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dox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초

서비스 실패와 복구 후의 소비자 반응에 관한 연구: 서비스제공자의 복구노력과 고객-종업원의 친밀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A Study of Customer Responses to Service Failure and Recovery: The Role of Service Provider's Recovery Effort and Customer-Employee Rapport)

  • 박소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9권3호
    • /
    • pp.75-115
    • /
    • 2007
  • 본 연구는 고객이 서비스 실패와 복구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복구노력과 서비스 실패 이전의 고객-종업원의 친밀감이 만족, 재구매의도, 긍정 구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와 복구 후 소비자의 반응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의 복구노력과 친밀감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서비스 실패 이전 고객과 종업원의 친밀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친밀도가 낮은 집단에 비하여 서비스 실패후의 복구노력이 낮아도 만족, 재구매의도, 긍정적 구전정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서비스실패 후 적절한 복구노력을 경험한 고객의 만족이 서비스 실패를 겪기 전보다 높아질 수 있다는 서비스 리커버리 패러독스를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서비스 리커버리 패러독스는 서비스 복구노력수준과 고객-종업원의 친밀도에 관계없이 모든 집단에서 지지되지 않았다. 두 가설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고객과 종업원의 긍정적인 친밀감은 서비스 실패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서비스 실패가 없었던 상황으로 되돌릴 수는 없지만, 실패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켜주는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플랑크톤 패러독스 (The Paradox of the Plankton)

  • 이학영;문성기;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01-606
    • /
    • 2015
  • 허친슨(Hutchinson)은 동질성이 있고 잘 혼합된 환경에서는 경쟁배타의 원리가 작동하고 있어 많은 종이 공서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플랑크톤 군집에서 많은 종이 서식하고 있음을 주목하였다. 일부 자원만 공유하면 경쟁배타의 원리가 작용하여 일부 종만이 공존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자연 집단에서 수많은 경쟁관계에 있는 종이 공존하는데 이를 플랑크톤 패러독스라 부른다. 본 연구에서 이 역설에 대한 수많은 견해 중 일부를 소개하였는데 Roy와 Chattopadhyay의 견해를 독성 생성 견해를 포함한 그들의 견해에 따라 기술되었다. 제시된 기작 중 물리적, 생물학적 환경에서 공간적, 시간적 이질성, 외부에서 부과되거나 자기-발생적 공간적 분리, 불완전한 수직 혼합층, 수평적 중간 규모의 소용돌이, 플랑크톤 간 자원경쟁에 의한 동요와 무질서, 자원경쟁에서 변동성 온도에서 안정된 공존과 상보적 역동성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플랑크톤과 그 패러독스 연구를 수행하는데 정보가 제공되어 도움이 될 것이다.

TV 선거 공론장 구조 연구: 기계적 제도화의 역설(Paradox) (Study of the Electoral TV-Public Space: Paradox of the Mythical Structure Manipulated by the Technical Institutionalization)

  • 박태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6권
    • /
    • pp.198-230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선거가 제도적으로 발전하면서 파생하고 있는 선거 공론장의 역설적 현상들을 밝혀내는 것이다. 오늘날 TV방송은 방송 저널리즘 차원을 넘어서 정치적장의 중심에 자리 잡기 시작하였으며 중요한 정치적 실천 기제가 되었다. TV방송과 대의 민주주의 체제의 융합은 미디어크라시(Mediacracy) 혹은 텔레크라시(Telecracy)라 일컬어지는 새로운 정치 구조를 생산하고 있다. 이 두 분야의 융합에 따른 새로운 정치 현상은 무엇보다도 선거에서 잘 나타난다. TV방송은 선거 후보자들에게 다양한 정치적 상징들을 생산하고 무수한 대중에게 시,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전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TV선거방송은 후보자들에게는 가장 유효하고 영향력 있는 선거운동의 장이 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력의 확대에 따라서 국가는 이 선거 공론의 장에 대하며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국가 중심의 제도화는 TV선거방송을 표준화, 규격화함으로써 모든 후보자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고 유권자들에게는 보다 명확한 판단의 기준들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이 제도화가 시민 공론장으로서 방송의 역할을 국가적 행정체계와 방송의 기술체계에 종속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중심의 기계적 제도화는 선거방송을 정치적 상징의 생산과 상징적 이미지의 작동을 제한하고 통제하는 체제로 구조화시키고 있다. 결국, 도구적 합리성과 기술적 관리 체계에 바탕을 둔 제도화는 선거방송에서 정치적 인간(Homo politicus)의 주체성을 후퇴시키고 행정 및 방송 기술을 정치적 상징을 생산하고 작동하는 주체로 만들고 있다. 이러한 프랑켄슈타인적 전도는 TV선거방송을 신화적 공론장으로 귀결시킨다. TV선거 공론장의 역설(paradox)은 미디어 선거 시대에 유권자의 탈정치화, 정치의 픽션화 그리고 그에 따른 선거의 무관심을 고조시킴으로써 미디어와 정치의 위기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정치적 인간 주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국가 중심의 제도체계를 벗어나 시민들이 TV선거 공론장의 주체적 참여자가 되도록 개방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신자유주의적 성과주의 역설: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Paradox of Meritocracy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the Neoliberalism)

