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8.607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in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Kim, Jung-Hee (중앙승가대학교 불교사회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in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in the relationship. The survey subjects were 283 participants from a local self-support center in Gangwon-do. As for the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and difference verification were performed. Als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method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First,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test, the level of self-support was higher when there was a caring family. The level of family resilience was higher in those who were in their 40s and 50s than in their 30s or less, married than unmarried, had normal or excellent health conditions than deplorable health conditions, and had a caring family. Mental health quality was higher in very healthy people rather than in people who had poor health. Also, people with no dept had a higher mental health qual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n self-support, the higher the age, the more caring families, the higher the level of family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the higher the self-sufficiency. Third,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mental health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Therefore,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family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as a factor in improving the level of self-sufficiency in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Keywords
Family Resilience; Self-sufficiency; Community Self-sufficiency Center; Mental Health;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장창수, 윤경아, 배지연, "자활사업참여자의 자활의지 예측요인 및 경로: 대전지역의 경험," 지역사회연구, 제23권, 제4호, pp.123-143, 2015.   DOI
2 김선경, 저소득 자활 참여 여성의 우울감과 자활의지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DOI
4 박서윤, 다문화가정의 가족탄력성과 결혼만족도에 대한 연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한국 남성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5 이희윤, 기혼중년남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스트레스 인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6 성미애, 진미정, 장영은, 손서희, "코로나19에 따른 1 인가구의 일상생활 변화 및 스트레스,"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5권, 제3호, pp.3-20, 2020.
7 https://whatsnew.moef.go.kr/mec/ots/dif/main.do.
8 한국노동연구원, 자활사업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노동부 자활사업을 중심으로-, 2002.
9 보건복지부, 2018년 자활사업 안내, 2018.
10 보건복지부, 2022년 자활사업 안내 I, 2022.
11 이진석, "긍정적 가족관계가 자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자활사업참여자의 가정-일 충실화 과정,"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54권, pp.195-217, 2017.
12 장용언, "서울지역 자활사업참여자의 가족응집력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3호, pp.127-156, 2015.
13 엄태영, "한국 자활사업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조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6권, pp.357-386, 2013.
14 이상도, "자활사업참여자의 자기효능감과 자립의지와의 관계,"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pp.171-179, 2019.
15 김용석, 이재완, 한영미, 김묘정, 정한샘, 최현정, 이석호, "자활사업참여자의 음주문제, 참여기간, 자활의 지간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제67권, 제1호, pp.143-163, 2015.   DOI
16 구인회, "빈곤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빈곤 이행: 경제 위기 이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48권, pp.82-112, 2002.
17 L. E. Amy, Situational and psychological predictors of successful transitions from welfare to work,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2000.
18 이인수,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가족심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정신장애 자녀를 둔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9권, 제2호, pp.221-239, 2004.
19 S. Gay and E. Borus, "Validating performance indications for employment and training programs,"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Vol.15, No.1, pp.29-48, 1980.   DOI
20 장덕희, 김정은, "자활사업참여자의 가족탄력성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제8권, 제2호, 통권21호, pp.295-312, 2017.
21 송인한, 박장호, 김리자,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차이: 남성과 여성 자활사업참여자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제17권, 제3호, pp.457-474, 2012.   DOI
22 김선경, 저소득 자활참여 여성의 우울감과 자활의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3 이래혁, 김승아, 노혜진, "자활사업참여자의 심리사회 특성이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자활후원기관협회 자활사업논문공모전 자료집, pp.6-39, 2007.
24 최별, 이성규, "사회적지지와 노숙인의 자활의지간 우울의 매개효과," 정신보건과사회사업, 제47권, 제1호, pp.119-146, 2019.
25 황보람, 이진열, 김영진, 최은미, "자활서비스 질이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희망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정책, 제42권, 제1호, pp.265-292, 2015.   DOI
26 최윤정, "여성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정책연구, 제19권, 제2호, 2019.
27 이종례, 장수미, "농어촌지역 자활센터 참여자의 우울과 자활성과,"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70권, pp.51-79, 2019.
28 배재숙, 자활사업참여자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9 S. Seiling, "Changes in the lives of rural low-incom mothers: Do resources play a role in stress?,"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Vol.13, No.1, pp.9-41, 2006.   DOI
30 World Health Organizaion, Promotion mental health: Concepts, emerging evidence, practive: Summary report, 2005.
31 김교성, 강철희,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2권, pp.5-32, 2003
32 김부강, 저소득여성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3 이상록, "자활사업에 대한 자활사업참여자들의 인식과 태도가 자활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21권, pp.105-136, 2003.
34 R. L. Hawkins, How Low-incom single mother leave welfare for economic self-sufficiency: The role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Ph. D. Dessertation, Brandeis University, 2002.
35 배옥란, 자활사업참여자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용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6 박지현,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7 김정희, "자활사업참여자의 가족탄력성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정책, 제25권, 제3호, pp.1-15, 2021.
38 L. E. Gary,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a Select Population of Black M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75, pp.1220-1222, 1985.   DOI
39 D. Belle, "Poverty and women's mental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Vol.45, No.3, pp.385-389, 1990.   DOI
40 S. Weich and G. Lewis, "Poverty, unemployment, and common mental disorders: population based cohort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Vol.317, No.7151, pp.115-119, 1998.   DOI
41 강수운,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지지와 자활의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 의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42 B. L. Green and A. Rodgers, "Determinants of social support among low-income moters: A longitudinal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29, No.3, pp.419-441, 2001.   DOI
43 도유희, 이상록, "자활사업참여자의 구직효능감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제15권, 제3호, pp.65-94, 2013.
44 Kevin W. Mossholder, "Effect of externally mediated goal settng on intrinsic motivation: A laboratory experi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5, No.2, pp.202-210, 1980.   DOI
45 김승의, 자활사업참여자의 자활의욕 및 취업.창업 관련 활동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46 장용언, 서정열, 황현주, "서울지역 심리적 자본이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제15권, 제1호, pp.149-162, 2014.   DOI
47 박경숙, 박능후, 저소득층 여성가장 생활실태 조사 및 자활 프로그램 개발, 경기도, 2001.
48 S. Payne, Poverty, social exclusion and mental health: findings from the 1999 PSE Survey.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Survey of Britain: Townsend Centre for International Poverty Research, Bristol: Iniversity of Bristol, 2000.
49 F. Walsh, "Editorial: The Resilience of the field of family therap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Vol.24, No.3, pp.269-271, 1998.   DOI
50 D. Hawley and L. DeHaan, "Toward a definition of family resilience: Integrating life-span and family perspectives," Family Process, Vol.35, No.3, pp.283-298, 1996.   DOI
51 박재민, 유태균, 최수영, "자활사업참여자의 정신건강이 자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제41권, 제4호, pp.125-146, 2014.   DOI
52 홍은숙, "가족탄력성 척도 타당화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제53권, 제2호, pp.1-22, 2018.
53 http://www2.psy.unsw.edu.au/Groups/Dass/Korean/Korean%EH%Lee.htm, 2022.04.21.
54 최은주, 빈곤 여성가구주의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55 P. F. Lovibond and S. H. Lovibond, "The structure of negative emotional states: Comparison of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 (DASS), with the Beck Depression and Anxiety Inventori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33, No.3, pp.335-343, 1995.   DOI
56 박장호, 자활사업참여자의 주관적 건강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의 정서적지지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