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medic students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18초

SimPad를 이용한 현장중심형 심폐소생술과 영상자가학습 심폐소생술의 질 비교 (A Comparison of Quality of SimPad based on Field Focus Type CPR and Video Self-lnstruction CPR)

  • 김예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207-214
    • /
    • 2019
  • 본 연구는 SimPad를 이용한 현장중심형 심폐소생술과 영상자가학습 심폐소생술의 질을 비교 분석하여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교육방법을 모색하고, 심폐소생술 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자 및 자료수집은 G광역시에 위치해 있는 G대학교의 심폐소생술 강의를 이수한 응급구조과 1학년 64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14일부터 2018년 12월 5일까지 시행하였으며, SPSS ver.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중심형 심폐소생술이 영상자가학습 심폐소생술보다 CPR 총 점수, 압박점수, 압박깊이, 가슴압박율, 압박속도, 인공호흡점수, 총 호흡수 영역에서 심폐소생술 질이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중심형 심폐소생술을 이용하여 교육법이 기존의 영상자가학습 심폐소생술 교육법보다 심폐소생술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심폐소생술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Research on Paramedic Student Type of Perception for 119 Rescue Workers

  • Lee, Jae-M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27-137
    • /
    • 2021
  • 본 연구는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119구조대원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이며, 소방공무원 중 119구조대원의 인식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27개의 진술문으로 된 Q 표본을 응급구조과 학생 총 54명을 대상으로 Q UANL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분석한 결과 분류된 유형은 3개 유형으로, 전체 변량의 45 %로 확인되었다. 각 유형별 설명력을 보면 제I유형은 32 %, 제II유형은 6.7 %, 제III유형은 5.8 % 로 나타났다. 제I유형은 '우리의 슈퍼맨형', 제II유형은 '고통 받은 영웅형', 제III유형은 '구조 전문가형'으로 명명하였다. 전체적으로 119구조대원은 사전적인 구조대원이 있었으며 힘든 상황에서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의해 힘들어하고 시민이 감싸주고 보호해 주어야 하는 119구조대원이 있었다. 또한 전문분야로 인정받으며 요구조자를 한 치의 실수 없이 인명 구조를 실시하는 119구조대원의 인식이 있었다. 이에 119구조대원이 구조의 전문분야로 인정받기 위해 다양한 훈련 및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고 연구되어져야 한다.

글로벌 재난 역량 개발 프로그램이 응급구조과와 간호학과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lobal disaster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on paramedic and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s)

  • 강선주;박미화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3-94
    • /
    • 2014
  • 연구 목적 : 우리나라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국제구조대와 한국재난대응팀을 파견하고 있으며 이는 공적개발원조의 하나인 해외긴급구호활동에 해당하는 것으로 주로 소방대원과 의료인들이 활동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글로벌 재난 역량 개발 프로그램이 응급구조과와 간호학과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추후 학부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본 프로그램은 ICN에서 제시한 "재난간호역량체계"를 기본 틀로 4개 영역 10개 도메인으로 역량을 구분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프로그램은 2013년 8월 12일부터 23일까지 2주간 사례학습, 토론, 전문가 특강, 태국 카렌지역 현지방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었으며 참석학생은 총 18명이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5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국제재난역량 지식수준은 10점 척도로 측정하여 프로그램 전후 지식수준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외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재난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변화를 보았다. 연구 결과 : 프로그램 만족도는 $4.50{\pm}0.51$로 매우 높았으며 국제재난관련 지식의 변화는 전체 항목 평균 $2.18{\pm}0.68$에서 $6.30{\pm}0.84$로 상승하였다(p <.001). 그 외 프로그램의 신청 동기는 다중응답으로 다양한 경험을 쌓기 원해서(14명), 해외봉사에 대한 관심(11명), 국제기구에 대한 관심(7명) 등으로 조사되었다. 결 론 : 첫째, 응급구조과와 간호학과 학부 교육과정에서 국제재난에 대한 이해를 증진할 수 있는 교과목이 개설되거나 기존의 유사한 과목에서 글로벌 환경에 대한 조기 이해가 선행되도록 하여 국제사회에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진로를 제시해 주어야 한다. 둘째, 국제재난관리에 대한 교육은 학습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 시물레이션 학습 또는 재난현장을 방문한 현장학습 등 다양한 방법의 적용이 고려되어야 국제사회 및 문화에 대한 이해도모와 태도변화 그리고 어학 학습의 중요성을 자각하게 할 수 있다. 셋째, 학부 단계에서 국제재난교육을 통해서 이해를 도모하고 진로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습득 및 참여기회가 증진되도록 하여 졸업 후 실무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EMT-Paramedic Student's Attitude to the Disabled)

