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coniothyrium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7초

Paraconiothyrium minitans CM2의 상추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 S. minor) 균핵 발아에 대한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araconiothyrium minitans CM2 on Sclerotial Germination of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S. minor Causing Sclerotinia Rot of Lettuce)

  • 이상엽;김완규;홍성기;원항연;박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1-135
    • /
    • 2011
  • 2종의 상추균핵병균(S. sclerotiorum, S. minor)에 기생성인 선발진균(CM2)의 형태적 및 분자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araconiothyrium minitans로 동정되었다. P. minitans CM2의 균사 배양조건은 pH 6.5로 조절한 PDA배지를 사용하고, $22^{\circ}C$에서 1일 12시간 주기의 근자외선광을 처리하여 배양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P. minitans CM2의 분생포자현탁액을 상추균핵병균의 균핵에 처리하여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균핵의 직접발아와 자낭반 형성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First Record of Endophytic Paraconiothyrium brasiliense Isolated from Chinese Maple Leaves in Korea

  • Paul, Narayan Chandra;Lee, Hyang Burm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49-352
    • /
    • 2014
  • The fungal endophyte EML-CM25 was isolated in Korea from surface sterilized Chinese maple leaf tissue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solate showed 99% sequence similarity with Paraconiothyrium brasiliense, a finding that was confirmed by morphological analyses. The fungal colonies did not express aerial hyphae. Conidiomata formation was observed in the fungus cultured on potato dextrose agar at $25^{\circ}C$ for 7 days. Visible scattered black dots consisting of pycnidia were present throughout the colony. This is the first record of P. brasiliense in Korea.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a New Record of Paraconiothyrium kelleni from Soil in Korea

  • Mukesh Kumar Yadav;Kallol Das;Jung-Joo Ryu;Seong-Keun Lim;Jin-Sil Choi;Seung-Yeol Lee;Hee-Young Jung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01-109
    • /
    • 2023
  • A fungal strain designated KNUF-21-66Q1 was isolated from soil in Chungcheongbuk Province, Korea. Moderate growth of colonies was observed on potato dextrose agar, oatmeal agar (OA), malt extract agar, and cornmeal agar media at 25℃, and the detailed morphology was examined on OA medium. The colonies on OA medium were flat, had entire margin, hyaline, and yellow concentric rings in 3-4 weeks. Conidiomata were pycnidial, solitary or clustered, globose to subglobose, black-brown, and 300-500 ㎛ in diameter. Conidiogenous cells were smooth, hyaline, globose to ampulliform, and 6.0-9.0×3.0-6.0 ㎛ in size (n=15). Conidia were hyaline to pale brown, slightly golden, obovoid to slightly ellipsoidal, smooth, guttulate, and 3.0-4.7×2.1-3.3 ㎛ in size (n=100). The strain was confirmed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us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the partial 28S rDNA of large subunit, and β-tubulin gene sequences.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s and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rain KNUF-21-66Q1 was similar to the previously described Paraconiothyrium kelleni.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 kelleni in Korea.

Paraconiothyrium minitans S134의 마늘흑색썩음균핵병에 대한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Paraconiothyrium minitans S134 on Garlic White Rot Caused by Sclerotium cepivorum)

  • 이상엽;홍성기;최인후;전용달;김정준;한지희;김완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2-287
    • /
    • 2012
  • Sclerotium cepivrum은 마늘과 같은 파속작물에 발생하는 흑색썩음균핵병의 병원균이다. 기생진균 Paraconiothyrium minitans S134 균주는 마늘 흑색썩음균핵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선발되었다. 포장실험은 태안에서 2011년 10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실시하였다. P. minitans S134 균주의 포자현탁액($5{\times}10^6m{\ell}$)을 마늘 종구를 파종직후와 다음해 2월 하순에 주당 $100m{\ell}$씩 각각 관주처리하여 6월 5일에 흑색썩음균핵병 발생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P. minitans S134 균주를 2회 관주처리구가 6.8%, 플루퀀코나졸수화제 분의처리구가 0.4%, 무처리구가 19.5%의 흑색썩음균핵병이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P. minitans S134 균주는 마늘 흑색썩음균핵병에 대한 유망한 미생물농약으로서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가든식물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로부터 Paraconiothyrium brasiliense의 분리 및 동정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raconiothyrium brasiliense from Garden Plant Pachysandra terminalis)