  • 이인숙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1호
    • /
    • pp.239-275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나타난 신자유주의적 성과주의 요구에 대해 사회복지사들이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는가를 탐구함으로써 이들 경험의 본질적 주제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회복지사 18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Colaizzi(1978)가 제안한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총 4개의 본질적 주제로 통합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효과성과 효율성에 기반 한 의미 있는 성과 아닌 '실속 없는 형식적 성과' 만들기에 매몰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클라이언트는 실적의 도구가 되고, 현장과의 접촉점이 상실되며, 서비스의 질적 저하와 기관 간 연계가 약화되는 '본연의 실천 가치에 역행하는 실천의 재조직화'로 나타난다. 또한, 성과주의가 의도했던 책임성의 구현은 외부에서 의해 부여된 성과기준에 매몰되어 성과가 불명확한 도전은 포기하게 되는 '재량권 없는 경직된 책임성'만 남게 되었다. 실속 없는 형식적 성과 만들기에 몰두하는 동안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가치와 특수성을 담아내지 못하고 실천가의 자부심을 상실하는 '사회복지 정체성 침식'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과주의의 본래 목적이 전치된 성과주의의 역설과 실패로 귀결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정책 방향을 제시 하였다.

기상청 기후예측시스템(GloSea)의 앙상블 확대를 통해 살펴본 신호대잡음의 역설적 특징(Signal-to-Noise Paradox)과 예측 스킬의 한계 (Characteristics of Signal-to-Noise Paradox and Limits of Potential Predictive Skill in the KMA's Climate Prediction System (GloSea) through Ensemble Expansion)

  • 현유경;박연희;이조한;지희숙;부경온
    • 대기
    • /
    • 제34권1호
    • /
    • pp.55-67
    • /
    • 2024
  •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detailed introduction to the concept of the Ratio of Predictable Component (RPC) and the Signal-to-Noise Paradox. Then, we derive insights from them by exploring the paradoxical features by conducting a seasonal and regional analysis through ensemble expansion in KMA's climate prediction system (GloSea). We also provide an explanation of the ensemble generation method, with a specific focus on stochastic physics. Through this study, we can provide the predictability limits of our forecasting system, and find way to enhance it. On a global scale, RPC reaches a value of 1 when the ensemble is expanded to a maximum of 56 members, underlining the significance of ensemble expansion in the climate prediction system. The feature indicating RPC paradoxically exceeding 1 become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winter North Atlantic and the summer North Pacific. In the Siberian Continent, predictability is notably low, persisting even as the ensemble size increases. This region, characterized by a low RPC, is considered challenging for making reliable prediction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improvement in the model and initialization processes related to land processes. In contrast, the tropical ocean demonstrates robust predictability while maintaining an RPC of 1. Through this study, we have brought to attention the limitations of potential predictability within the climate prediction system,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leveraging predictable signals with high RPC values. We also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efforts aimed at improving models and initialization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현대 패션에 나타난 연속성의 트랜스 미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a Tranc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ontinuity in Contemporary Fashion)

