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lichthys. olivaceus

검색결과 1,043건 처리시간 0.019초

Propolis extracts가 양식넙치의 면역활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polis extracts on the immune response in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남현주;박경일;최민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7-56
    • /
    • 2014
  • Propolis extracts는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지상의 혼합물로서 여러 약리작용을 보여주기 때문에 민간요법으로 널리 이용되어왔다. 특히 propolis extracts는 독성이 거의 없다는 장점 때문에 면역증강제재로서 활용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대상으로 in vitro 및 in vivo상에서 propolis extracts가 양식넙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In vitro상에서 propolis extracts가 PBL의 탐식능 및 NBT assay활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한 바 유효농도는 $50{\sim}150{\mu}g/ml$ 이었으며, 가장 활성이 높은 농도는 $100{\mu}g/ml$ 이었다. In vivo상에서 양식넙치에 propolis extracts를 단독 또는 S. iniae 불활화 균액과 혼합하여 어체에 투여 후에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Haematocrit치는 propolis extracts단독 및 vaccine과 혼합 처리 할때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렇지만, 혈청 lysozyme과 신장대식세포의 탐식능, 활성산소 환원능 및 항체가는 propolis extracts+vaccine 투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에 의하여 propolis extracts는 양식넙치에서 특이적 및 비특이적 면역증강작용이 우수하므로 향후 양식어류에 있어서 비특이적 면역증강 물질 및 adjuvant로 활용가능성이 기대되어진다.

사육 수온 및 사료 공급율이 넙치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Feeding Rate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Grower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경덕;김강웅;이봉주;한현섭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611-618
    • /
    • 2016
  • A $3{\times}2$ factorial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feeding rate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olive flounder. Triplicate groups of fish (initial body weight of 118 g) fed a extruded pellet (55% protein and 4708 cal/g) to satiation and at restricted feeding rates of 0.25 and 0.4% body weight per day (BW/d) at the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13 and $18^{\circ}C$) for 9 weeks. Weight gai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 in feeding rates at each temperature. Weight gain of fish fed to sati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t 18 than $13^{\circ}C$, whereas, that of fish fed at 0.25 and 0.4% BW/d were significantly or slightly lower at 18 than $13^{\circ}C$. Feed efficiency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to sati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13 and $18^{\circ}C$, but those of fish fed at 0.25 and 0.4% BW/d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13 than $18^{\circ}C$.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satiation feeding is efficient for optimal growth and feed efficiency of grower oliver flounder (116-164 g) in suboptimal water temperatures. The maintenance feeding ration which is zero growth performance, were 0.30 and 0.41% BW/day at 13 and $18^{\circ}C$, respectively. In the restricted feeding regime, compromised growth of fish were worsen in higher water temperature ($18^{\circ}C$ vs. $13^{\circ}C$). It might be related to high metabolic rate of fish that spend more energy for maintenance metabolism.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a satiation feeding regime is recommended for a productive growth of grower olive flounder in the suboptimal temperature.

Thiamphenicol의 단일 경구투여에 따른 넙치와 조피볼락의 혈액내 잔류 분석 (Residues of Thiamphenicol in Blood of Cultured Olive Flounder and Black Rockfish Treated by Single Oral Administration)

