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dox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5초

Acceleration of the Customer Education Paradox by a Smartphone

  • Lee, Ji-Eun;Zoe, Chou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1호
    • /
    • pp.31-40
    • /
    • 2015
  • This paper primarily intends to explore whether smartphones accelerate the customer education paradox. Smartphone usage is becoming a mainstream habit, and it is changing people's shopping experience and conventional practices, hence presenting new challenges to the market. A smartphone affects customers strongly when they are trying to choose a product/service among a variety of options, and making purchase decisions. With smartphones bringing such changes and challenges to the market, especially to the companies and stor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market trends in order to retain the loyalty of existing customers as well as to attract new buyers. Therefore, companies and stores should offer enhanced and better technical service quality, along with the use of tools such as QR codes. Further, mobile based websites would offer a suitable approach in assisting customers using smartphones to obtain better information of greater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re is an opportunity for organizations to design various methods of imparting customer education by using smartphones, such as loading applications on a smartphone that lead to more information with good quality and present real benefits regarding the products/services.

정보통신자본의 생산성증가에 관한 고찰 (The Rol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Capital Stock to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 정동진;조상섭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606-625
    • /
    • 2006
  • 본 연구는 1980년부터 2000년 동안 9개 산업에서 정보통신 관련 자본량(IT Capital Stock)을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산업들의 총 요소생산성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순차적 분석방법에 따른 분석결과는 기술혁신정도를 나타내는 대리변수인 총 요소생산성과 정보통신자본량이 단위근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수사이에 장기적인 공적분 관계가 성립하였다. 정보통신자본이 총 요소생산성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사용하는 계량 추정량에 따라 정보통신자본의 1단위 증가는 0.19에서 0.07까지 총 요소생산성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정보통신자본에 대한 장기적 패널자료를 구축하여 분석한 결과로 볼 때, 정보통신자본에 대한 Solow의 '생산성 역설'가설을 뒷받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입증의 역설 다시 보기 (The Paradoxes of Confirmation Revisited)

  • 최원배
    • 논리연구
    • /
    • 제20권3호
    • /
    • pp.367-390
    • /
    • 2017
  • 입증의 역설에 관한 기존의 논의는 까마귀가 아니고 검지도 않은 대상이 까마귀 가설을 입증한다는 사실에 대체로 집중되어 왔다. 나는 이 글에서 까마귀가 아니지만 검은 대상이 입증의 역설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우선 헴펠이 입증의 역설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검토해 입증의 역설에 대한 기존의 논의가 부분적이었음을 밝힌다. 이어 까마귀가 아니지만 검은 대상이 까마귀 가설을 입증한다는 것을 헴펠이 정확히 어떻게 정당화 하는지를 살펴보고, 헴펠이 이 과정에 '증거의 역귀결 조건'이라고 부르는 원리를 가정하고 있음을 보인다. 끝으로 입증의 역설에 대한 이런 새로운 이해가 헴펠과 베이즈주의의 역설 해결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 PDF

스마트 패러독스를 해결하는 방법 (How to Solve the Smart Paradox)

  • 임명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79-88
    • /
    • 2014
  • 모바일 메신저는 20세기 초반의 전화기, 1950~60년대의 텔레비전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삶에 큰 변화를 유발하였다. 하지만 많은 연구자들은 모바일 메신저가 공동체의 삶과 사회적 관계를 향상시키는지 혹은 악화시키는지에 대해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두 대학의 155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메신저의 사용과 사용에 따른 영향(외로움)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다. 설문대상자들은 모두 모바일 메신저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자주 사용하는 대상자들이다. 연구결과 지나친 모바일 메신저의 사용은 자기 주변의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또한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교육에서 상보성 (Complementarity in Mathematics Education)

  • 강현영;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437-452
    • /
    • 2007
  • 그동안 수학교육에서는 상보성, 상보적 원리, 상보적 접근이라는 말이 자주 사용되어 왔으나 그 의미가 분명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수학적 지식의 상보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그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먼저 일반적인 상보성의 의미를 살펴보고, 통약불가능성과 제논의 역설을 통해 수학적 개념의 상보적 특징을 고찰하도록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수학에서 상보적인 접근을 고찰하였다. 학교수학에서 수학적 개념에 대한 상보적 특성을 이해하고 드러내는 것은 그 개념에 대한 통찰을 가능하게 하고 명확하고 올바로 이해하게 한다. 따라서 학생들은 단편적인 정보와 규칙의 기계적인 적용이 아닌 살아있는 체계로서 수학의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

