규식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3-171
    • /
    • 2006
  • There has been 10 years since the Health Promotion Act was legislated. The government began to establish a health promotion fund on the basis of Health Promotion Act in 1995, and to manage and operate the fund from 1998. It is evaluated that health promotion program have had various outcomes in many aspects. First, there has been growing awareness of the impotance of health promo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Health Plan 2010 and the effort to actualize the Plan. Second, the importance of securing health equity and identifying health determinants have been recognized during the planning process of Health Plan 2010. Third,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have mainly focused on improving healthy life style of the population. As a result, desirable health behavior change of the population could be expected from the result of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ourth, public health centers began to play a crucial role in implemen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began to build infrastructure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Fifth, management efficiency of private health related organizations have been improved. Finally, training for health promotion personnel and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could be the foundation for the higher level of outcome achievement from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Important challenges for future health promotion would be identification of the determinants and risk factors of health, formulating plan of reg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building infrastructure for health promotion, creation of specific action model by public health center,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conducting research for evidence concerning major factors reducing the need for health care through prevention disease activities, and establishment of evaluation and feed back system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