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al Test

검색결과 1,779건 처리시간 0.036초

중년 성인의 일의 의미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 (The Impact of Meaning in Work on Happiness in Mid-aged: Mediating effect of Meaning of Life)

  • 조설애;정영숙;이재식;주미정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871-882
    • /
    • 2018
  •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일의 의미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중년 성인 171명을 대상으로 일의 의미, 삶의 의미 및 행복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를 이용하여 상관 및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의 의미, 삶의 의미 및 행복 변인들은 모두 정적으로 상관이 나타났다. 즉, 일의 의미 수준이 높으면 삶의 의미, 행복 수준 또한 높았다. 그리고 삶의 의미와 행복 사이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관찰되었다. 즉, 삶의 의미 수준이 높으면 행복 수준도 높았다. 둘째, 일의 의미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즉 일의 의미는 행복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일의 의미는 삶의 의미 수준을 높이고, 이러한 높은 삶의 의미는 다시 행복의 수준을 높여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일의 의미가 행복과 삶의 의미를 높이는 것을 확인한 동시에, 일의 의미와 행복 사이의 관련성을 이해하는데 삶의 의미가 중요한 기여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훈련이 하체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and Toe Taping Walk Training to Lower Body Exercise Function)

  • 강지수;이종복;조일영;김현태;김종혁;김인동;김재중;박정범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7호
    • /
    • pp.51-63
    • /
    • 2023
  • 본 연구는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훈련 운동을 통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주간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운동이 하체기초체력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에 재학중인 20대 여성 30명을 무선 선정하여 발목강화운동군, 무지테이핑 걷기운동군, 통제군 각 10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실험으로는 주 3회 60분간 4주간 수건 및 마사지볼, CRT를 이용한 마사지와 발목강화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화이트 테이프 처치 후 20분간 걷기 및 키네지오 테이프를 이용한 무지외반 테이핑을 실시하였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본다면 4주간의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운동은 20대 여성의 하체기초체력(근력, 순발력, 평형성)과 보행(활보장, 족저압, COP)에는 통계적으로 일부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운동이 하체 운동기능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후속연구에서는 통증위치별, 정형외과적 소견별로 나누어 보다 다양한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프랜차이즈 브랜드에서 모델의 매력성 및 적합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ttractiveness and Match-Up of Model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Franchise Brands)

  • 안병옥;허정무;이동한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8권4호
    • /
    • pp.7-19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del attractivenes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nd examine whether product-model match-up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l attractiveness and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model attractiveness is consist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attractiveness of the model. The authors investigate how product-model match-up influence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l attractiveness -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is to test whether product-model match-up influence the form and effectiveness of a model attractivenes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nd suggest the effective and efficient methods in the model selection strategies to increase advertising effective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experimental design for this study was the between subject design based on 2 group of the psychological attractiveness(high vs. low) × product-model match-up(high vs low) and 2 group of the physical attractiveness(high vs. low) × product-model match-up(high vs low). And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develop experimental stimuli through manipulation check to enhance the external validity of experimental research. The attractiveness of the model and product-model match-up are independent variables and manipulative variables in presentation of experimental stimuli. The self-administered method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300 subjects in four group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Result - The findings provide partial support for a moderator for product-model match-up on the model attractiveness -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irst,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attractiveness and physical attractivenes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as shown significant. Also,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value of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psychological attractive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 of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physical attractiveness in additional analysis. Second, the average value of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higher when product - model match-up was high in both high and low psychological attractiveness and physical attractiveness of the model. However, in the case of psychological attractiveness, the correlation effect with product - model match-up was significant, but in the case of physical attractiveness, it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ttractiveness factor should be considered in selecting the ad model by verifying the effect of the attractiveness of the model on the advertising effect.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in terms of suggesting such implications that the advertising effect of psychological attractiveness and physical attractivenes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 by additional analysis.