  • 양희영;이경희
    • 복식
    • /
    • 제58권8호
    • /
    • pp.74-90
    • /
    • 2008
  • Since the late of 20th Century, philosophy, art, and aesthetics have attention to the movement of object that persue the dynamics and qualitative change, not existing fixed and quantitative object. Qualitative continuity, including discontinuity of specific spot and surface that occurs sudden change, is distinct characteristics considered in contemporary logo civilization, which combines and disperses according as various purpose among the different elements and objects. Therefore, I studi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continuity that creates the change and the differentiation continuously through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ontinuity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of my preceding paper. This paper is the following study of above mentioned paper, and Investigates about aesthetic consciousness leading to the various change. This is intends to consider the trans-aesthetic consciousness that accepts dynamic movement and change the different object and reforms new relationship continuously. This studies' conclusion is as follows; 1) sublimity-Infinity, de-constructive, excessive 2) jouissance - functional, structural 3) paradox-perceptual, spatial. A study about the trans-aesthetic consciousness would help to offer philosophical basis, and make a change building aesthetic foundation in explaining various relationship like as phenomenon of the retro, neo, post, fusion expressed since the late of 20th Century.

오목, 볼록면에서 평면충격파의 반사 (Reflection of Plane Shock Wave over Concave and Convex Walls)

  • 전흥균;권진영;권순범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3권11호
    • /
    • pp.1473-1480
    • /
    • 1999
  • In the case of Impingement of plane moving shock wave over concave or convex double wedges (pseudo-stationary flow) and cylindrical walls (truly non-stationary flow), it Is expected that there are transitions from regular reflection to Mach reflection or vice versa In shock wave reflections. In these connections,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various of reflection process and transition angle for the reflection problems In double wedges, and to verify the transition angle, effects of curvature radius and initial wall angle on it for the reflection problems In cylindrical walls. Especially, we focused our attention to confirm the existence of hysteresis phenomenon induced by the different transition processes, and Neumann paradox, which is a small discrepancy between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transition angle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shock tube of $6{\times}6cm^2$, and high speed photographic technique consisted of delay unit, triggering system, light source of Xe lamp and so on was used for flow visualization.

한국 제조산업의 IT투자 대비 경제적 효과 실증분석 (Empirical Analysis for Korean Manufacturing Firm's IT Investment Effect to Economic Performance)

  • 고중걸;한현수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5-25
    • /
    • 2005
  • As implied by the terms of IT productivity Paradox, measur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contribution to economic performance has been one of the challenging issues to both policy makers and business professionals. As such, diverse attempts with sophisticate analy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to analyze the effect of IT contributions. In this paper, we follow Growth Accounting Method to measure the IT contribution effect to manufacturing firm's economic performance in Korea. Various regression methods and statistical analyses are applied with fourteen years of industry Panel data. Using the Cobb-Douglas function, time lag analysis is made to understand IT effect to economic growth. Instead of capturing data from individual firm, industry level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s Bureau is used for IT capital, non-IT capital, and so on. Statistical analysis following the panel unit test and Panel co-integration test was performed to reveal the exact effect of IT contribution to economic performance. Empirical testing results for non-stationary nature of IT investment effect are reported as well as IT contribution to manufacturing industry's economic performance.

Studies on Supply and Demand Paradox in Shipping Market

  • Kim, Jin-Hwan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1호
    • /
    • pp.19-27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disconnection between supply and demand shipping market, which means shipowner has determined to raise capacity in bust perio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research method to be applied is first to look into conceptual theory about shipping market, and then to study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situations in shipping on crisis, and next, to analyses paradoxical aspects traced. Results - Shipping market is a volatile and cyclic characteristics, and its situations have to be examined very carefully. Since financial crisis has broken up in 2008, it is natural to think that world trade volumes has reduced rapidly, which means demand for shipping service has fallen, and accordingly, tonnage should be stagnated as well. However, shipping companies have put capacity into market as unexpectedly. This is because of economy of scale and time lag. Here, this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paradox that is proved in this paper. Conclusions - From careful research in this paper, it is found that supply and demand are not always got along with market situations, in other words supply side could be working well, in spite of depression time of demand situations in world shipping mark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