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arallax barrier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8초

Calibration Method for the Panel-type Multi-view Display

  • Kim, Jonghyun;Lee, Chang-Kun;Hong, Jong-Young;Jang, Changwon;Jeong, Youngmo;Yeom, Jiwoon;Lee, Byoungho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9권5호
    • /
    • pp.477-486
    • /
    • 2015
  • We propose a novel calibration method which can be applied to all kinds of panel-type multi-view displays. We analyze how the angular, the axial, and the lateral misalignment affects the 3D image quality in a panel-type multi-view display. We demonstrate the ray optics simulation with a 3-view slanted parallax barrier system using pentile display for the quantitative calculation. Based on the analysis, we propose a new alignment pattern for all kinds of panel-type multi-view displays. The proposed pattern is sensitive to all of the angular, the axial, and the lateral misalignments. The high spatial frequency images and on and off alignment in the proposed pattern help observers to calibrate the system easily. We theoretically show the generality of the proposed alignment pattern and verify the pattern with image simulations and experiments.

패럴랙스 배리어를 사용한 무안경식 휴대용 3차원 디스플레이의 수평위치에 따른 크로스톡 및 3차원 시각 피로의 측정과 모형 구축 (Measurement and Modeling of Crosstalk and 3D Visual Fatigue Along with Horizontal Position in Mobile Glassless 3D Display Having Parallax Barrier)

  • 박종진;김신우;이형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15-226
    • /
    • 2014
  • 3D 기술은 초기의 붐 이후 점차 느리게 확산되고 있다. 그 원인 중 하나로 현재 3D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주로 안경을 사용하며 그 때문에 사용 환경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주로 연구되었던 안경식 디스플레이가 아닌 휴대용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기존에 잘 연구되지 않았던 지각적 크로스톡과 입체 시각 피로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모형화 하였다. 그 결과 휴대용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의 수평 위치에 따라 지각되는 크로스톡이 체계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측정된 크로스톡은 화면 중심부에서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좌/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이런 변화 경향성은 입체 시각 피로 및 불편감 측정 과정에서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안경식 디스플레이를 설계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지각적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2방향 관찰면 테이블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Display System on a Tabletop for Two Viewers)

  • 윤기혁;김성규
    • 한국광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255-26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테이블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마주보는 다양한 키의 두 관찰자가 자연스럽게 서로 다른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시역의 위치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시역을 구현하기 위하여 시차장벽과 상용화된 액정표시패널 환경에서의 기본 설계조건을 찾았다. 기본 시차장벽 설계조건에서 각 관찰자 시역간의 간격과 시역의 폭이 설계값에 비해 작게 되는 원인을 분석하고, 테이블형 디스플레이에서 관찰자 시역간의 간격과 시역의 폭을 확보하기 위한 두 가지 개선 시역설계 방안을 제시하고, 전산모사하였다. 이를 근거로 2방향 관찰면 테이블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여 설계한 폭넓은 관찰자 시역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차원 시선 추출 및 상호작용 기법 (3D Gaze Estimation and Interaction Technique)

  • 기정석;전경원;김성규;손광훈;권용무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31-440
    • /
    • 2006
  • 2D 영상에 대한 시선 기반 상호작용 기법으로서 시선추적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입체영상 또는 콘텐츠에 대한 시선기반 상호작용 연구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현재 3D 디스플레이 기술은 현실감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3D 콘텐츠를 제공하는 환경에서는 더욱 3D 상호작용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패럴랙스 배리어나 렌티큘라 방식과 같은 무안경식 3차원 입체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시선기반 3차원 입체 영상 상호작용 기술에 대해 기술한다.