융합독서교육이 청소년의 융합적 소양에 미치는 영향 -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on the Convergence Literacy of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 조수연;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51-178
    • /
    • 2023
  • 이 연구는 융합독서교육모형을 토대로 학교도서관 독서수업을 실시하여 청소년의 융합적 소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및 문헌을 바탕으로 미래지향적 역량을 위한 융합적 교육의 요소를 독서교육의 차원에서 도출하였고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융합적 소양 검사를 수행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22년 3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12차시에 걸쳐 독서수업 및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융합독서교육과 자율독서교육을 각각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융합적 소양의 증진에 있어 독서교육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융합독서교육은 융합력, 창의력, 자기주도성 및 소통능력 등 청소년의 융합적 소양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융합독서교육이 융합적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학습동기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검증한 결과, 학습동기는 융합독서교육과 융합적 소양 사이에서 창의력, 자기주도성, 소통능력에 대해서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며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융합력에 대해서는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탄수화물의 급원과 식이섬유의 종류를 달리한 식이가 제 2형 당뇨 쥐의 당대사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with Different Source of Carbohydrate and Fiber on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in Type 2 Diabetic Rats)

  • 권상희;정혜진;심지애;손영애;김미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7-165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ructose(F) or sucrose(S) and guar gum intake on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in 15-week-old male Goto-Kakizaki(GK) rats. Fift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5 groups which were different in carbohydrate(25% of carbohydrate) and fiber(5% w/w) sources. The carbohydrate(CHO) sources of each group were comstarch(control group, 100% of CHO), fructose with cellulose(F), fructose with guar gum(FG), sucrose with cellulose(S), and sucrose with guar gum(SG). Each group was fed exterimental diet for 4 weeks. We measured food intake, body weight gain, adipose tissues weight and organs weight. We conducted oral glucose tolerance test(OGTT) and measured plasma insulin concentration to examine carbohydrate metabolism. To evaluate lipid metabolism, we measured the lipid profile of plasma, liver and feces. Food intake and weight gain of FG or SG groups tended to be less than those of F or S groups. Perirenal and epididymal fat pad weights of SG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 group and those of FG group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F group. In OGTT, blood glucose values of F or S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 group, and FG or SG groups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F or S groups during the experimental time. The area under the curve(AUC) of C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st among the groups, AUC and plasma insulin concentration of FG or SG groups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F or S groups. Plasma and hepatic triglyceride (TG) of FG and SG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F and S groups, plasma and hepatic total lipid(TL) and total cholesterol(TC) of FG and SG groups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F and S groups. Fecal TL, TG and TC of FG or SG groups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F and S groups. In conclusion, intake of guar gum should improve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in partial substitution of fructose or sucrose for cornstarch in GK rats.

노면표시 제거 장비 개발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블래스터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ry-Ice Blaster for Development of Automatic Stripe-Line Removal)

  • 구자경;문득수;;이태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2D호
    • /
    • pp.245-253
    • /
    • 2009
  • 도로시설은 교통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인프라 시설로, 원활한 교통흐름을 위해 다양한 정보를 노면에 포함하고 있다. 노면에 표시된 다양한 정보는 차량 소통으로 인한 부분 파손 및 노화에 의해 제거되고 다시 표시되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해당 도로의 교통정보의 변화에 따른 노면표시 정보를 새로 표시하기 위해 기존의 것을 제거해야 한다. 종래의 노면표시 제거방법은 그라인더와 토치를 이용하여 인력작업으로 작업장비의 위험성과 함께 작업자가 운행 중인 차량에 직접 노출 되는 점과 아스팔트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초 고압수를 이용한 워터젯 시스템은 노면표시 제거작업에 활용되고 있으나 물탱크에 따른 작업의 제약 및 작업 후 도로표면에 남은 수분의 결빙 및 한정된 도료의 제거 등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면표시 제거 작업공정 분석 선행연구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블래스터 도입의 자동화 차선제거 시스템 개발을 위해 프로토타입 개발을 수행하였다. 또한 환경과 작업성을 고려한 새로운 노면표시 제거 자동화 장비의 제안을 위한 드라이아이스 블래스터 장비 도입의 가능성을 테스트를 통해 파악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노면표시 중 차선 제거를 하는데 소요되는 작업 비용을 새로운 방법과 비교 분석 하였다.

서울지역 장·노년층의 인터넷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사회활동에 관한 연구: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집단비교 (The Research of Ability to Use Internet, Interpersonal Skill, and Social Activity among the 50's and 60's in Seoul: Latent Mean Analysis)

  • 김동배;김상범;김세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733-74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시대 장·노년층의 인터넷활용능력과 사회활동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또한 장·노년층 세대 내 정보화격차를 고려하여 50대와 60대 간의 인터넷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사회활동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서울시복지재단에서 실시한 2008년 서울시복지패널조사이며, 50대 644명과 60대 297명이 최종분석대상으로 추출되었다. 연구방법은 대상자의 특성, 집단 간 평균비교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기술 분석, t-test,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매개모형의 검증과 50대와 60대 간의 평균비교를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활용능력과 사회활동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잠재평균분석 결과 50대는 인터넷활용능력이 높으며 60대는 사회활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화시대 장·노년층의 정보화교육은 노년기 사회활동을 증대할 수 있는 인터넷커뮤니케이션 활용기술과 관련되어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세대 내 인터넷활용능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입증하였다.