  • 최민아;박승준;안금란;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62-268
    • /
    • 2014
  • 수호초로부터 분리된 DUCC5000 균주를 형태적, 분자생물학적 분류를 통해 Paraconiothyrium brasiliense로 동정하였다. 본 균은 기존에 알려진 P. brasiliense 균주의 ITS 염기서열과 100%의 상동성을 보였다. 계통유전학적 분석 결과 P. brasiliense 균주와 같은 clade를 형성하였다. 서로 다른 영양 배지와 pH 조건 하에서 균사생육 특성을 조사한 결과 oatmeal agar 배지와 pH 9에서 최적의 생장을 보였다. 배지 종류에 따라 그리고 pH 조건에 따라 균총 형태가 달라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Chroma 반응배지를 이용하여 7가지 세포외 효소의 분비 능력을 조사한 결과 ${\beta}$-glucosidase 활성이 가장 활발하였고 CM-cellulase와 xylerase에서는 활성이 미약하였다. 인공 접종하였으나 수호초에 대한 병원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본 균은 수호초에서는 국제적으로 처음 보고되는 균이다.

Four Species of Montagnulaceae Unrecorded in Korea and Isolated from Plant Litter in Freshwater

  • Goh, Jaeduk;Mun, Hye Yeon;Oh, Yoosun;Chung, Namil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63-270
    • /
    • 2016
  • Freshwater is a diverse and complex environment for fungi and provides several types of habitat including plant litter, sediment, and carcasses. We collected plant litter from the main stream and branch streams of Nakdong River, Sohancheon in Samcheok, and Geumoreum in Jeju. From several samples of plant litter, we isolated 8 fungal strains belonging to 4 Montagnulaceae species unrecorded in Korea: Paraconiothyrium archidendri, Paraphaeosphaeria sporulosa, Paraphaeosphaeria michotii, and Paraphaeosphaeria viridescens. These fungi were identified by phylogenetic analysis us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and examin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Montagnulaceae is known as one of the families in Pleosporales and includes coniothyrium-like fungi. In this study, we described phylogenetic analysis and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species, an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se taxa in Korea.

Paraconiothyrium minitans CM2의 상추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Paraconiothyrium minitans CM2 on Lettuce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이상엽;홍성기;김정준;한지희;김완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71-276
    • /
    • 2012
  • S. sclerotiorum에 의한 상추 균핵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기생진균 P. minitans CM2을 선발하였다. 경기도 양평군의 상추 시설재배포장에서 실험이 3월부터 4월에 수행되었다 상추균핵병 발생초기에 기생진균의 포자현탁액의 농도별로 7일 간격 1회 부터 3회까지 상추의 지제부에 관주처리하였다. P. minitans CM2($1{\times}10^7/m{\ell}$)의 1회 처리구가 11.0%, 베노밀수화제가 2.7%, 무처리가 31.0% 각각 균핵병이 발생하였고, 2회 관주처리가 7.9%, 3회 관주처리가 12.8% 균핵병이 각각 발생하였다. P. minitans CM2 균주의 처리시기에 대한 시험을 양평과 수원에서 실시하였다. P. minitans CM2 균주의 포자현탁액($5{\times}10^6/m{\ell}$)을 상추 정식직후에 관주 처리가 75.3~84.7%, 정식전 육묘 200공 연결포트에 관주처리한 후 균핵병 발생초기에 관주처리는 58.0~63.8%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P. minitans CM2 균주는 상추균핵병에 생물적 방제를 위한 유망한 미생물농약개발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의 잎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Foliar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indera obtusiloba in Korea)