  • PDF

The Paradox of Public Diplomacy on the Web: An Empirical Analysis on Interactivity and Narratives of Nation-State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eb Sites

  • Lee, Hyung Min;Wang, Kevin Y.;Hong, Ye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3호
    • /
    • pp.24-33
    • /
    • 2015
  • Against the backdrop of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we empirically analyzed the level of interactivity and narratives offered in nation-state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eb sit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an attempt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interactivity in such Web sites. Findings revealed that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is the sole significant factor in regards to the level of interactivity. Further, self-interested, goal-directed, and strategic purposes behind the allegedly transparent, engaging, and interactive public diplomacy were evidenced through a critical analysis of the objectives, key issues, and target publics addressed and highlighted in the public diplomacy narratives on the Web. The results suggested a possible digital divide in the interactive adoption of Web public diplomacy as well as strategic motives and interests embedded in the public diplomacy communication on the Web. This study helps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the paradox of public diplomacy in the digital age.

빅터 앤 롤프의 디자인 발상과 작품 특성 (Design Ideas and Characteristics of Viktor & Rolf)

  • 김지영
    • 복식
    • /
    • 제60권10호
    • /
    • pp.47-64
    • /
    • 2010
  •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factors of inspiration and expression methods of Viktor & Rolf known for distinctive works in order to find the ways of creative fashion designing. For the research method, the literature reviews were done by designer's books, collection reviews, and related articles. To find the ideas of design inspiration, interview data with Viktor & Rolf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ir conceptional attitude and the fashion shows like performance indicated that the designer's introspection became the origin of the concept and the ideas expanded the fields of expression. The expression of surrealistic fantasy was done by free imagination and daydreams, which was appeared as fantastical world beyond the everyday life. The expression of paradox and contrast overcame stereotype views with inversion, paradox, and ironical expression. The distortion of shape and the extreme exaggeration by overlap and repetition had a intention that magnity the miserable self-images on purpose, which had started from the debut and appeared ever after on collections and which sought the practicality, infinity exceeding the standard of ideal beauty. The harmony between classicism and avant-guard originated from the insights of tradition demonstrated the wits of designers showing the unique ideas with the base of classics.

디지털 장서관리의 패러독스 분석 (On the Paradox of Digital Collection Management in Libraries)

  • 윤희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24
    • /
    • 2003
  • 최근의 정보기술은 도서관의 장서관리를 급속도로 변화시키고 있다. 아날로그 자료와 디지털 정보를 결합하는, 소위 하이브리드형으로 발전하는 가운데 웹장서개발의 중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다. 이미 대다수 도서관이 디지털 정보의 급증과 정보커뮤니케이션 경로의 다변화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전자출판물의 수용에 적극적이지만, 그것은 많은 곡해와 신화를 창출함으로써 축복인 동시에 저주의 대상이기도 하다. 이러한 현실에 주목하여 본 논문은 디지털 장서관리의 여러 측면, 즉 접근패러다임, 패키지형 전자잡지 인터넷 장서개발, 아카이빙의 패러독스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디지털 패러독스가 장서관리에 반영될 때 도서관은 정보자료에 대한 논리적 게이트웨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PDF

스마트 패러독스: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영향에 관한 연구 (Smart Paradox: An Effect of Mobile Instant Messengers)

  • 임명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7-13
    • /
    • 2012
  •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50~60년대 TV나 20세기 초 전화만큼이나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많은 학자들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가 우리의 공동체 생활과 사회적 관계에서의 참여를 향상시키는지 아니면 해를 입히고 있는지에 대해 궁금증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개 대학의 155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자신이 소유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가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높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은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감소시키고 결국 외로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esting an Irrational Model of Information Privacy Based on Competence Needs Satisfaction

  • Kim, Gimun;Yoon, Jongs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241-248
    • /
    • 2018
  • Recently, there have been calls for approaching from the irrationality point of view to better explain the privacy paradox phenomenon. This study is a kind of response to them.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atisfying competence needs, on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uggested in self-determination theory, affects irrational information disclosure decision (i.e., risk-benefit assessment). To do this, the study builds an irrationality-based model in which competence needs satisfaction affects both perceived risks negatively and perceived benefits (i.e., relationship building and maintenance), which in turn determine a level of self-disclosure. Based on the data from Facebook users which is collected by a large sample survey (N=1050), the study analyzes it using Mplus, a powerful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ool. The study results reveal that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e needs satisfaction and perceived relationship building and mainten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e needs satisfaction and perceived risks insignificant. These findings imply that people who is in a high level of competence needs satisfaction is more likely to respond to some opportunities for social benefits and in turn disclose more information about 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