자활사업참여자의 가족탄력성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in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 김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607-61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참여자의 가족탄력성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강원도의 지역자활센터 참여자 283명이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매개효과 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차이검증은 돌봄가족이 있는 경우 자활의지 수준이 더 높았다. 연령이 30대 이하보다 40-50대, 결혼상태가 미혼보다 결혼, 건강상태가 매우나쁨보다 보통이거나 매운건강한 경우, 돌봄가족이 있는 경우 가족탄력성 수준이 더 높았다. 건강상태가 매우나쁨보다 매우건강함인 경우, 부채가 없는경우 정신건강 수준이 더 높았다. 둘째,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돌봄가족이 있을수록, 가족탄력성과 정신건강 수준이 높을수록 자활의지 수준이 높았다. 셋째, 매개효과 분석결과 가족탄력성과 자활의지 사이에서 정신건강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자활사업참여자의 자활의지 수준 향상을 위한 요인으로 가족탄력성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노인자원봉사 활동과 지역사회 역량에 관한 지역사회 소속감 매개효과 연구: 보건복지부 노인전문자원봉사 지원사업 참여노인들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nse of Commun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ing and Community Capacity among Older Adults: Focused on the Older Participants of the Government-Sponsored Elderly Volunteer Program for Prevention of Depression and Suicide)

  • 이금룡;김진원
    • 한국노년학
    • /
    • 제39권1호
    • /
    • pp.73-9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원봉사활동이 노인의 지역사회 소속감과 지역사회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 관계에서 지역사회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에서 2016년 보건복지부의 노인자원봉사 활성화 지원사업으로 수행하고 있는 우울·자살예방 노인전문자원봉사 지원 사업에 참가한 2,544명 중 사전·사후에 모두 응답한 1,416명이 분석 대상이다. 연구방법은 빈도 분석, 기술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변수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다중회귀분석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고, Sobel test를 통해 지역사회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자원봉사활동 기간 동안 노인들의 지역사회 소속감과 지역사회 역량이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 자원봉사활동 관련 변인과 지역사회 역량과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본 사업 이전의 봉사활동 기간에서 완전 매개, 본 사업에 대한 봉사활동 전반적 만족도에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소속감이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역량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파악하고 노인자원봉사활동이 지역사회를 통하여 소속감과 지역사회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는 이론적 함의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객체 인식 모델과 지면 투영기법을 활용한 영상 내 다중 객체의 위치 보정 알고리즘 구현 (Implementation of AI-based Object Recognition Model for Improving Driving Safety of Electric Mobility Aids)

  • 박동석;홍순기;박준모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19-12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전동 이동 보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의 이동을 저해하거나 불편을 초래하는 횡단 보도, 측구, 맨홀, 점자블록, 부분 경사로, 임시안전 방호벽, 계단, 경사형 연석과 같은 주행 장애물 객체를 촬영한 뒤 객체를 분류하고 이를 자동 인식하는 최적의 AI 모델을 개발하여 주행 중인 전동 이동 보조기 전방에 나타난 장애물을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구현하고자 한다. 객체 검출을 높은 확률로 AI 학습이 될 수 있도록 데이터 셋 구축 시 라벨링 형태를 폴리곤 형태로 라벨링 하며, 폴리곤 형태로 라벨링 된 객체를 탐지할 수 있는 Detectron2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Mask R-CNN 모델을 활용하여 개발을 진행하였다. 영상 획득은 일반인과 교통약자의 두 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테스트베드 2개 지역에서 얻어진 영상정보를 확보하였다. Mask R-CNN 학습 결과 파라미터 설정은 IMAGES_PER _BATCH : 2, BASE_LEARNING_RATE 0.001, MAX_ITERATION : 10,000으로 학습한 모델이 68.532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인 것이 확인되어 주행 위험, 장애 요소를 빠르고 정확하게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딥러닝 모델을 구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