  • 정승희;서정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692-700
    • /
    • 2016
  • 넙치($700{\pm}50g$, $23{\pm}1.5^{\circ}C$) 및 조피볼락($500{\pm}30g$, $23{\pm}1.5^{\circ}C$)에게 Thiamphenicol(TP)을 1일 1회 경구(100 mg/kg BW) 투여한 다음, 경시적(1시간~432시간)으로 혈청 내 TP의 잔류량을 HPLC로써 분석하였다. TP를 어류 혈청에 0.1, 1.0, $10{\mu}g/mL$으로 첨가한 각각의 농도에 대하여 넙치 및 조피볼락에서 TP의 평균 회수율은 77.05~97.23%와 89.96~97.11%로 나타났다. TP의 경구 투여에 따른 넙치와 조피볼락의 체내 약물 혈중농도는 two-compartment model로 조사되었다. TP를 투여 후 넙치 혈청에서 10시간째 $10.08{\mu}g/mL$와 15시간째 $10.06{\mu}g/mL$로 최대값을 보였고, 조피볼락 혈청에서는 15시간째 $8.88{\mu}g/mL$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넙치와 조피볼락의 혈청에서 TP는 투여 후 432시간째(18일째) 모든 시료에서 검출한계 이하로 검출되지 않았다. TP의 어류 체내 잔류 양상은 넙치와 조피볼락에서 매우 유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넙치와 조피볼락에 TP를 처방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사료내 산패 지질 및 비타민 E 첨가가 넙치 치어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Oxidized Squid Liver oil and DL-${\alpha}$-Tocopherol Level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경덕;강용진;이해영;김강웅;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0-146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oxidized oil and ${\alpha}$-tocopherol level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lounder. To prepare oxidized diets, squid liver oil was oxidized by aeration at $25^{\circ}C$ for 30 days. The six diets were prepared to contain 6% fresh or oxidized squid liver oil as the lipid sources in combination with three levels of ${\alpha}$-tocopheryl acetate at 0, 80 and 800 mg/kg diet. Triplicate groups of fish ($3.9{\pm}0.1$) were fed to apparent satiation twice a day for 8 weeks.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Weight gain, feed efficiency, daily feed intake, protein efficiency ratio and condition factor of fish fed the fresh oil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oxidized oil diets (P<0.05). The increase of the vitamin E level in diets did not result in any significant improvement on growth performance of fish fed both oil diets. The vitamin E content of the liver and dorsal muscle in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vitamin E level at both oil diet groups. A decreasing trend in vitamin E content of the tissues was observed in fish fed the oxidized oil diets at the same dietary vitamin E level. Significantly higher moisture content and lower crude lipid content were observed in the whole body of fish fed the oxidized oil diets than fish fed the fresh oil diets (P<0.05). Dietary lipid source affected the fatty acid content of the whole body; higher contents of saturated and monoenoic fatty acids, and lower n-3 HUFA contents such as 20:5n-3 and 22:6n-3 were observed in fish fed the oxidized oil diets than those of fish fed fresh oil die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ietary oxidized oil may impair the growth performance, and an increase in ${\alpha}$-tocopheryl acetate supplementation have no beneficial effect on growth and feed efficiency of juvenile flounder.

연육 (surimi) 소재로서 어체중량이 다른 넙치의 품질 특성 비교 (Quality of Bastard Halibut with Different Weights as a Surimi Source)

  • 허민수;신준호;박권현;이지선;노윤이;전유진;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8-24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enzymatic properties of unmarketable cultured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of different weights as a potential source of surimi and surimi gel.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cultured bastard halibut of different weigh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t P<0.05 (light weight (LBH) 400~500 g, medium weight (MBH) 600~800 g, and heavy weight (HBH) > 1,000 g). Compared to Alaska pollock muscle, the bastard halibut muscle had a 4% higher crude protein content and 6% lower moisture content. The collagen content of LBH bastard halibut muscle was 1.58 g/100 g, which was lower than or no different from bastard halibut weighing different amounts. Regardless of fish weight or pH, the enzymatic activities of crude fish extracts ranged from 0.34~0.48 U/mg for casein and hemoglobin, 11.0~12.7 U/mg for LeuPNA, 5.4~6.1 U/mg for ArgPNA, 2.3~2.9 U/mg for SAAPFNA, and 0.1~0.2 U/mg for BAPNA. The yield of surimi gel from LBH was 24.4%, which was similar to that from MBH and lower than that from HBH. The surimi gel from LBH was similar to that from HBH, while weaker than that from MBH. The surimi gel from LBH gel was stronger than grade SA gel from commercial Alaska pollock.