시차 분포 특성을 이용한 오토스테레오스코픽 3차원 디스플레이 시청 피로도 개선 방법 (Visual Comfort Enhancement of Auto-stereoscopic 3D Display using the Characteristic of Disparity Distribution)

  • 김동현;손광훈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3호
    • /
    • pp.107-113
    • /
    • 2016
  • 시청 피로 정도는 3차원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여러 요소 중 하나이다. 3차원 디스플레이의 시청 피로도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 중 시차 조정 방법은 3차원 영상의 시차를 적절한 분포를 가지도록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써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차 장벽 방식의 오토스테레오스코픽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시차 분포가 시청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기반으로 수평 영상 이동 방식을 이용하여 시차 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Speeded-Up Robust Feature(SURF)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의 시차 분포를 구하고, 이전 연구를 통해 구한 시차 분포가 시청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토대로 시차 조정 정도를 결정하고 3차원 영상의 시차를 조정한다. 제안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우리는 실제 제작된 시차 장벽 방식의 오토스테레오스코픽 3차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최적 시청 거리에서 주관 평가를 실시한다. 실험 결과는 다양한 시차 분포를 가지는 3차원 영상에 대하여 제안 방법을 적용 한 후 시청 피로 정도가 감소함을 보여준다.

애니메이션 입체 영화에 대한 연구 (Study of Animation 3-Dimensional Motion Picture)

  • 민경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9호
    • /
    • pp.127-142
    • /
    • 2005
  • Study of Animation 3-Dimensional Motion Picture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수백만의 인구가 영상을 접하고 있다. 영상은 움직이는 형상을 시각화 하는 것에서 지식, 정보 전달의 매체로서 자리 매김 하였다. 과학의 발전은 온라인(Online)시대를 열어주었고 온라인 시대의 정보습득은 지속적으로 고속화 되어, 과량의 정보 속에서 선택을 해야 하는 관객들을 함께 가속화 시키고 있다. 선택적인 측면에서 시각적인 전달 방법은 급변하는 시대의 요구에 맞게 변화하게 된다. 다량의 정보 속에서 순간의 선택을 받기 위한 일한으로, 1차적인 요건은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이며, 그에 상응하는 만족감을 선사하는 것이다. 영상의 초기는 실제로 자신이 보고 있는 상황을 그대로 옮기고자 하는 욕구에서 출발한 것이다. 정지화면에서 만족하지 못한 인간은 움직이는 화면(Film)을 개발하였고 양안의 시점의 차이와 광선의 자극 반응을 감안한 실제 인지하는 시점보다 더 입체감을 만들어내는 영상을 가늠 해내는 연구를 하게 된다. 이는 컬러 필름(Color Film)에서 입체영상 개발까지 놀라운 성과를 누리게 된다. 인간의 가시적인 면에 대한 욕망의 추구 즉, 극대화된 실재감(Reality) 있는 볼거리 추구는 영상이 포함되는 모든 분야에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지금 수백만의 인구가 보편적으로 보고 있는 영상들은 평면적이다. 화면의 깊이 감(Depth)과 착시현상(Optical Illusion)은 효과적으로 현실감을 주며 정보를 전달한다. 하지만, 인간의 양안 시점차이로 인식하는 입체감은 평면속에서 만들어 내는 깊이 감으로는 현실감 있게 인식하는데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만족시킬 입체 영상) 입체영상은 영화에서 시작되었으나, 20c후반기에 들어서면서 애니메이션 분야와 모바일, 광고 패널, 텔레비전등의 매체를 이용한 입체 영상의 개발로 인하여 특정 분야에 한정 시킬 수 없으므로 영상으로 칭한다. 입체 영상은 21c에 들어서면서 영상매체의 한 분야로 급부상하고 있다. 1900년 무렵부터 연구된 입체영화(3-Dimensional motion Picture)는 In여 년이 지난 지금 대중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국내에서는 놀이 동산이나 박물관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HDW등의 대중화로 화질의 발전을 이룬 텔레비전 분야 등에서 실용화 될 전망이다. 국제적인 흐름과 함께 국내에서도 입체 영화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 영상산업의 한 주류로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입체영상에 대한 이해와 콘텐츠(Contents)의 개발은 기술적인 진보에 발맞추어 준비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술적인 계보에 발맞춘 영상 콘텐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자 앞으로의 발전분야에 대한 기술적인 면과 기법적인 면을 제시하여 기술만 앞서고 내용은 수입하는 수입국이기 보다는 미리 준비하여 비전문가나 타국의 기술에 선점 당하지 않는 분야로 성장할 수 있는 진보적인 영상 인들의 관심과 지속적인 연구를 독려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