  • 김창균;어주경;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36-140
    • /
    • 2012
  • 생강나무에 공생하는 내생균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강원도 4 개 지역에서 병증이 없는 생강나무 잎을 채집하여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내생균의 rDNA의 ITS지역을 분석한 결과, Alternaria alternata, Annulohypoxylon annulatum, Creosphaeria sassafras, Diaporthe eres, Discosia sp., Epicoccum nigrum, Glomerella acutata, Glomerella cingulata, Paraconiothyrium brasiliense, Pestalotiopsis neglecta, Phomopsis amygdali, Xylaria sp.의 총 7과 11속 12종이 확인되었으며 Phomopsis amygdali가 모든 연구 지역의 생강나무 잎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으며 채집지에 따라 내생균의 종 다양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무안 염습지에 자생하는 염생식물(halophyte)의 뿌리로부터 분리된 내생진균(endophytic fungi)의 유전학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Culturable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Halophytes Naturally Growing in Muan Salt Marsh)

  • 유영현;윤혁준;서영교;김미애;강명석;김창무;하상철;조가연;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70-980
    • /
    • 2012
  • 90종의 내생진균(endophytic fungi)은 염습지에 자생하고 있는 염생식물(halophyte)의 뿌리에서 분리하였다. 자생식물 샘플은 해홍나물, 갯질경, 칠면초, 갯잔디, 갈대가 염습지로부터 분리하였다. 그리고 분리된 내생진균들은 ITS1, 5.8S와 ITS2를 포함하는 ITS-rDNA 영역에 의해 분석하였다. 다양한 내생진균은 Capnodiales (4.44%), Cystofilobasidiales (1.11%), Dothideales (3.33%), Eurotiales (53.33%), Glomerellales (3.33%), Hypocreales (8.89%), Mucorales (1.11%), Pleosporales (15.56%), Sordariales (1.11%), Trichosphaeriales (1.11%), unidentified (6.67%) 등 10종류 목에 속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90종의 내생진균은 속(genus)단계에서 Acremonium 속, Alternaria 속, Aspergillus 속, Aureobasidium 속, Cephalosporium 속, Chaetomium 속, Cladosporium 속, Colletotrichum 속, Cryptococcus 속, Didymella 속, Dothideomycete 속, Emericellopsis 속, Epicoccum 속, Eupenicillium 속, Fusarium 속, Gibberella 속, Gongronella 속, Macrophoma 속, Microsphaeropsis 속, Nigrospora 속, Paecilomyce 속, Paraconiothyrium 속, Penicillium 속, Phaeomyces 속, Phoma 속, Pleosporales 속, Purpureocillium 속, 그리고 Talaromyces 속으로 모두 28속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동정된 모든 내생진균은 Eurotiales목의 Aspergillus속과 Penicillium속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Fungal Endophytes in Roots of Aralia Species and Their Antifungal Activity

  • Paul, Narayan Chandra;Kim, Won-Ki;Woo, Sung-Kyoon;Park, Myung-Soo;Yu, Seung-H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87-294
    • /
    • 2007
  •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surface sterilized root tissues of Aralia elata and Aralia continentalis, collected from farmer's field in Chungnam province, Republic of Korea, in 2005. Based on ITS sequence analysis, 24 fungal genera were characterized from 359 isolates, belonging to 22 Ascomycota, 1 Glomeromycota and 1 Oomycota. Strumella, Rhizopycnis and Entrophospora in A. elata and Rhizopycnis and Leptosphaeria in A. continentalis were the most abundant taxa. Out of 24 genera, Entrophospora, Leptodontidium, Neoplaconema, Paraconiothyrium, Rhizopycnis, Strumella and Tumularia were new to Korea. A total of 110 isolates were tested for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six plant pathogenic fungi. Out of these, 39 isolates show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at least one plant pathogenic fungi. Four isolates of Pyrenochaeta, 1 isolate of Entrophospora and 1 unidentified fungus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six plant pathogenic fungi.