등전점 용해/침전 공정으로 어류 알 분리단백질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공처리수에 대한 식품기능성 및 생리활성 (Functionality and Biological Activity of Isolate Processed Water Generated During Protein Isolate Preparation of Fish Roes Using an Isoelectric Solubilization and Precipitation Process)

  • 이균우;윤인성;강상인;이수광;김재일;김진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94-706
    • /
    • 2017
  • This study evaluated the protein recovery, function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of isolate processed water (IPW) generated in the preparation of protein isolates from fish roes (BH,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ST,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YT,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by an isoelectric solubilization and precipitation process. The IPWs contained 2.7-5.4 mg/mL of protein, and the protein losses were 8-21% (P<0.05). The form capacity of IPW-3 for BH and ST, and IPW-4 for YT was 155, 194, and 164%, respectively. The emulsifying activity index ($27-43m^2/g$) of the YT-IPWs was the strongest, followed by ST ($7-29m^2/g$) and BH ($10-19m^2/g$).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ies of IPW-1 and -3 were higher than those of IPW-2 and -4.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scavenging activity ($IC_{50}$, mg/mL) of IPW-2 and -4 was 0.03 mg/mL for BH, 0.04-0.08 mg/mL for ST, and 0.04-0.07 mg/mL for YT. BH IPW-3 had the strongest reducing power (0.41 mg/mL) and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1.68 mg/mL). The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IPW-3 was the highest for ST (1.52 mg/mL), followed by BH and YT. The common predominant amino acids in the IPWs were the essential amino acids Val, Leu, Lys, and Arg and the non-essential amino acids Ser, Glu, and Ala.

국내 다소비 횟감의 주요 품질 결정 감각 특성 도출: 광어와 우럭을 중심으로 (Sensory Drivers of Sliced Raw Fish in Korea: Case Study on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고정민;오세욱;홍재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192-120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다소비 횟감 어종인 광어와 우럭을 숙성, 냉동 후 해동, 침지 등으로 처리하여 감각 특성 차이를 유발하고, 이에 대한 감각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분석하여 횟감의 주요 품질 결정 감각 특성 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묘사분석 결과 회에서 인지되는 감각 특성은 윤기, 명도, 생선 향미, 비린 향미, 경도, 응집성, 탄력성, 촉촉함, 다즙성으로 나타났으며, 우럭의 경우 광어에서 나타나지 않은 오도독거리는 조직감 특성이 도출되었다. 전반적으로 소비자들은 광어와 우럭 모두 경도, 탄력성, 응집성의 조직감 특성이 강한 활어를 선호하였다. 그러나 광어의 경우 조직감이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반면, 우럭의 경우 향미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광어와 우럭 모두 탄력성과 응집성 등이 강한 횟감을 선호하는 경향과 부드럽고 생선 향미가 강한 횟감을 선호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기호 경향은 회 섭취 빈도 등의 식습관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횟감의 기호 경향을 더욱 명확하게 도출하기 위하여 더욱 많은 표본 집단을 활용한 후속 연구를 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양식지역의 차이에 따른 비규격 넙치 연육 (Surimi)의 품질 특성 (Quality of Surimi from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as Affected by the Region where Cultured)

  • 허민수;신준호;박권현;이지선;노윤이;전유진;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98-605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enzymatic properties of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cultured in different regions (i.e., Jeju, Wando, and Geoje) as a potential source of surimi and surimi gel.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cultured in different regi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t P<0.05. Compared to Alaska pollock muscle, all of the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muscle had a 4% higher crude protein content and 5% lower moisture content. The collagen content of bastard halibut muscle cultured in Jeju was 1.96 g/100 g, which was higher than in fish cultured in other regions. Regardless of the region where cultured or pH, the enzymatic activities of the crude extracts from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muscle ranged from 0.30.0.48 U/mg for casein and hemoglobin, 11.9.13.7 U/mg for LeuPNA, 5.6.6.7 U/mg for ArgPNA, 2.8.4.7 U/mg for SAAPFNA, and 0.1.0.2 U/mg for BAPNA. Regardless of region, no mercury or lead was found in any of the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muscle, except for lead in fish cultured in Geoje. The strength of surimi gels from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cultured in Jeju, Geoje, and Wando was 1059, 988, and 900 g${\times}$cm, respectively. The surimi gel from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cultured in Jeju was stronger than commercial Alaska pollock surimi, which was grade SA.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생성된 농축수의 환경적 영향 (Environmental Impacts of Brine from the Seawater Desalination Plants)