  • 최길순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5-99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MT student's attitude to the disabled and provide the basic materials of educational program to make them have right awareness and attitude of the disable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8 of 339 emergency medical students at three 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al in G metropolitan city who gave consent to take part in the research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or 10 days from Mar. 2 to 11, 2011. It used DFS (Disability Factor Scale) developed by Siller (1967) and revised and complemented by Lee Jong Nam (1997) after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d ANOVA using SPSS/ PC 12.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n the question that there are the disabled around the subjects, 74.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none', and on the question of having concerns on the disabled problems, 61.5%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have no concerns on them'. In addition, on the question of effective methods for improving a negative awareness of the disabled, many of subjects responded the governmental support must be a priority. 2. The subjects' attitude to the disabled scored average 3.13 and they have positive attitude to the disabled. In six sub-areas of attitude to the disabled, tension in contact with the disabled scored 2.90, inferred emotional disorder 2.79, unconditional repulsion 2.78, refusal to friendly relation 2.74, limitation of other functions undamaged 2.66 and distorted identification 2.65. 3. Variable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as age and those who are over '21'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 the disabled than those who are below '20'. 4. In the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subjects' disability related characteristics, those who have the disabled in their friends or family and have concerns on the disabled problems have a positive attitude to the disabled. Promotion and education through mass communication for changing the awareness of the disabled into a positive attitude will be most effective. Conclusion: Consequently, positive attitude of EMT student's to the disabled can be fostered by continuous contact with the disabled and their participation in voluntary services in the dimension of individual or school will be important and also the various practical methods such as enlightenment movement and supply of right information through mass communication should be sought.

한국과 미국 응급구조 학생간에 전문심장구조술 시뮬레이션 시험 (ACLS Simulation Examinati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Paramedic students)

  • ;김태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71-76
    • /
    • 2009
  • 서론(Introduction) : 의학 시뮬레이션(medical simulation)은 교육생 학습과정에서 내재된 위험이 환자에게 가해짐 없이 교육생이 실제적인 환자 상황을 경험할 수 있게 하고 여러 다양한 임상내용이 포함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기술의 사용은 의학교육(medical education), 인증서(certification), 면허교부(Licensure)와 의료의 질 형성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복강경 수술, 내시경검사, 전문심장구조술, 응급기도관리와 외상소생을 포함한 다양한 임상시술의 수행에서 시뮬레이션이 교육생의 술기를 달성하고, 측정하고, 유지하는 유효성을 증명하였다 컴퓨터로 조절되는 시뮬레이터는 맥박, 혈압, 호흡, 대화가 가능하고, 중증질환 또는 외상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같은 인명구조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의학 시뮬레이션은 의사, 간호사, 응급구조사와 응급 진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사람에게 필요하다. 최신 전문심장구조술 과정수업은 전통적인 강의와 제한된 팀 상호작용이 포함된 이틀 과정이다. 우리는 비 영어권 국제 응급구조학생의 전문심장구조술 술기능력을 알아보고, 그것을 미국 응급구조학생과 비교하고자 한다. 목적(Objective) :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전문심장구조술 증례 시나리오를 가진 의학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미국과 한국의 응급구조 학생의 능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시행 장소(Site Location) : 이 연구는 한국 제주도에 위치한 제주한라대학 스토니브룩 응급의료교육원에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평가는 스토니브룩에 위치한 스토니브룩 대학 의료원의 한 명의 평가자(Dr. lee)에 의해 수행되었다. 방법(Methods) : 15명의 한국 응급구조학생들은 세 팀으로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5명이 한 팀이 되어 같은 증례의 시나리오를 받았다. 세 가지 시나리오는 : 첫째, 천식지속상태(Status asthmaticus), 둘째, 긴장기흉을 동반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with tension penumothorax) 그리고 마지막으로 메가코드(megacode)를 가진 심정지 이다. 세 팀을 각각 그리고 기본인명구조술(BLS)과 전문심장구조술(ACLS)과정을 마친 미국 응급구조학생들과 비교하였다. 15명의 미국 응급구조학생들 또한 세 팀으로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이 응급구조 학생들은 플러싱병원 의료원 소속으로 그곳에서 이 연구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의학교육(CME)이수를 받았다. 이들에게도 같은 세 가지 증례의 시나리오가 주어졌고 Dr lee는 총 여섯 팀을 평가하였다(한국 세 팀과 미국 세팀). 결과(Results) : 양 국가의 모든 15명의 학생이 의학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전문심장구조술 메가코드시험을 포함한 시험에 모두 통과하였다. 비록 학생들을 무작위로 세 팀으로 나누었지만 한 팀이 이 모든 세 증례에서 다른 팀보다 뛰어났다. 제주한라대학 2번 팀은 더 나은 기도관리, 리듬인식과 임상술기를 가진 모든 중요한 활동을 얻기에서 우수했다. 그들은 핵심요구사항을 90% 이상 충족시겼다. 한국의 2번팀(G2K)은 메가코드에서 기도개방, 호흡평가, 순환징후 그리고 흉부압박수와 같은 신체검진 술기에서도 탁월했다. 게다가 다른 팀과 비교 시 리듬인식, 약물지식과 임상술기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2번팀(G2K)이 6팀 중에 가장 뛰어나게 역활수행을 하였다. 결론(Conclusion) : 이 비교 연구에서 한국학생과 미국학생간에 전문심장구조술 메가코드 시험의 통과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미국학생은 세 팀 사이에 더 적은 변이로 더 일괄된 점수를 받았다. 한국학생들도 모든 세 가지 증례를 통과하였지만 이 세 팀은 미국학생 팀보다 점수에서 더 큰 변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