  • 박선영;서진성;김태윤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1호
    • /
    • pp.17-32
    • /
    • 2018
  • 다양한 수자원 확보 측면에서 해수담수화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배출되는 농축수에 대한 환경적 영향에 대한 고찰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사례 조사를 통하여 고염분 농축수로 인한 환경적 영향 및 배출 규제를 고찰하였다. 국내에서는 독성평가 중심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유생, 녹조구멍갈파래가 고염농축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또한 넙치 치사율이 염분 증가에 따라 선형관계를 보였으며 송사리는 60 psu 이상의 농도에서 100% 사망하였다. 국외에서는 독성평가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사례도 있었으며 이들 사례를 저서생물군집, 연체동물, 극피동물, 어류, 해조 해초류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전반적으로 농축수가 배출되는 인근지역에서는 종풍부도가 저하되었으며 고염분의 농축수가 해양생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동성이 강한 성어의 경우는 염분에 노출되면 회피하고 염분에 대한 내성을 가진 해양생물들은 고염분의 해수환경에도 생존하였다. 농축수에 대한 규제기준은 염분 한계와 배출구에서의 거리로 표현되는 준수지점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국가별, 해수담수화 시설별로 규제기준에 차이가 있었으며 최근의 경향은 규제기준을 강화하는 추세이다. 특히 california water boards에서는 일일 최대 염분농도가 배출구 주변 100 m 이내에서 주변 염분농도보다 2 psu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규정개정을 실시하였다.

Candidate Probiotic Bacteria의 어류병원성 Streptococcus sp. 성장에 대한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andidate Probiotic Bacteria on the Growth of Fish Pathogenic Bacteria, Streptococcus sp.)

  • 이민영;김은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7-114
    • /
    • 2014
  • 세균성 어류질병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하여 어류와 인체에 안전한 수산용 probiotic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 일대에서 양식되고 있는 참굴 (Crassostrea gigas),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새조개 (Fulvia mutica)의 가식 부위로부터 17균주의 candidate probiotic bacteria (CPB)를 분리하였다. 나아가 다양한 연쇄상구균 (Lactococcus garvieae, L. piscium, Streptococcus sp., S. iniae, and S. parauberis)에 대하여 강한 생장 억제력을 보이는 균주(CPB-St)를 선별하여 어류의 연쇄구균증 관리를 위한 probiotic 균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CPB-St 균주를 double layer test를 통하여 다양한 연쇄상구균들에 대한 생장 억제 정도를 알아보았으며, 혼합 배양에서의 Streptococcus sp.에 대한 생장 억제 능력을 확인하였고, CPB-St의 어류에 대한 안전성 및 장내 생존 유무를 평가하였다. CPB-St는 대부분의 연쇄상구균에 대하여 18~26 mm의 생장 억제대를 형성함으로써 높은 생장 억제 능력을 보였다. CPB-St와의 혼합 배양에서 Streptococcus sp.는 6시간째부터 생장 억제 현상이 관찰되기 시작하여 12시간 전후로 8~55배 정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CPB-St의 어류에 대한 병원성 유 무를 알아본 결과, 2주일 동안 CPB-St로 인한 어류 폐사는 관찰되지 않았다. CPB-St의 1회 강제 경구 투여 후, 위와 장에서 CPB-St의 생존을 확인한 결과 투여 24시간 후에는 CPB-St가 모두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PB-St를 probiotic bacteria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어류의 장내 정착 가능성과 먹이를 통한 효과의 정확한 검증이 추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